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5:45:01

골든 로드

골든로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골든로드(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d3e4f><colcolor=#fff>기본 모드 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 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집중포화 · 기타
챔피언 관련 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 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 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아타칸 · 식물
드래곤 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 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 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FST · 전설의 전당 · LCK · LTA · LEC · LPL · LCP · 세체 · 역체 · 골든 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 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롤충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 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가붕이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 탑신병자 · 롤대남
기타 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미디어 믹스 · 감시단의 비상 · 이스터 에그 · 전략적 팀 전투 }}}}}}}}}

1. 개요2. 난이도3. 역사
3.1. 근접했던 팀 목록
3.1.1. 리그 - MSI - 월즈 체제3.1.2. FST - MSI - 리그 - 월즈 체제
4. 유사한 업적
4.1. 논-캘린더 그랜드 슬램
4.1.1. 논-캘린더 러너업 슬램
4.2. 커리어 그랜드 슬램
4.2.1. 커리어 러너업 슬램
4.3. 실버 로드
5. 여담

1. 개요

골든 로드. 스프링, MSI, 서머 그리고 월즈 우승을 한 팀에게 주어지는 영광입니다. 그 어떤 팀도 아직 달성하지 못했습니다.[1]
전용준 캐스터. 2023 월즈 스위스 스테이지 오프닝 티저 #
Golden Road / 黄金之路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에서 사용하는 그랜드 슬램 용어로 한 시즌 동안 동일 팀이 라이엇 주관 공식 대회[2]를 모두 우승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타 스포츠에서 '그랜드 슬램'이라고 부르는 개념과 유사하다. 과거에는 롤에서도 그랜드 슬램이란 용어를 썼지만, 라이엇 게임즈에서 골든 로드라는 용어를 따로 만들었다. 팬덤에서의 지칭 및 비공식 용어로는 그랜드 슬램이라는 명칭도 여전히 혼용되고 있다. 팬들 사이에서 '그랜드 슬램'이라고 말하면 보통 '캘린더 그랜드 슬램(Calendar Grand Slam)'을 지칭하며, 2023년부터 라이엇 게임즈와 공식석상에서는 '골든 로드'라는 표현으로 지칭하고 있다.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에서 가장 가치가 높고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업적으로 취급받고 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가 태동한 2011년부터 13년이 넘어가는 역사 동안 그 누구도 달성한 적 없는 기록이다.

만약 달성한다면 팀 전체가 달성할 확률이 높은데, 그랜드 슬램 기록은 팀 뿐만 아니라 선수나 감코진도 기록하지만 골든 로드 정도의 기록이면 어지간하면 달성한 팀의 선수들과 그 감코진이 1년 내내 유지될 확률이 높기 때문. 팀은 나오지 않았는데 선수나 감코진 부터 달성자가 나오려면 시즌 도중 불미스러운 일로 인원이 방출당하고, 옮겨간 팀에서 이어서 우승을 차지해야 한다는 극히 희박한 시나리오로 흘러 가야한다. 단, 라이엇 게임즈는 타 스포츠의 '캘린더 그랜드 슬램'과는 달리 '골든 로드'는 '팀'에게 주어지는 영광이라는 것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희박한 확률이긴 하지만 도중에 타 팀으로 옮긴 선수나 감코진이 우승을 이어가 캘린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다면 '골든 로드'로 인정해줄지 여부는 불명확하다.

만약 달성하는 순간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최초의 골든 로더로서 역사에 이름을 새길 수 있다. '국제대회 무실세트 전승 우승'[3], '국제 대회 연속 우승'[4][5], '국제대회 MVP 그랜드슬램'[6] 과 더불어 가장 영광스러운 업적 중 하나로 취급되고, 어쩌면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가 끝나는 날까지 달성할 수 없을지도 모르는 대기록으로 여겨지고 있다.

2. 난이도

LoL e스포츠가 발족한 이래 골든 로드를 달성한 팀은 전무하다.

달성 팀이 없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스포츠와 달리 리그 오브 레전드는 시즌 중에도 계속 메타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이 크다. 타 스포츠와 달리 리그 오브 레전드는 패치로 꾸준히 메타가 바뀌고 챔피언의 성능이 시시각각 달라진다. 해마다 월드 챔피언십이 끝나고 그 다음 시즌 스프링이 개최되기 전에 하나의 '시즌'이 유지되지만, 그 시즌 동안에도 계속해서 챔피언 밸류 조정이나 리워크 같은 소규모, 대격변 패치 등의 적잖은 변화가 계속된다.[7] 골든 로드를 달성했다는 뜻 자체가 1년이라는 기간 동안 하나의 팀이 꾸준히 변하는 메타를 겪고도 모든 라이엇 주관 공식 대회에서 최강의 자리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여러번의 패치로 대회 스테이지마다 챔피언이 뜨고 저문다는 점을 감안하면 늘 우승을 차지하면서 자리를 꾸준하게 지키기란 어려움을 넘어 불가능에 가깝다.

또한 시즌 내내 단일 팀 구성으로 도전해야 한다는 점도 크다. LoL e스포츠 역시 다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시즌마다 팀들의 멤버 교체가 숱하게 이루어진다. 월드 챔피언십이 끝나면 각 리그에서 스토브리그가 열리게 되고, 해당 기간동안 구성된 스쿼드로 대부분 다음 월드 챔피언십까지 지속된다.[8] 즉, 선수 본인이 다른 팀으로 이적하거나, 팀의 멤버 교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달성하는 경우가 있는 '논-캘린더'나 '커리어' 그랜드 슬램과는 달리 골든 로드는 하나의 팀으로 해당 년도 라이엇 주관 공식 대회를 전부 제패해야 달성이 가능하므로 난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소한 선수 기량만 유지되면 그랜드 슬램을 노려볼만한 다른 스포츠와 달리 리그 오브 레전드는 게임 자체적으로 소규모/대규모 패치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게임에 적응해야 한다. 1년은 커녕, 동일 대회여도 초반에 강력한 메타챔이었던 챔피언이 종반에는 아무도 안쓰는 카드로 전락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잦은 패치로 메타가 조금씩 바뀌는 것 이외에도 국제 대회가 두개나 있는 점과 지역 리그가 정규리그만 하는 것이 아닌 플레이오프를 통한 업셋이 구조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구조인 지역리그를 매년 최소 2번 이상 진행하는 점도 골든 로드의 난이도를 매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 골든 로드를 달성한 선수와 팀은 없고, 후술한 논-캘린더나 커리어 그랜드 슬램 역시 소수만 달성하였다.

2023 시즌 부터는 메이저 리그[9] 준우승 팀도 참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역리그 준우승팀이 MSI 우승시 MSI에서부터 당해 년도 달성 팀이 없을 수 있게 되어 골든 로드의 난이도가 더 올라갔다.

2025년부터는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가 전면 개편되면서 MSI 이전에 치러지는 국제 대회 First Stand Tournament가 출범되고, 여기 참가할 팀을 뽑는 대회를 필수적으로 개최해야[10] 하게 되었다. 두번째 스플릿에서 우승자를 가리지 않는 대회가 2개나 있기에[11] 자연스레 스플릿 3개 모두 우승은 조건에서 빠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승해야 하는 국제전이 무려 3개로 늘어난 만큼 이전보다 훨씬 어려워졌다는 평이다[12]

3. 역사

LoL e스포츠가 한창 발돋움하던 초창기, 2014 시즌까지는 그랜드 슬램과 골든로드에 대한 개념 기준과 언급이 없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TPA가 리그 우승, 월즈 우승을 했지만 골든 로드에 부합하지 못하게 되었다.[13]

그러다가 2015 시즌부터 라이엇에 의해 모든 지역 리그 일정이 풀리그 체제로 동일하게 바뀜에 따라 지역 리그의 전기[14], 후기[15], 국제전인 MSI, Worlds까지 전부 우승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으로 조건이 정립됨에 따라 주관 메이저 대회를 석권하는 것이 곧 그랜드 슬램의 기준이 되었다.

메이저 대회 이외에도 인텔이 주관하는 IEM,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주최하는 Esports World Cup, 리프트 라이벌즈와 올스타전과 같이 라이엇이 직접 주관했던 대회가 존재하지만 앞서 거론된 리그 - MSI - 월즈와 같은 대회 구도에 비해 권위가 미묘하고[16] 그랜드 슬램의 범주와 관련해서 일단 제외하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또한 라이엇의 직접 주최가 아닌 합작 리그였던 IEM의 경우 2018 시즌부터는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자체가 폐지되었으며, 라이엇이 직접 주관하던 리프트 라이벌즈 역시 2019 시즌을 마지막으로 폐지되면서 논외로 두는 기조가 더욱 강화되었다.

2020 시즌의 경우 MSI가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됨에 따라 우승컵이 스프링, 서머, 월즈 3개가 되었다.[17][18][19]

LCS는 2021 시즌에는 락인 - 스프링 - MSS - 서머 - 챔피언십 포멧으로, 2022 시즌에는 MSS를 제외하고 4개 대회의 포맷으로,[20] 2023 시즌부터 락인을 뺀 스프링 - 서머 - 챔피언십 포맷으로 진행하기 시작했다.

LEC의 경우, 2023 시즌부터 윈터, 스프링, 서머, 파이널까지 총 4개의 대회를 개최하는 포멧을 시행함에 따라 MSI와 월즈까지 포함해 그랜드 슬램의 달성 난이도가 국제 대회 포함 총 6개의 대회를 우승해야 하는 조건으로 더욱 어려워지고 난해해졌다.

2025 시즌부터는 신규 국제 대회 First Stand Tournament가 출범되면서 3스플릿을 강제하게 되었다. 그리고 여러 리그에서 연간 우승팀을 가릴 챔피언십을 도입하면서 리그 챔피언십이 골든 로드 조건에 들어간다. 유일하게 연간 우승팀을 가리지 않는 LEC는 서머 스플릿이 자격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3.1. 근접했던 팀 목록

3.1.1. 리그 - MSI - 월즈 체제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 연도 ||<width=22%> 스프링 시즌 ||<width=23%> MSI ||<width=22%> 서머 시즌 ||<width=23%> 월드 챔피언십 ||
2015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Edward Gaming
(SKT: 준우승)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2016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ROX Tigers
(SKT: 3위)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2017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Longzhu Gaming
(SKT: 준우승)
파일:Samsung_Galaxy.png
Samsung Galaxy
(SKT: 준우승)
2018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nvictus Gaming
(RNG: 8강)
2019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
파일:FPX_LoL_new_logo.png
FunPlus Phoenix
(G2: 준우승)
2020 파일:T1 LoL 로고.svg
T1
(DWG: 4위)
미개최 파일:DAMWON.png
DAMWON Gaming
파일:DAMWON.png
DAMWON Gaming
2021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RNG: 8강)
2022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
(RNG: 8강)
2023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파일:T1 LoL 로고.svg
T1
(JDG: 4강)
2024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GEN: 준우승)
파일:T1 로고.svg
T1
(GEN: 4강)
* 3개 이상의 대회 우승 팀 기준으로[28], 없거나 두 팀인 경우 MSI 우승 팀을 기준으로 지역 리그 우승팀 기재

3.1.2. FST - MSI - 리그 - 월즈 체제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 연도 ||<width=22%> FST ||<width=22%> MSI ||<width=22%> 지역 리그 ||<width=22%> 월드 챔피언십 ||
2025
* 국제전 우승이 가장 많은 리그 기준[29][30]으로 지역 리그 우승팀 기재

4. 유사한 업적

4.1. 논-캘린더 그랜드 슬램

Non-Calendar Grand Slam. 같은 해에는 아니지만, 4개 대회의 중 하나의 우승을 시작으로 연속해서 4대 대회를 모두 우승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스프링 - MSI - 서머 - 월즈를 연달아 우승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서머 - 월즈 - (다음해) - 스프링 - MSI 순으로 우승하는 것이다.

보통 캘린더 그랜드 슬램을 기준으로 현재까지 '롤판에는 (캘린더) 그랜드 슬램이 없다'는 말로 대충 퉁치기도 하지만, 사실 논-캘린더 그랜드 슬램의 달성도 상당히 어렵다. 팀으로는 SKT T1이 유일하게 달성하며, 역대 월즈 우승과 MSI 우승을 달성했던 인원 몇몇만 제외하고 대부분 실패하였다.

리그가 아닌 국제 대회인 MSI - 월즈를 연달아 우승한 논 캘린더 그랜드 슬램 역시 SKT T1이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4.1.1. 논-캘린더 러너업 슬램

Non-Calendar Runner-up Slam.

논-캘린더 그랜드 슬램과 비슷하게 같은 해에는 아니지만, 4개 대회의 중 하나의 준우승을 시작으로 연속해서 4대 대회를 모두 준우승하는 경우를 말한다. 2022 시즌까지는 MSI 진출권이 오직 전기 지역 리그 우승 팀에게만 주어졌기에 캘린더 러너업 슬램을 기록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4.2. 커리어 그랜드 슬램

Career Grand Slam.

전반적인 커리어를 통틀어서 라이엇 주관 공식 대회를 한 번씩 우승함으로써 얻게 되는 그랜드 슬램이다. 해당 목록은 그에 따른 달성 팀과 인원은 아래와 같다. 기록상 첫 우승과 최초 달성자와 팀을 기준으로 먼저 서술된다. 더 나아가 목록마다 팀명, 실제 선수와 감코진 이름, 기록 달성 순서대로 내용을 기술하고, 기록의 상세 여부와 특이사항은 별도 각주로 명시 및 구별되어 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커리어 그랜드 슬램 달성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fe3f9)"
{{{#!wiki style="color: #0fe3f9;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MSI 출범 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000> 순번 이름 ID 국적 포지션 달성일 우승 기록
1 라우리 하포넨 Cyanide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파일:JGL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2013.08.17 Spring - 2013, 2014
Summer - 2013
Worlds - 2011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 Xpeke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파일:MID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fe3f9)"
{{{#!wiki style="color: #0fe3f9;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MSI 출범 후 / FST 출범 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000> 순번 이름 ID 국적 포지션 달성일 우승 기록
1 이상혁 Fak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MID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2016.05.15. Winter - 2014
Spring - 2015, 2016, 2017, 2019, 2020, 2022
MSI - 2016, 2017
Summer - 2013, 2015, 2019
Worlds - 2013, 2015, 2016, 2023, 2024
배준식 Ban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ADC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Spring - 2015, 2016, 2017
MSI - 2016, 2017
Summer - 2015
Worlds - 2015, 2016
이재완 Wolf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SUP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4 허원석 Paw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MID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2016.08.26. Spring - 2015
MSI - 2015
Summer - 2016, 2018
Worlds - 2014
5 톈예 Meiko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파일:SUP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2021.11.06. Spring - 2015
MSI - 2015
Summer - 2016, 2017, 2021
Worlds - 2021
6 김혁규 Deft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ADC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2022.11.06. Spring - 2014, 2015
MSI - 2015
Summer - 2016, 2018
Worlds - 2022
7 박재혁 Rul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ADC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2023.05.21. Spring - 2023
MSI - 2023
Summer - 2022, 2023
Worlds - 2017
8 김건부 Canyo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JGL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2024.05.19. Spring - 2021, 2024
MSI - 2024
Summer - 2020, 2021
Worlds - 20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fe3f9)"
{{{#!wiki style="color: #0fe3f9;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FST 출범 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000> 순번 이름 ID 국적 포지션 달성일 우승 기록
1 FST -
MSI -
지역별 챔피언십 -
월드 챔피언십 -
}}}}}}}}}}}}}}} ||

4.2.1. 커리어 러너업 슬램

Career Runner-up Slam.

전반적인 커리어를 통틀어서 라이엇 주관 공식 대회를 한 번씩 준우승함을 기록함으로써 얻게 되는 것이 바로 러너업 슬램이다. 해당 목록은 그에 따른 달성 팀과 인원은 아래와 같다. 기록상 첫 준우승 기록, 최초 달성자, 팀을 기준으로 먼저 서술된다. 더 나아가 목록마다 팀명, 선수와 감코진의 실제 이름, 기록 달성 순서대로 내용을 기술하고, 기록의 상세 여부와 특이사항은 별도 각주로 명시 및 구별되어 있다.

4.3. 실버 로드[43]

Silver Road. 한 시즌 동안 모든 라이엇 주관 2군 대회를 우승하는 것을 뜻한다. 한마디로 2군판 골든 로드인 셈. 지역 리그 전기 시즌, 지역 리그 후기 시즌, 대륙 국제전[44]이 이에 해당한다. KT 챌린저스가 달성하기 전까지 이런 개념과 명칭이 공식화된 바가 없어, 실버로드 외에도 도금로드, 쁘띠골든로드, 응애로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5. 여담

한때는 페이커와 T1이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당시 중국에서도 페이커가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는 기사까지도 따로 나왔다. 이는 커리어 그랜드 슬램의 개념을 더욱 확장한 기준인데, T1과 페이커가 당시 LCK 7회 우승, MSI 2회 우승, 월즈 3회 우승, 올스타 지역대항전(인비테이셔널) 1회 우승, IEM 1회 우승, 리프트 라이벌즈 1회 우승이란 대기록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거론된 것이었다.

이후 역사가 지속되면서 공식에서 비공식으로 혹은 메이저에서 마이너로 격하되거나, 아예 폐지되면서 그 자취를 감춘 대회들도 있고, 심지어 여기서 커리어 그랜드 슬램과 관련한 정확한 분류와 기준을 모르거나, 의미 있는 기록으로 간주하지를 않거나 여러 출전했던 대회에서 우승에 실패했다는 점도 일부 내포되어 있기에[48] 실제로 선수들의 업적을 이야기할 때나 평가를 내릴 때, 그랜드 슬램이라는 표현 자체가 가장 큰 주제로 거론되는 일은 많지 않다.

2018 RNG나 2019 G2까지만 하더라도 라이엇 게임즈와 직속 산하인 롤 e스포츠에서는 '단일 시즌 메이저 대회 석권'이라는 타이틀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사실 이건 팬들도 마찬가지였던게 각 시즌별 ' 세체팀'과 역대를 통틀어서 판단하는 ' 역체팀'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와 관계없이, 시즌별 월즈 우승과 각 지역별 전기(스프링), 후기(섬머) 리그 제패 정도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았다.[49] 그러다가 2023년부터 서서히 MSI에 참가팀도 많아지고 단일 시즌 '지역리그 2회와 국제대회 2회'를 동시에 제패한다는 타이틀에 다들 관심을 보이자, 라이엇이 켈린더 그랜드 슬램을 '골든 로드(Golden Road)'로 칭하면서 홍보 문구나 각종 티저 영상에 이를 써먹고 있다. 특히 2023 월즈 스위스 스테이지 티저에서 골든 로드, 저희가 막겠습니다라는 페이커의 대사와 이후 실제로 4강 녹아웃 스테이지 경기에서 T1이 징동을 꺾고 골든 로드를 저지함으로써 기존의 그랜드 슬램이라는 표현에서 골든 로드라는 표현이 더욱 보편화되었다.

그간 LOL e스포츠 역사를 통틀어 LPL에서는 2팀, LEC에서 1팀이 골든 로드에 도전했지만, 그 중 가장 강력한 위용과 성적을 기록한 LCK에서는 막상 월즈에서 골든 로드에 도전하는 팀이 단 한번도 나오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스프링 우승 이후 MSI에서의 부진과[50] 지역 리그 내 다른 강팀들로 인한 서머에서의 우승 실패가 그 원인이다.[51]

마포고등학교가 월즈 6회 우승, MSI 3회 우승, LCK 12회 우승, LPL 2회 우승을 비롯하여 2015[52], 2016[53] 골든 로드를 달성한 고등학교이자 대한민국과 세계를 통틀어 역대 최고의 롤 팀이라는 커뮤니티발 농담이 있다.


[1] 2025 개편으로 FST가 신규 국제대회에 편성되면서 FST-리그-MSI-월즈 우승이 새로운 골든 로드가 되었다. FST에 진출하기 위해선 스플릿 1에 열리는 대회 우승이 필요하고, MSI에 진출하기 위해선 스플릿 2 2위 이상을 해야 하므로, 사실상 스플릿 1-FST-리그-MSI-월즈 우승이 골든 로드가 되었다고 보는 편이 맞다. [2] First Stand Tournament, Mid-Season Invitational, 지역별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3] 라이엇 공식 대회 기준 가장 근접했던 팀은 2015년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SKT의 15승 1패이다. [4] 단일 국제전을 연달아 우승한 사례로는 월즈의 경우 2015 - 2016, 2023 - 2024 시즌의 T1이 있고, MSI의 경우 2016 - 2017 시즌의 SKT와 2021 - 2022 시즌의 RNG가 있다. 메이저 국제전을 연달아 우승한 사례로는 2015 월즈 - 2016 MSI - 2016 월즈 - 2017 MSI를 연속 우승해 포핏을 달성한 SKT가 있다. [5] 이전엔 국제대회 쓰리핏으로 설명했으나 2025 시즌 이후 퍼스트 스탠드가 생기면서 달성 기간이 단축되었고, 골든 로드를 달성하면 덩달아 달성하게 바뀌었다. 월즈 쓰리핏으로 설명하기도 했는데, 사실 이 경우는 월즈 트로피 3개가 연달아 생기는 것이므로 결국 월즈 트로피가 1개인 골든 로드보다도 가치가 높은 업적으로 봐야한다. 당장 골든 로드의 가장 큰 가치는 달성 팀이 역체팀으로 꼽힌다는 것인데, 당장 월즈 리핏을 달성한 제오페구케만 해도 역시 라이엇 공인 역체 로스터로 선정된 사례가 있다. 또한 라이엇을 통해 왕조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나오게 됨에 따라 기존까지 리그 쓰리핏 내지는 리그 쓰리핏과 국제전 우승 기록을 필두로 하던 왕조들은 대거 사장 및 종결되었다. 사실상 월즈 리핏부터 왕조로 부를 수 있다는 점으로 기준확립이 이뤄지게 된 것이다. [6] 현재까지 2016년 MSI 파이널 MVP와 월즈 통합 MVP를 모두 석권한 페이커가 유일하다. [7] 이전의 2017 서머 ~ 월즈를 비롯해 변화가 많이 체감되었던 시즌은 많지만 그 중 2023 서머 ~ 월즈가 가장 극단적인 사례이다. 특히나 당대에 골든 로드를 노리던 징동은 월즈 4강에서 메타를 격변시킨 티원에게 패배함으로써 메타 변화에 의한 희생양이 된 대표 케이스가 되었다. [8] 건강과 같은 개인적인 사정 또는 팀 사정으로 인한 엔트리 추가 및 제외, 또는 실력 저하나 팀 내 불화 및 사건사고로 인해 중도 방출당하는 경우가 있긴 하다. 허나 캘린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 가능성이 보이는 전도유망한 팀은 양대인, 제파 경질 사건같이 로스터가 갑작스레 바뀌는 등 정말 심각한 사건이 아닌 다음에야 멤버가 잘 바뀌지 않는다. [9] LPL, LCK, LCS, LEC [10] LEC는 이미 윈터 시즌이 있고, LCK는 컵대회를 신설했으며, LTA와 LPL은 스플릿 1을, LCP는 시즌 킥오프를 치른다. [11] LCK, LPL, LCP는 단일리그로 전환되어 스플릿 2 기간 때 우승자가 나올 수 없고, LTA 스플릿 2는 각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승자를 MSI에 보내고 통합 LTA 스플릿 2 우승팀을 따로 뽑지는 않는다. [12] 봄에 FST에서 우승한 팀이 여름의 MSI, 가을의 지역 파이널과 월즈를 메타 변동에 따른 부진 없이 모두 우승해야 가능한 기록이다. [13] 그 직후 열린 IPL5에서 준우승도 아닌 3위로 끝났다. 그 당시에는 또다른 월즈급의 위상이 있던 IPL5에서도 우승했다면 골든 로드 였다고 추후 추존이라도 되었을 것이지만 3위로 탈락한 덕에 당시 TPA는 월드 챔피언임에도 위상이 압도적이지 못했다. [14] 대개 스프링으로 부르지만 다른 리그들에서는 윈터로 통용되거나 대회가 별개로 나뉘는 경우도 있다. [15] 대부분 서머라 부르지만 타 리그들에서 어텀으로 쓰이거나 별개로 대회가 나뉘는 경우도 있다. [16] LCK의 KeSPA Cup이나 LPL의 Demacia Cup과 마찬가지로 현재에 들어서는 비메이저 대회로 여겨지고 있다. [17] 만약 2020 시즌 한 해의 모든 우승 기록 석권시 타 종목들처럼 이를 지칭할 수 있는 다른 단어들( 트레블, 트리플 크라운 등등)로 불렸을 지도 모르지만 달성한 팀도 없었고, 그렇게 불렸을지에 관해서는 가히 미지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8] 취소된 MSI를 대신하여 대체 대회로 VCS와 PCS는 Mid-Season Showdown 2020, LPL과 LCK의 경우 2020 MSC라는 대회가 각각 있었는데 설령 이걸 포함해도 다른 단어들과 조건에 부합하는 팀이 아예 없었다. [19] 그나마 있다면 2020 TES가 MSC, 데마시아 컵, 서머를 우승했는데, 공식 메이저 대회가 아닌 사례가 섞여있다보니 아주 크게 조명되기엔 모양새가 많이 빠지는데다가 해당 시즌 월즈 성적도 4강에 그친지라 앞서 언급된 유사 단어들과 미니 트레블이라는 단어로도 통용되지 않았다. [20] 하지만 락인의 경우 LCK에서의 케스파컵과 같은 위상의 대회였으며 MSS는 실질적으로 스프링 포스트시즌, 챔피언십의 경우 실질적으로 서머 포스트시즌이였기에 다른 지역의 방식과 차이가 없었다. [21]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다르지만, 골든 로드쪽보다는 월즈 우승의 가중치와 국제전에서의 행보 등등에 빗대어 '롤 역사를 통틀어 한 해에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팀'으로 별도 분류되는 쪽이다. 특히 2015년, 세트 수만 보면 2019 월즈 결승에서 3:0 셧아웃을 당한 G2보단 2015 MSI 결승에서 5꽉까지 간 T1이 위치상으론 더 가까워 순서보단 최종 결과를 따지는 사람들에겐 이쪽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22] 스프링, 서머, 월즈 우승 / MSI 준우승. [23] 스프링, MSI 우승 / 서머, 월즈 준우승. [24] 스프링, MSI, 서머 우승 / 월즈 준우승. [25] 스프링, 서머 우승 / MSI, 월즈 준우승. [26] 스프링 우승 / MSI, 서머, 월즈 준우승. [27] 스프링, 서머 우승 / MSI, 월즈 준우승. [28] LEC같이 지역 스플릿이 3개 이상인 경우는 MSI 이전과 이후 대회로 나눠 2개로 간주. 더 정확하게는 MSI 진출권을 가진 대회와 월즈 선발전을 포괄하는 리그 대회 2개를 기준으로 한다. [29] 국제전을 모두 다른 리그가 우승하는 경우엔 월즈 우승 팀 기준 [30] LCK는 그 해 리그 최종 성적을, LTA는 챔피언십 성적을, LCP는 시즌 파이널 기록을, LEC는 서머 스플릿 성적을, LPL은 시즌 플레이오프 성적을 차례대로 기재. [31] 만약 이 일이 실제로 일어났었더라면 SKT T1은 2015 서머부터 2017 MSI까지 8개 대회에서 연속으로 우승하는 말 그대로 미친 기록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2016 월즈 우승 시점에 이미 2016 캘린더 그랜드 슬램이 완성되기에 논-캘린더 그랜드 슬램 2회 달성 업적보다는 그랜드 슬램 달성 업적과 앞으로 연속 우승을 얼마나 더 이어갈 수 있는지가 더 큰 관심사가 되었을 것이다. [32] 그 전대회인 2015 MSI도 준우승을 달성했다. [33] LoL e스포츠와 LCK 사상 최초의 커리어 그랜드 슬램 팀. [윈터] --2013-14 LCK 윈터 우승 기록도 있다. [35] LoL e스포츠 2번째이자 LPL 사상 최초의 커리어 그랜드 슬램 팀. [36] LoL e스포츠 3번째와 LCK 사상 2번째 그랜드 슬램 팀. [37] 무출전 우승 기록 제외. [윈터] [단장] 2022 월즈 우승은 DRX 단장으로 이뤄낸 기록이면서 비공식이다. [윈터] [41] LoL e스포츠 최초 및 LEC 최초의 커리어 러너업 슬램 팀. [42] LoL e스포츠 2번째이자 LCK 최초의 커리어 러너업 슬램 팀. [43] 2군 캘린더 그랜드 슬램 [44] ASCI, NACL, EMEA Masters [45] 한인웅은 서머 시즌 출장 경기 없음. [통합] 정규시즌 및 플레이오프 통합 우승 [통합] [48] 케스파컵, 아시안 게임, 2020 MSC, 롤 마스터즈, WCG, EWC, 실내 무도 아시안게임 등등. [49] 이는 MSI가 당시만 하더라도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는 점도 한몫했다. [50] 2015 SKT, 2018 킹존, 2019 SKT, 2021 담원, 2022 T1, 2023 젠지가 이에 대표적인 사례이며, 2015년부터 참여한 9차례 대회 중 LCK 팀의 MSI 우승은 단 3회에 그치고 있다. 적은 횟수는 아니지만 리그의 위상에 비해 많은 횟수는 아니라는 평이 대세. [51] 2016-17 SKT, 2021-22 RNG, 2024 젠지가 이 부분의 대표 사례이다. 사실 LCK와 LPL의 경우 "지역 내 강팀이 많아서 오히려 골든 로드에 도전하는 팀이 나오기 힘든 역설적인 상황"이지만 서머에도 우승을 차지해 골든 로드에 월즈 우승만 남겨뒀던 2018 RNG, 2023 JDG의 행보라던가, LCK보다 상위~최상위권 경쟁 자체가 치열한 LPL 리그의 상황을 고려하면 이 또한 꼭 무조건 맞는 표현 역시 아니기도 하다. 심지어 앞서 언급된 팀들은 서머 대권 달성에 실패해 소위 "골든 로드 최종 도전권 티켓"을 얻는 데 실패한 사례이다. [52] 페이커의 2015 LCK 스프링, 서머, 월즈 우승과 데프트의 2015 MSI 우승 [53] 페이커의 2016 LCK 스프링, MSI, 월즈 우승, 데프트의 2016 LPL 서머 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