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9:37:05

관객모독

파일:external/pds.joins.com/201403131342021810_1.jpg
2014년 3월 13일 서울 대학로에서의 공연 모습.

파일:external/www.jungculture.co.kr/175_527_5629.jpg
이 연극의 클라이막스, 관객에게 물 끼얹기(...)

Publikumsbeschimpfung ( 독일어)
Offending the Audience ( 영어)

1. 개요2. 내용3. 기획의도 및 평가4. 기타


대본 다운로드(한글 파일)[1][2]
PDF 버전[3]

1. 개요

오스트리아 출신 극작가 페터 한트케(Peter Handke)[4]가 만든 희곡 작품으로 1966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초연하였다. 한국에서는 1978년 극단76에서 초연.

기존 연극의 틀에서 탈피한 실험극의 일종으로, 말로만 진행하는 언어극(혹은 구변극)이라는 장르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된다.

2. 내용

4명의 배우가 의자에 앉아서 한 명씩 돌아가며 즉흥적으로 말을 쏟아내며, 그 말들은 전부 언어유희 모순 등으로 떡칠되어 배배 꼬여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말의 수위가 점점 과격해지는 게 특징. 말하는 대상이 사회, 문화 등에서 관객으로 옮겨가고, 제목 그대로 관객들을 모욕한다. 갈수록 관객에게 욕하는 수위가 높아지다가 나중에는 관객들에게 물을 끼얹는다.

이게 끝. 세부적인 내용과 비판 대상은 그때그때 따라 달라지며, 굳이 대사라고 할 만한 것들이 배우들이 즉흥적으로 말을 쏟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스토리가 없다. 다만 전체적인 방향은 위에 써 있는 대로 지켜져야 한다.

일단 원래 대본의 내용은 삶의 주체가 될 수 있었음에도 수동적으로 살아가며, 무대 위에서 주체가 되는 배우들을 구경하러 온 관객들을 비난하는 내용이다.

3. 기획의도 및 평가

한트케는 언어의 의미가 아닌 그 형태 자체에 집중하였다. 한트케는 배우들의 모든 언어와 행동들이 한 사람을 향하는 것이 아닌 관객 전체를 향하게 해야 한다고 써 두기도 했다. 말하자면 무의미한 언어의 흐름 속에 관객들을 빨려들어가게 한다는 것.

기존 연극과 달리 관객들이 감정이입을 하지 않고, 정치/사회/문화 등을 비판하는 것을 들으며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특유의 낯선 분위기를 통해 현실에 대해 인식하고 성찰하게 된다.

평론가들에게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언어극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것과, 제4의 벽을 깼지만 서사극 방식을 채용해 관객이 낄 틈이 없게 한 점[5] 등 전체적으로 강렬하게 보이는 참신함이 호평을 받는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초연 당시 관객들은 매우 황당해했는데, 확실히 그게 정상이다. 모처럼 휴일이라 비싼 돈 주고 연극을 보러 왔는데 내용도 없고 그나마 말하는 것도 꽤나 이상하고, 나중에는 자기들에게 욕지거리를 하지를 않나... 때문에 초연 당시에는 관객들이 분노해서 무대를 향해 의자를 집어던지는 등의 해프닝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사회나 문화를 비판할 때 카타르시스를 느낀 관객들도 꽤 많았던 모양. 이후로도 이 연극은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가 지금도 여러 군데에서 인기리에 공연되고 있다. 요즘은 이 연극을 미리 찾아봐서 이해하고 보러 가는 이들도 꽤 많은 모양. 사실 이 연극은 미리 이해하고 보러 가는 게 멘붕을 방지할 수 있어서 좋다. 정보 없이 보러 가면 이해도 안 되고, 욕설과 물을 그대로 받아들여서 기분이 상할 수 있다.

4. 기타



[1] 양혜숙 역. 옛날 번역이라 " 읍니다" 같은 옛날 문법도 섞여 있고 문서도 잘 정리가 안 되어있다. [2] 출처 [3] 위와 내용은 같으나 오탈자가 수정되고 페이지가 정리되어 있다. [4] 2019년 노벨 문학상 수상. [5] 따라서 극의 흐름은 배우들이 일방적으로 관객들에게 말과 행동 등을 전달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