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1 14:44:50

경주 지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상세3. 목록
3.1. 100년 지진3.2. 304년 지진3.3. 458년 지진3.4. 510년 지진3.5. 630년 지진3.6. 664년 지진3.7. 768년 지진3.8. 779년 지진3.9. 1035년 지진3.10. 1036년 지진3.11. 1430년 지진3.12. 1526년 지진3.13. 1557년 지진3.14. 1564년 지진3.15. 1921년 지진3.16. 1939년 지진3.17. 1997년 지진3.18. 2016년 지진3.19. 2023년 지진
4. 관련 문서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일대는 양산단층과 울산단층 등 여러 개의 단층이 지나는 지역으로, 한반도에서 지진이 가장 자주 일어나는 곳 중 하나이며, 그중에서도 역사상 강력한 지진으로 손꼽히는 것들이 이곳에서 발생한 적이 있다. 이 문서에서는 이들의 지진을 서술한다.

2. 상세

경상북도 경주시는 천년 동안 신라의 수도였고, 신라가 망한 후 조선시대까지도 대도시의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이 일대에서 일어난 지진은 삼국시대 때부터 기록이 되어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 일어난 지진보다 기록이 많이 남아 있다. 또한 삼국시대의 경주는 지금보다도 큰 도시였고, 인구가 매우 밀집된 지역이었는지라 경주에서 주기적으로 일어난 지진은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가져왔었다.

3. 목록

3.1. 100년 지진

100년 10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7, 최대진도 VIII~IX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21년(100)〕 겨울 10월에 경도(京都)에 지진이 일어나 백성들의 가옥이 쓰러져 죽은 자가 생겼다.
三國史記 권 제1 신라본기 제1, 파사(婆娑) 이사금(尼師今)

3.2. 304년 지진

304년 8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1, 최대진도 VIII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7년(304) 가을 8월에 지진이 일어나 〔땅에서〕 샘이 솟아올랐다.
三國史記 권 제2 신라본기 제2, 기림(基臨) 이사금(尼師今)

304년 9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7, 최대진도 VIII~IX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7년(304)〕 9월에 수도[京都]에 지진이 일어나 민가가 무너지고 사람들이 죽었다.
三國史記 권 제1 신라본기 제1, 파사(婆娑) 이사금(尼師今)

3.3. 458년 지진

458년 2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4, 최대진도 VIII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42년(458) 봄 2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금성(金城)의 남문이 저절로 무너졌다.
三國史記 권 제3 신라본기 제3, 눌지(訥祗) 마립간(麻立干)

3.4. 510년 지진

510년 5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7, 최대진도 VIII~IX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11년(510) 여름 5월에 지진이 일어나 인가(人家)가 무너져서 죽은 사람이 있었다.
三國史記 권 제4 신라본기 제4, 지증(智證) 마립간(麻立干)

3.5. 630년 지진

630년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3, 최대진도 VII~VIII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52년(630)에 대궁(大宮) 마당의 땅이 갈라졌다.
三國史記 권 제4 신라본기 제4, 진평왕(眞平王)

또한 이 지진은 이듬해인 631년에 칠숙 석품이 난을 일으키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하지만 반란은 사전에 발각되었고 칠숙은 그자리에서 구족들과 같이 잡혀 죽었으며 석품은 백제까지 도망쳤다가 가족을 데리러 가던 도중 잡혀 죽었다.

3.6. 664년 지진

664년 8월 14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4, 최대진도 VIII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4년(664)〕 8월 14일(음력)에 지진이 일어나 백성들의 집을 무너뜨렸는데, 남쪽 지방이 더욱 심하였다.
三國史記 권 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文武王)

3.7. 768년 지진

768년 6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4, 최대진도 VIII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우물과 샘이 모두 말랐고 호랑이가 궁궐에 들어왔다.
三國史記 권 제9 신라본기 제9, 혜공왕(惠恭王)

3.8. 779년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779년 경주 지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1035년 지진

1035년 10월 26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4.7 최대진도 V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3.10. 1036년 지진

1036년 7월 17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4, 최대진도 VIII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036년 경주 지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1430년 지진

1430년 9월 30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5.8, 최대진도 VI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경상도 경주(慶州)·신녕(新寧)·흥해(興海)·청하(淸河)·영일(迎日)·밀양(密陽)·김해(金海)·울산(蔚山)·의성(義城)·영해(寧海)·하양(河陽)·문경(聞慶)·진보(眞寶)·장기(長鬐)·청도(淸道) 등 고을에 지진이 일었다.
세종실록 49권, 세종 12년 9월 13일 신해 3번째기사

3.12. 1526년 지진

1526년 9월 13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4.7 최대진도 V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3.13. 1557년 지진

1557년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6.7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 여파로 경주 남산 열암곡의 마애불이 새겨진 바위가 앞으로 넘어졌는데, 수백년 동안 잊혀진 채 그냥 산자락에 흔한 넘어진 바위로 인식되고 있다가 2000년대 들어서야 알려졌다. 게다가 불상 얼굴 부분이 바닥으로부터 불과 5cm 상공에 아슬아슬하게 멈춰서 있어서 화제가 되었다. 프랑스 르몽드지는 이를 "5cm의 기적"이라고 평했을 정도.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학계와 지자체는 이 마애불을 다시 일으켜세울 계획을 갖고 관련 연구 등을 계속하고 있다.

다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마애불이 쓰러진 원인은 1557년이 아니라 987년이나 1430년 지진이 원인일 수도 있다고 한다. 2023년 세미나 소식

2023년 11월, 열암곡 마애불 바위가 최근 잦은 지진 등의 원인으로 3cm 정도 침하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3.14. 1564년 지진

1564년 6월 8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4.7 최대진도 V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3.15. 1921년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21년 경주 지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1939년 지진

1939년 10월 22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4.8(KIGAM)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울산에서는 강한 진동을 느꼈다. #

3.17. 1997년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97년 경주 지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8. 2016년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6년 경주 지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9. 2023년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3년 경주 지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

문서가 존재하는 19세기 이전 지진
~19세기
[[틀:지진/19세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colbgcolor=#868e96>
BC 1831 ~ 1731
M 6.5 태산진
62. 2. 5.
M 6.1 62년 폼페이 지진
89. 6.
M 7.0 89년 서울 지진
100. 10.
M 6.7 100년 경주 지진
115. 12. 13.
M 7.5 115년 안타키아 지진
304. 8.
M 6.1 304년 경주 지진
304. 9.
M 6.7
526. 5. 20. ~ 5. 29.
M 7.0 526년 안타키아 지진
779. 3.
M 7.3 779년 경주 지진
1036. 7. 17.
M 7.0 1036년 경주 지진
1455. 1. 15.
M 6.7 1455년 순천 지진
1518. 6. 22.
M 7.5 1518년 서울 지진
1556. 1. 23.
M 8.0 산시 대지진
1597. 10. 6.
M 8.0 1597년 백두산 지진
1643. 6. 9.
M 6.4 1643년 합천 지진
1643. 7. 25.
M 7.4 1643년 울산 대지진
1681. 6. 12.
M 6.7 1681년 양양 대지진
1681. 6. 26.
M 7.5
1703. 12. 31.
M 8.5 겐로쿠 대지진
1707. 10. 28.
M 9.3 호에이 대지진
1755. 11. 1.
M 9.0 리스본 대지진
1797. 2. 10.
M 8.7 1797년 남아시아 대지진
}}}}}}}}} ||

한반도 발생 지진 공식 규모 순위
<rowcolor=#fff> No. 규모(M) 발생연월일 진원시 진앙
<rowcolor=#fff> 위도(°N) 경도(°E) 발생지역
1 5.8 2016. 09. 12 20:32:54 35.77 129.18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화곡리 산 239-3
2 5.4 2017. 11. 15 14:29:31 36.12 129.36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천리 547-2
3 5.3 1980. 01. 08 08:44:13 40.20 125.00 평안북도 의주-삭주-귀성 지역
4 5.2 2004. 05. 29 19:14:24 36.80 130.20 경상북도 울진군 동쪽 약 80㎞ 해역
1978. 09. 16 02:07:05 36.60 127.90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 354
6 5.1 2014. 04. 01 04:48:35 36.95 124.50 충청남도 태안군 서북서쪽 약 100㎞ 해역
2016. 09. 12 19:44:32 35.76 129.19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690
8 5.0 2016. 07. 05 20:33:03 35.51 129.99 울산광역시 동구 동쪽 52㎞ 해역
2003. 03. 30 20:10:52 37.80 123.70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도 서남서쪽 약 80㎞ 해역
1978. 10. 07 18:19:52 36.60 126.70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장성리 119-10
11 4.9 2021. 12. 14. 17:19:14 33.09 126.16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km 해역
2013. 5. 18. 07:02:24 37.68 124.63 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
2013. 4. 21. 08:21:27 35.16 124.56 전남 신안군 흑산면 북서쪽 101km 해역
2003. 3. 23. 05:38:41 35.0 124.6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88km 해역
1994. 7. 26. 02:41:46 34.9 124.1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128km 해역
기상청 공식 지진 순위는 위와 같다. # (북한 지역 포함, 1978년부터의 자료)

문서가 존재하는 2016년 지진
[[틀:지진/2015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16
[[틀:지진/2017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colbgcolor=#868e96> 01. 06. M 5.1 2016년 1차 길주 인공지진
01. 30. M 7.2 2016년 캄차카 지진
02. 06. M 6.4 2016년 가오슝 지진
04. 14. M 6.5 2016년 구마모토 지진
7
04. 16. M 7.3
04. 17. M 7.8 2016년 에콰도르 지진
06. 16. M 5.3 2016년 홋카이도 지진
6-
07. 05. M 5.0 2016년 울산 지진
08. 24. M 6.2 2016년 이탈리아 중부 지진
XI
09. 09. M 5.3 2016년 2차 길주 인공지진
09. 12. M 5.2 2016년 경주 지진
M 5.8
10. 17. M 6.4 2016년 칭하이성 지진
10. 21. M 6.6 2016년 돗토리 지진
6-
10. 26. M 5.5 2016년 이탈리아 페루자 지진
M 6.1
10. 30. M 6.6
11. 13. M 7.8 2016년 뉴질랜드 지진
11. 22. M 7.4 2016년 후쿠시마 지진
5-
12. 17. M 7.9 2016년 타론 지진
12. 28. M 6.3 2016년 이바라키 지진
6-
}}}}}}}}} ||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틀:지진/2022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3
[[틀:지진/2024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colbgcolor=#868e96> 01. 06.~
~ M 4.6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3년 1월)
4
01. 09. M 3.7 강화도 해역 지진
01. 10. M 7.9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01. 14. M 5.6 네팔 지진(1월)
02. 06. M 7.8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XI
M 7.6
02. 25. M 6.1 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5-
03. 18. M 6.8 에콰도르 지진
03. 21. M 6.5 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04. 30.~
~M 6.5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3년 5월)
6+
05. 11. M 5.4 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5+
05. 11.~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5-
04. 23.~
~M 4.5[3]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 (5월 15일 지진)
05. 22.~
~ M 5.3 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5-
06. 11. M 6.2 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5-
06. 16. M 5.3 프랑스 니오르 지진
07. 29. M 3.5 장수 지진
09. 07.~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4
09. 07. M 4.9 북한 어랑 해역 지진
09. 08. M 7.4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10. 07. M 6.3 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10. 11.
10. 15.
11. 03. M 6.4 네팔 지진(11월)
11. 17. M 6.7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11. 30. M 4.0 경주 지진
12. 02. M 7.6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12. 18. M 6.2 중국 간쑤성 지진
}}}}}}}}}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3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3] 이제까지 발생한 지진의 총에너지량을 합산한 모멘트규모는 3.8로 추정되고 있다. [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