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0:31:23

WASD

WSAD에서 넘어옴
파일:WASD.jpg
[1]

1. 개요2. 과거의 방향키 조작3. WASD의 본격적인 사용4. 변형5. 기타6. 게임 전용 왼손 키보드

1. 개요

키보드에서 맨 좌측에 위치한 QWERTY식 영문 자판키의 배열. 키보드 우측의 화살표 키와 배열이 비슷해서 FPS를 비롯한 각종 게임에서 이동키로 많이 쓰인다. 순서대로 각각 앞, 왼쪽, 뒤, 오른쪽.

2. 과거의 방향키 조작

오늘날에는 WASD가 표준처럼 사용되지만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이동 시 방향키로 조작하거나, 숫자 키패드로 이동하거나[2], 마우스 버튼을 전진/후진으로 설정하고 컨트롤키로 사격하거나 하는 등의 매우 다양한 조작계가 존재했다.

최초로 그래픽을 구현한 로그 vi의 커서 조작키에서 따온 hjkl yubn을 사용했다. 이는 각각 왼쪽, 아래, 위, 오른쪽, 좌상, 우상, 좌하, 우하에 해당되었다. 이 조작계는 넷핵을 비롯한 정통파 로그라이크에 기본 설정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이것이 변형되어 hnuk yibm인 것도 있다. J키를 기준으로 했을때 그 키가 있는 방향으로 조작된다.[3] 이랬던 이유는 1980년대 초까지 나온 컴퓨터에는 방향키가 없거나 있어도 부실했기 때문이다.[4]

FPS의 고전 만 하더라도 방향키 좌우는 회전에 쓰이고 수평횡이동은 쉼표 ,키와 마침표 .키를 사용하는 방식[5]이었고, 둠이나 퀘이크 1처럼 수평횡이동을 위해서는 알트와 뱡향키를 동시에 눌러야 하는 게임도 있었다. 마이트 앤 매직 6는 공격키가 A였고 좌우로 회전, 상하로 앞뒤 이동, 시점을 올리고 내리는 것은 Page Up/Down이었으며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하려면 화면을 마우스로 직접 클릭해야 했다.[6] 디센트처럼 키 서너 개로는 완벽하게 이동도 안 되는 경우도 있었다.[7] 이 시절부터 게임을 해온 사람들의 경우 키 설정을 바꿔서 아직도 이런 스타일의 조작계를 쓰기도 한다. 더 과거로 돌아가면 XT 시절의 더블 드래곤 DOS 버전처럼 일부 게임은 상하가 QA, 좌우가 OP에 공격을 스페이스바로 사용하는 조작계도 있었고 XT 시절의 게임 중에는 펑션키를 이용하는 게임도 있었다.[8] 8비트 MSX 게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방향키와 스페이스바 조합이 기본인 경우가 많았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가 막 나왔을 때에는 WASD가 움직임의 메인키 기본값이긴 하나, 마우스 없이 화살표 좌우로 시점 좌우 이동, 페이지 업/페이지 다운으로 시점 상하 이동, 엔터키로 발사 등등의 보조키를 기본값으로 지정해두기도 하였다. 마우스를 이용한 시점 조종은 번지 마라톤 트릴로지에서 이미 구현되었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마우스 없이 FPS 게임을 하는 경우가 꽤 있었기 때문이고 당시의 다른 게임들도 이런 경우가 많았다. 이는 1.6을 가져다 쓴 카스 온라인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3. WASD의 본격적인 사용

게이머들이 WASD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이유
1990년대에 FPS 게임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고 정밀한 조준과 빠른 이동이 동시에 요구되면서 편리한 키 배치를 연구하던 일부 게이머들이 WASD를 이동키로 셋팅하고 마우스로 조준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1997년에는 퀘이크 1 대회 '레드 어나이힐레이션'[9]에서 WASD를 사용한 Thresh[10]가 우승하면서 게이머들 사이에 널리 알려진 조작법이 되었다. 그리고 1998년 출시한 하프라이프가 WASD 기본 이동키 설정으로 탑재했고, 하프라이프보다 11일 늦게 출시된 스타시즈: 트라이브스도 WASD를 기본값으로 탑재했다. 결정적인 일은, 하프라이프의 MOD로 개발됐다가 스탠드얼론으로 분리된 카운터 스트라이크가 대중들에게 대히트를 치며[11] WASD 조작 방식이 게임계 전반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 속편인 트라이브스 2는 EDSF가 기본값.] 이후 전략 시뮬레이션이나 액션 게임, MMORPG를 포함한 RPG 등 다른 장르에서도 널리 쓰이게 된다. PC 게이머 - 'WASD는 어떻게 PC 게임의 기본 조작방식이 되었나'(영문) Thresh의 인터뷰

이전까지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WASD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에뮬레이터로 콘솔 게임을 하는 경우, 대부분 조이패드를 좌 십자키 우버튼에 대응하기 때문에 방향키를 쓰면 좌우가 반대라 적응하기 어렵다. MAME를 비롯한 대부분의 에뮬레이터들이 기본 셋팅을 방향키 이동으로 설정해 놓았다. WASD를 쓰면 키보드 오른쪽을 버튼으로 쓸 수 있어서 컨트롤이 조금 더 수월한 편. 아래의 ZXCV 등이 방해가 될 수 있지만 콘솔 게임의 좌핸들링이 익숙할 경우 WASD를 방향키보다도 자주 쓰게 된다. 그래서 게임을 많이 하는 사람들의 키보드를 보면 이 WASD만 키가 닳아 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그러나 조이패드와 키보드의 조작감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손의 위치와 상관없이 이질감이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고, 사람에 따라선 방향키 조작이 오히려 WASD보다 편한 사람도 있다. 또한 동방 프로젝트 등의 슈팅게임은 기본 조작 설정을 방향키 이동과 z,x 키로 설정해 놓았다.

다만 WASD는 아무래도 하나의 캐릭터를 조작해서 이동하며 진행하는 액션 RPG나 FPS 게임 등에 어울리는데 반해, 정밀하고 빠른 캐릭터 이동이나 화면 조작이 필요없고 조작키가 많은 전략게임, 시뮬레이션 등에는 해당 사항이 없다. 오히려 이런 게임에서는 WASD를 각종 단축키로 사용하며 잡아먹어 버리므로 방향키로 화면을 움직여야 하기도 한다. 예외적으로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워 썬더는 WASD 조작체계로 항공기의 운동방향을 결정하고 일반 FPS게임들처럼 마우스 에이밍으로 항공기의 움직임을 조종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WASD+마우스 조합을 사용한다.

특히 AOS 장르의 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QWER이 많이 닳아 있다. 화면 스크롤은 마우스로 하면 되고, 시스템상의 한계[18]로 QWER 단축키를 쓰지 못했던 워크 3 유즈맵을 제외하면, AOS는 대개 QWER 단축키를 사용하기 때문. 파라곤 같은 경우엔 압도적으로 우월한 그래픽을 과시하기 위해 AOS 장르에서도 3인칭뷰를 도입하고 이 컨트롤에 WASD를 적용했지만 이 실험은 결국 패착으로 끝나고 파라곤은 언리얼 엔진의 무료제공 고퀄리티 에셋으로 땡처리 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이렇게 WASD 조작체계의 영향력이 크다 보니 어린 인디게임 개발자들 중에는 장르 상관없이 무조건 WASD 조작체계를 강요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키 변경 기능이 있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사람에 따라선 굉장히 불편하다. 그리고 일본게임의 경우 WASD 조작체계를 기본으로 설정해놓지 않고 서두에서 설명했던 고전적인 조작법을 기본으로 설정한 경우가 많다.

4. 변형

ESDF나 RDFG처럼 WASD를 오른쪽으로 옮긴 변형판도 존재한다. WASD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 주변 영역의 키가 큰 것들이 많아 누를 수 있는 게 적다. 특히 새끼손가락과 엄지의 경우 쉬프트/컨트롤과 스페이스바/알트 셔틀에 가깝다. 다시 말해 WASD는 즉 사용하는 키 종류가 적은 대신 자주 눌러야 하는 게임들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상대적으로 누를 키가 적은 FPS 계열에서는 잘 어울리지만 누를 키가 많은 경우에는 손을 자꾸 옮겨야 한다. 따라서 이동키를 오른쪽으로 옮겨서 새끼손가락과 약지로 누를 수 있는 키를 늘리는 방법으로, 다양한 스킬을 사용해야 하는 MMORPG 등에서 종종 사용된다. 대신 손가락이 짧으면 컨트롤이나 알트키를 누르기가 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차등 키압 리얼포스 사용자는 WASD보다 ESDF를 선호한다.[19]

방향키 대신 키패드의 방향키를 사용하듯이 WADX를 쓰는 경우도 있다. FPS같은 경우는 전진하다 딜레이 없이 후진으로 전환할 필요가 거의 없지만 격투 게임 같은 경우 빠른 조작이 중요해 각 키마다 손가락을 올려둬야 하는데 WASD에 미리 손가락을 다 올려놓기엔 엄지손가락이 불편하고, W에서 S로 중지를 옮기는 데 약간의 딜레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WADX로 설정이 되는 편이다. 이후 ↑방향이 점프로 쓰인다는 점에 착안해 ASD+스페이스로 설정하는 케이스도 생겨났다.

이외에도 AD를 좌우선회로 설정하고 QWES를 이동용으로 쓴다거나,[20] 전후진 키를 한 칸씩 내려 ASDX를 쓴다거나, AD는 여전히 좌우이동으로 쓰지만 , 레인보우 식스처럼 전진이나 점프 등의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대체하는 등 여러가지 변형이 존재한다. 드물기는 하지만 키보드를 45도 각도로 돌린 뒤 FDEC나 DSWX를 쓰는 사람도 있고 왼손을 키보드 중앙으로 옮겨 IJKL나 UHJK를 쓰는 사람도 있고[21] WSXC나 ASDF, ASXC, QASD, ASZD, AShiftZX[22], WERD, QWSD 등 희한한 세팅을 해서 사용하는 사람들도 드물게 있다. 다만 키 설정 바꾸는 게 아무래도 귀찮기도 하고, 특히 게임들이 대부분 콘솔 멀티플랫폼으로 나오면서는 자유로운 키 세팅 변경이 어려워져[23] 거의 WASD로 넘어오는 추세.덕분에 왼손 관절이 굳어서 잘 움직이지 않는 사람은 그저 웁니다

키보드는 타자기 시절 금속 막대가 겹치는 것을 막기 위해 줄마다 글쇠가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던 것이 그대로 이어져 내려와서 문자 입력 키가 줄마다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경우 QWE줄과 ASD줄 사이만 문자 키 폭의 1/4 정도 엇갈려 있고 나머지(123줄과 QWE줄 사이, ASD줄과 ZXC줄 사이)는 반 정도 엇갈려 있다. 즉 WASD로 하면 오른쪽의 방향키 배치와 거의 같으면서도 위쪽 키의 치우침 정도가 그나마 덜해서 안성맞춤인 것.

5. 기타

6. 게임 전용 왼손 키보드

파일:왼손_전용_게임키보드.jpg

키보드의 일부만 잘라 WASD 및 주변 키만으로 구성된 게임 전용 왼손 키보드 같은 것도 판매되고 있다. 보통 한손 키보드라고 불린다. 정말로 키보드를 두동강 낸 것같은 스플릿 키보드도 있으나 아무래도 비주류다.[24]

그저 일반 키보드의 왼쪽만을 뚝 잘라놓은듯한 심플한 디자인이 있는가 한편, 위 사진과 같이 바둑판식으로 설계된 제품도 존재한다. 다만 사용하는 키만 주로 쓰게 되는 FPS류의 게임에는 어울리지만, 별에별 키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 시뮬레이션 혹은 RPG류의 게임에는 당연하겠지만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일부 제품군은 자기가 원하는 키를 맵핑해 사용할 수 있는 매크로 기능이 추가돼서 나오기도 하는데, 이런 제품군은 특정 커맨드를 반복적으로 눌러야 하면서도 한 손에는 펜이나 마우스를 만져야 하는 일러스트레이터나 디자이너들도 알음알음 많이 사용한다. 아예 조작 휠이 추가된 작업용 왼손 키보드가 나오기도 한다.

다만, 이 키보드만으로는 채팅 또는 ID / Password 입력 등 타이핑이 불편하므로 정상 규격 키보드에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한국인은 부모를 지키기 위해 이 키보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유머가 있다.


[1] 위 키보드는 독일어 전용 키보드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키보드라면 X키 왼쪽에는 Y 대신 Z가 존재한다. [2] 카트라이더와 같은 레이싱 게임은 WASD를 이용하여 조작하기에는 왼손잡이가 아닌 이상 불편하기 때문에 방향키나 넘버패드를 이용한다. 텐키리스 키보드나 노트북 환경에서는 IJKL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3] 같은 맥락으로 넘패드의 1~9를 쓰기도 한다. 이때는 5가 기준. [4] 당시 많이 썼던 8비트 PC 중에 Apple II는 방향키가 좌우만 있고 상하가 없었고, 코모도어 64는 방향키가 오른쪽과 상단 방향만 있었고 왼쪽과 하단은 Shift 키를 같이 눌러야 했다. 이런 이유로 Apple II에서 화면 에디팅시 상하좌우 이동은 ESC-IJKM이였다. 이후로 수많은 애플 게임이 상하좌우 이동에 IJKM을 이용했다. [5] ,키와 .키 위에 각각 Shift로 입력할 수 있는 '<', '>'의 특수문자가 있기 때문. [6] 이는 마이트 앤 매직 5까지의 조작계를 약간 바꿔서 적용한 것으로, 후대에는 현대적인 FPS 조작계로 변경하는 유저 모드까지 생겼다. [7] 우주선을 조작해 완벽한 3차원적인 이동을 하는 게임이므로 상하좌우 앞뒤 이동에 각각 키가 필요하고, 거기에 추가해서 상하좌우 앞뒤로 기수를 돌리는데 키 6개가 더 필요하므로 움직이는 데만 12개가 필요하다. 마우스를 쓴다고 해도 상하좌우 이동이 될 뿐이므로 그중 4개를 줄일 수 있을 뿐이다. 다만 꼭 12개를 다 세팅해서 쓸 필요는 없었다. 굳이 수직상승키를 누르기보다는 기수를 위로 돌려서 전진하는 식으로도 어느 정도 커버가 되기 때문이다. [8] 문제는 XT의 84키 키보드는 펑션키가 키보드 왼쪽에 2x5 배열로 있지만 AT 이후의 101키 키보드는 펑션키가 키보드 위쪽에 일렬로 있어서 영 골치 아팠다. [9] 페라리 스포츠카가 우승상품이었다고 한다. [10] 본명은 데니스 퐁 (Dennis Fong)으로 대만계 미국인. 전국단위로 열린 최초의 e스포츠 대회에서 우승하여 최초의 프로게이머라 거론되기도 한다. (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어 있다.) 그러나 수근관 증후군으로 게이머 생활을 오래 이어가진 못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인 쓰레쉬는 그의 닉네임을 따라 이름지어졌다. # [11] 하프라이프 게임 자체도 당시 FPS 히트작이긴 했으나, 퀘이크 2, 언리얼 등의 게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카운터 스트라이크는 하드코어 FPS 매니아가 아닌, 수 많은 일반 게이머들에게 널리 알려지며 기존의 퀘이크 시리즈나 하프라이프 같은 FPS 매니아들이 찾는 게임의 범위를 넘어서서 대중적으로 엄청나게 커다란 흥행을 했다. 정확하게 하프라이프의 흥행이 아닌, 카운터 스크라이크의 흥행이었다. 당시 카운터 스트라이크를 플레이하는 유저들 중 하프라이프가 뭔지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 [12] 둠과 같은 초창기 FPS는 정밀조준이 필요 없었으므로 애초에 마우스를 잡을 필요가 별로 없다. 그래서 양손에 조작키가 나뉘어 있어도 괜찮았다. 뭐 그래도 둠은 옵션에서 마우스 조준을 지원하기는 했다. [13] 반대로 스타워즈: 구 공화국과 같이 Q, E가 좌우이동이고 A, D가 좌우회전인 경우도 있다. [14] 몸을 좌우로 기울여 벽 뒤에서 머리 또는 몸통 일부만 보이게 하는 것. 레인보우 식스 시즈 등 일부 FPS에서 쓰인다. [15] 대부분 WASD 타입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게임에서 스페이스바는 점프로 쓰인다. [16] Ctrl, Shift, Caps, Tab [17] 극단적인 예로 Alt+F4가 있다. [18] 체력바를 보는 단축키가 Alt라서 Alt를 누르면서 플레이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게임 종료 단축키가 하필이면 Alt+Q+Q였다. 옆으로 한칸 옮겨서 WERT로 사용하면 될 것 같지만 그렇게 되면 1234키나 A키를 사용하기 어렵다. [19] W, S, D에 비해, 원래는 새끼손가락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는 A의 키압이 낮게 설정돼 있어서 위화감이 있기 때문. [20]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파이널 판타지 14등의 MMORPG의 기본 세팅이 이렇게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부분 WASD로 이동 세팅을 바꾸는데, 좌우선회는 마우스로도 되기 때문. [21] 리눅스의 vi에디터 등은 HJKL을 방향키로 쓴다. 비슷하게 IJKL을 방향키로 쓰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이러한 이동 형식은 커서키나 키패드가 없는 키보드를 많이 쓰던 터미널 시절 고안된 것이다. 물론 요즘은 vi에서도 커서키와 키패드를 지원한다. [22] 베데스다의 1995년작 FPS 터미네이터 퓨처쇼크가 이 셋팅을 썼다. [23] 가령 이동키를 WASD에서 다른 것으로 바꿀 수 있게 했더라도, 메뉴 조작키는 기본으로 WASD로 설정되어 바꿀 수 없다거나 하는 게임들이 있다. [24] 스플릿 키보드는 대부분 속기용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