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18:39:40

건설기계설비기사

{{{+2 {{{#FFFFFF 기계장비설비ㆍ설치 분야 자격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기계기술사
건설기계정비기능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
건설기계정비기능장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술사
궤도장비정비기능사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궤도장비정비기사 -
설비보전기능사 설비보전산업기사 설비보전기사 -
- -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승강기기능사 승강기산업기사 승강기기사 -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전자부품장착산업기사
(2026년 폐지)
- -
- 농업기계산업기사 농업기계기사 -
농기계정비기능사 - - -
자동화설비기능사 자동화설비산업기사 - -
반도체설비보전기능사 - - -
타워크레인설치·해체기능사 - - -
}}} ||


건설기계 관련 자격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146. 건설기계운전 기능사 굴착기운전기능사
기중기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천공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기능사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타워크레인설치·해체기능사
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기능장 건설기계정비기능장
기술사 건설기계기술사
국가전문자격 운전면허 1종 대형
}}}}}}}}} ||

건설기계설비기사
建設機械設備技士
Engineer Construction Equipmente
중분류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관련부처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시험의 구성
2.1. 필기2.2. 실기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기사 시험으로, 주로 기계공학 전공자가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매년 정기 기사 1, 2, 3회차에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자신이 일반기계기사를 취득해야 하는데 동역학에서 고전할 경우, 동역학 대신 건설기계일반이라는 점수 따기 아주 좋은 과목이 있기 때문에 일반기계기사 대신 취득하기도 한다. 실제로 두 자격증은 동급으로 취급하니 걱정하지 말자. 보통 공기업 지원시 이른바 쌍기사를 요구하는 곳이 늘어나며 공조냉동기계기사와 더불어 쌍기사용으로 많이 따는 편이며, 일반기계기사와 내용이 70% 이상 겹치는 편이라 빠르게 쌍기사를 취득해야 하는 경우 응시하는 사람들이 보통이다. 특히 공조기사 필기면제가 폐지되면서 쌍기사 개수만 채우려면 건설기계설비기사를 고르는 것이 낫다. 물론 일반기계기사 필기면제도 폐지되긴 했으나 다루는 내용이 절반 이상 겹치기 때문에 여전히 쌍기사용으로 건설기계설비기사가 유리하다.

건설기계에 대한 정비를 주로 다루는 건설기계정비기사 자격증도 있다. 건설기계정비는 수요가 적고, 기사를 따느니 차라리 기능장을 따겠다는 사람이 많아서 연 1회(2회차)만 시행한다.

참고로 14년도부터 4과목에서 내연기관이 빠지고 유체기계가 들어갔으며, 17년도부터 5과목에서 기계제작법이 빠지고 플랜트배관이 들어갔다.

2. 시험의 구성

과거엔 일반기계기사와 실기 내용이 100% 동일했으나, 2020년 이후 작업형 시험이 폐지되어 100% 필답형으로 변경되었다.

2.1. 필기

  1. 재료역학
  2. 기계열역학
  3. 기계유체역학
  4. 유체기계 및 유압기기
  5. 건설기계일반 및 플랜트배관

산업기사는 기계열역학, 기계유체역학, 유체기기, 플랜트배관을 보지 않고, 기계제작법,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가 추가되어
  1. 기계제작법
  2. 재료역학
  3.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 유압기기 및 건설기계일반
으로 치른다

2.2. 실기

실기시험은 작업형 없이 필답형으로 구성된다. 필답형 문제의 출제 범위는 일반기계기사 필답형의 기계요소설계 55~65%[1], 네트워크 공정도 5~10%, 건설기계(기계요소설계, 건설기계일반, 유체기계, 파이프배관 등) 이론을 묻는 선택형 및 단답형 문제 25~35%이다. 기계요소설계 파트의 문제는 통상 60% 정도로 출제된다. 문제 난도는 일반기계기사보다 살짝 낮은 편이며, 문제 유형은 사실상 똑같다.

네트워크 공정도 문제의 경우 보통 10점 짜리 문제로써 비중이 가장 높으므로 과년도 문제를 통해 공정도와 표 전체에 공정 시간 채우기, 크리티컬 패스(최적 공정과정)를 완벽히 만드는 연습을 많이 해보길 바란다. 특히 요즘 공정도 문제가 상당히 어렵게 나오기 때문에 이거 미리 그려보지(정확히는 크리티컬 패스를 빠릿하게 그려서 빠르게 공정 시간을 계산해내는) 않으면 적게는 5~6점, 심하게는 9~10점까지 잃게 되니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이게 안 되면 필답에서 큰 구멍이 뚫리기 때문에 합격 장담이 어렵다 역시 동역학을 포기하면 그만큼의 댓가가 따른다. 실기 준비로 많이 사용하는 학진북스 교재의 공정도 내용은 오탈자나 틀린 내용이 많다. 여유시간의 경우 헷갈리기 쉽게 어렵게 설명해 놓았으며, 특히 특급공정 관련 내용은 풀이가 아예 틀렸다. 따라서, 유튜브에 네트워크 공정도 강의를 보면서 연습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타 직렬(토목기사 등)의 무료강의 정도면 충분한 대비가 가능하다.

이 외에도 빈칸 채우기 등의 주관식 문제들이 있어 단순 공식 암기 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부분도 공부해놓는 것이 좋다.[2] 물론 내용을 늘리면 늘릴수록 매우 방대해지기에 전부 풀 수 있다는 생각은 하지 말고 남들 맞추는 것 정도는 맞춘다 정도면 된다. 100점 받을 필요 없이 60점만 넘기면 합격이므로 그 정도만 해도 충분하다.

[1] 점수 기준 [2] 공기업을 준비 중인 경우 전공 공부와 내용이 겹치기에 건설기계파트를 제외하곤 수월하게 풀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