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00:35:22

계획경제

경제체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구분 생산수단을 소유하는 형태
사유 공유
경제를 관리하는 주체 시장 자본주의 시장경제 사회주의 시장경제
정부 자본주의 계획경제 사회주의 계획경제
}}}}}}}}} ||


1. 개요2. 유래3. 장점4. 단점5. 오해

1. 개요

계획경제(, Planned economy)는 국가의 경제 활동을 정부 주도에 따라 펼치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에 필요한 자원의 배분이나, 생산물의 분배를 정부가 계획하여 결정한다. 계획경제의 대표주자로 소련을 들 수 있으며, 소련의 흥망을 통해 계획 경제의 장점과 단점을 알 수 있다.

2. 유래

오늘날 흔히 계획경제로 불리는 경제체제는 주로 소련이 시행했던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소련 이전에도 산업혁명 당시 후발주자였던 독일 제국이나 러시아 제국이 국가가 산업화 계획을 수립해서 주도한 사례가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례는 오늘날 우리가 흔히 언급하는 계획경제보다는 국가가 경제개발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을 뿐, 기본적인 경제 시스템은 자본주의 체제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다만 독일 제국이 진행했던 국가 주도 산업화는 훗날 러시아 제국에도 영향을 미쳤고, 간접적으로는 소련에서 산업화 모델로 삼은 국가 주도 경제개발 정책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소비에트 정부는 초창기에는 낙관론에 힘입어 여러가지 실험적인 정책들[1]을 시행하려다가 적백내전으로 한바탕 고생을 한다. 소련은 적백내전에서 승리를 거두기는 했지만 내전과 기근으로 러시아의 경제는 황폐화되었기 때문에 전후복구가 매우 시급한 과제였고, 신경제정책으로 자본주의적 요소를 일부 재도입했다.

이후 중소기업 활성화와 토지개혁 및 자영농 육성 등을 포함한 신경제정책으로 경제가 정상을 되찾고 나서는 좀 더 빠른 산업화와 늘어나는 빈부격차 문제 때문에 경제정책 노선에 대한 논쟁이 일었다. 1920년대 이 시기의 대표적인 논쟁으로 부하린과 프레오브라젠스키 사이의 논쟁이 있었는데 1928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프레오브라젠스키가 주장한 공업 중심의 전면적인 산업화 방식을 채택하여 5개년 계획을 시작한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대기근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경제발전 과정에서 농촌이 황폐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경제성장률이 10%대를 웃도는 데 비해 구매력은 그에 걸맞지 않게 성장하지 않는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았다. 그럼에도 소련은 1930년대 산업화정책으로 대공황 당시 다른 선진국에 비해 실업률이나 경제위기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하면서 산업화도 성공적으로 이룩하면서 소련을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일구어냈다.

경제발전 외에도 계획경제가 가져온 부차적인 성과의 하나로 수리경제학의 발전이 있다. 레오니트 칸토로비치를 비롯한 소련의 수학자들은 경제 계획을 세우기 위해 정교한 수리경제학적 방법들을 고안해 내었다. 또한 소련의 학자들은 오가스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등 컴퓨터를 이용하여 경제 계획을 세우려 하였고 이는 컴퓨터 과학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

3. 장점

4. 단점

5. 오해

우익 진영에서는 자본주의 국가의 국가 주도 경제개발정책을 계획경제라고 오인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심지어 사회주의라고 호도하기도 한다. 사실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자본주의 국가의 통제경제(국가자본주의)[8]는 상당히 많은 차이점을 갖고 있다.

계획 경제라는 개념 자체가 소련에서 만들어진 용어고, 시도된 것인 만큼, 계획 경제는 경제 단위 건설, 내수, 무역, 생산, 소비 등 경제 영역에서 거의 모든 부분에서 주기적인 계획을 할당하며, 단순히 국가가 아니라 당, 지역 소비에트의 다중적인 통제를 받는다. 이에 반해, 대한민국, 인도, 이집트, 싱가포르 등 여러 나라에서 실시된 통제 경제는 정책명이 N개년 계획일 뿐, 사실상 시장 경제 내에서 정부의 간섭을 강화한 경제 구조에 가까우며, 직접적인 산업 계획도 어디까지나 민간이 소유한 자본을 바탕으로 하여 경영을 정부와 합영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계획 경제라고 단정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자본주의 국가의 통제 경제에서는 계획 경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상향식 경제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계획 경제라고 할 수 없다.

가령, 대한민국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만 하더라도 1차(1962-1966)를 제외하고는 모조리 민간 자본을 인정하는 선에서 정부가 염두에 둔 방향으로 나아가게끔 지원하는 지원책의 성격이 강했을 뿐이다. 이런 방법론은 정부의 직접적인 경제 운용이 아니라, 특정 기업에게 면세, 자금 지원, 저이자 대출 등의 혜택을 주면서 원하는 산업 구조로의 전환을 장려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그리고 국영기업의 수는 계획 경제라 일컬어지던 당대 사회주의 국가랑 비교했을 때 5분의 1 수준도 안 되었다.

물론, 통제 경제 정책은 계획 경제의 일면적인 부분을 도입한 것이기에 계획 경제와 완전히 독립적인 개념은 아니다.

참고로, 계획 경제가 비교되는 통제 경제는 자본주의의 종주국 미국도 2008년 금융위기에서 좀비기업들을 정부가 인위적으로 살려줬다. 중국과의 무역경제에서 국가가 개입하여 관세전쟁을 시작했다. 2020년 코로나로 인한 경제 위기에서도 인위적인 시장개입으로 양적완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양적완화로 인해 팽창한 자산버블이 채 회수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시장의 흐름을 어기고 정부가 큰 개입을 하는 것이다.


[1] 예를 들면 화폐를 무제한으로 찍어내서 사유재산 자체를 무효화시키려고 하는 것.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사유재산을 무효화한다는 목표를 달성했지만 러시아 사회 전반에 걸쳐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다. 훗날 소련은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1946년 헝가리에서 화폐를 대량으로 발행하여 헝가리 경제를 마비시켰다. [2] 실제로 과거 공산권 국가나 사회주의 정부에서 종종 네트워크나 정보처리기구에 많은 관심을 보였던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었다. 기존의 관료행정체계가 너무나도 막대한 비용을 요구할 수 밖에 없던 구조였기 때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모두 불발되었는데 그 이유가 바로 그 관료제보다 더 막대한 비용을 요구해서(...) [3] 100%가 아닌 이유는, 개인 단위에서 관리와 처분이 가능했던 뙈기밭(텃밭)이 아주 적은 비율이지만 있기는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뙈기밭 생산물들이 농민시장 등을 거쳐 당시 식량 수요 상당부분을 책임져왔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4] 다만 이건 계획경제만으로 인해 벌어진 일이라고 보긴 어렵다. 애당초 소련의 경제계획 자체가 바로 이 농업생산물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한 것이었기 때문. [5] 그렇다고 미국이 식량을 무기로 사용할 수도 없었다. 냉전이 한창이던 시절 미국은 소련 곡물수출 금지법을 제정하였으나 소련은 아르헨티나에서 식량을 수입할 수 있었으며 오히려 가격 하락을 우려한 미국 내 농부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물론 소련 또한 이후로 식량 수입을 다변화하였다. [6] 비누를 예로 들면 연초엔 1억 개만 생산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해 1억 개만 생산할 재료를 구비해서 비누를 생산해 놨는데, 하필 그 해 이상기후로 인해 더위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빨래, 목욕 횟수가 급증하다 보면 비누 소비량이 예상보다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면 당연히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게 되고 비누가 희소성을 띠게 되고 만다. [7] 게다가 이런 식의 품귀현상이 잦아지다 보니, 평소에도 '일단 쟁여 두고 보자'는 식의 심리가 퍼지게 된 탓에 사재기가 흔했다고 한다. 결론은 악순환의 연속. [8] 간혹, 경제학에 무지한 경우, 국가자본주의를 자본주의+계획 경제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국가자본주의 경제 역시 시장에 제 상품 재생산의 핵심이 부여되며, 다만, 정부가 이 과정에 최대한 간섭할 뿐이다. 제 상품의 재생산에서 시장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 그리고 이 시장에 대한 간섭의 선이 그 시장 자체를 허무는 수준이 아니라면, 어떠한 간섭이 이루어지더라도 계획 경제라고 볼 수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