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20:30:53

Elton John(음반)

The King Must Die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000000 {{{#!folding [ 정규 앨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Empty Sky
1969.06.06
Elton John
1970.04.10
Tumbleweed Connection
1970.10.30
Madman Across the Water
1971.11.05
Honky Château
1972.05.19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
1973.01.22
Goodbye Yellow Brick Road
1973.10.05
Caribou
1974.06.24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
1975.05.19
Rock of the Westies
1975.10.04
Blue Moves
1976.10.22
A Single Man
1978.10.16
Victim of Love
1979.10.13
21 at 33
1980.05.13
The Fox
1981.05.20
Jump Up!
1982.04.09
Too Low for Zero
1983.05.30
Breaking Hearts
1984.06.18
Ice on Fire
1985.11.04
Leather Jackets
1986.10.15
Reg Strikes Back
1988.06.20
The Complete Thom Bell Sessions
1989.02.01
Sleeping with the Past
1989.08.29
The One
1992.06.15
Duets
1993.11.22
Made in England
1995.03.20
The Big Picture
1997.09.22
Songs from the West Coast
2001.10.01
Peachtree Road
2004.11.08
The Captain & the Kid
2006.09.16
The Union
2010.10.19
The Diving Board
2013.09.16
Wonderful Crazy Night
2016.02.05
Regimental Sgt. Zippo
2021.06.12
The Lockdown Sessions
2021.10.22
}}}}}}}}}}}}
{{{#!folding [ 비정규 음반 ]
{{{#!folding [ 주요 노래 ]
{{{#!folding [ 관련 문서 ]
}}}}}} ||
엘튼 존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1969년 6월 6일
1집 Empty Sky
1970년 4월 10일
2집 Elton John
1970년 10월 30일
3집 Tumbleweed Connection
Elton John의 수상 내역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000><colcolor=#DAA520> 파일:Grammy.svg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작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작품명 <colcolor=#373a3c,#ddd>
종류
아티스트
헌액 연도 2013년 }}}}}}}}}'''

[[RIAA|
파일:RIAA 골드.png
]]

미국 내 판매량 500,000 단위 이상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468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03년 468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800080><width=90> || 올 타임 탑 1000 앨범
465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465위 ||

파일:Nostalgie.png 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485위

Elton John
파일:1586469366EJalbumFrontCover.jpg
<colbgcolor=#000><colcolor=#fff> 발매일 1970년 4월 10일 (UK)
1970년 7월 22일 (US)
녹음 기간 1970년 1월 19일 ~ 1월 22일
녹음실 영국 런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장르 , 심포닉 록, 심포닉 팝
재생시간 39:27
프로듀서 거스 더전
발매사 DJM (UK), Uni (US)

1. 개요2. 변화3. 녹음4. 발매5. 싱글6. 참여자7. 트랙 리스트
7.1. Side 1
7.1.1. Your Song - 4:047.1.2. I Need You to Turn To - 2:327.1.3. Take Me to the Pilot - 3:477.1.4. No Shoe Strings on Louise - 3:317.1.5. First Episode at Hienton - 4:48
7.2. Side 2
7.2.1. Sixty Years On - 4:357.2.2. Border Song - 3:227.2.3. The Greatest Discovery - 4:127.2.4. The Cage - 3:287.2.5. The King Must Die - 5:23
7.3. 보너스 트랙
7.3.1. Bad Side of the Moon - 3:157.3.2. Grey Seal - 3:357.3.3. Rock and Roll Madonna - 4:17
8. 세션 기간 작곡된 다른 곡들
8.1. Thank You Mama - 3:208.2. All the Way Down to El Paso - 2:508.3. I'm Going Home - 3:058.4. In the Morning - 2:47
[clearfix]

1. 개요

엘튼 존의 2번째 정규 앨범이자 셀프 타이틀 음반이며,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을 무명에서 벗어나게 만들어 준 앨범이다.

2. 변화

1969년 정규 1집 Empty Sky 녹음 및 발매 무렵, 엘튼 존은 버니 토핀과 함께 수많은 곡들을 쓰면서도 동료 뮤지션들의 음반에 참여하여 백 보컬과 건반 연주를 맡는 세션 뮤지션으로 활동했고,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영국에서 유행하던 커버곡들로 구성된 컴필레이션 앨범들에도 참여하여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수많은 커버곡들을 녹음하는 작업을 병행했다. 이 시기에 녹음한 상당수의 커버곡들은 1994년 컴필레이션 앨범 Chartbusters Go Pop에 수록되었다.[1]

무명 시절부터 수년간 소속했던 영국의 음반사 DJM 레코드에서 협업을 이루었던 뮤지션들과 함께 기악 밴드 '브레드 앤 비어 밴드'를 결성하여 여러 히트곡들을 연주곡으로 편곡한 앨범 《The Bread and Beer》를 녹음했지만 1969년 2월 발매한 리드 싱글 "Dick Barton Theme (Devil’s Gallop)"의 상업적 실패로 인해 발매가 취소되었고 밴드 활동도 중단했다.[2] 1969년에는 초기 동료들인 기타리스트 케일럽 퀘이와 드러머 나이절 올슨, 그리고 슈퍼트램프의 멤버였던 로저 호지슨 등 뮤지션들로 구성된 일회성 밴드 '아고시'에 참여했고 "Mr. Boyd" 싱글 하나만 발매했다.[3] 그 무렵, 런던 소호 버윅 스트리트의 음반 매장에서 직원으로 일하기도 했다.[4]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엘튼 존의 어머니 실라 페어브라더와 의붓아버지 프레드 페어브라더가 1962년부터 1971년까지 거주한 영국 런던 노스우드 힐스 프롬 코트의 8가구 아파트에서 함께 지내며 수많은 곡들을 작업했다. 당시 버니 토핀은 안방에서 가사를 쓴 다음 거실로 가서 엘튼 존에게 가사를 전달했고, 엘튼 존은 1910년형 에이데이 업라이트 피아노를 연주하며 10~20분 이내에 가사들을 보면서 신속히 작곡했다.[5] 1969년 9월부터 12월까지 40곡 이상 작곡한 것으로 전해졌다.[6]

《Empty Sky》를 포함하여 1969년 1월에 발매한 싱글 Lady Samantha와 동년 5월 발매한 후속 싱글 It's Me That You Need에 참여한 프로듀서이자 엘튼 존의 관리팀에서 약 25년 정도 일했던 스티브 브라운은 자신이 프로듀서로서 적합한 인물이 아니라고 생각했다.[7] 그래서 엘튼 존과 작업할 더욱 전문적인 편곡자와 프로듀서를 찾으려고 여러 인물들을 알아보고 있었고, 데이비드 보위의 1969년 곡 Space Oddity에서 관현악 편곡을 맡은 영국의 편곡자 폴 벅마스터를 찾았다.[8]

스티브 브라운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을 데리고 1969년 11월 2일 마일스 데이비스의 퀸텟 공연이 열린 영국 런던의 로니 스코츠 나이트클럽에서 폴 벅마스터를 만났다. 스티브 브라운은 엘튼 존이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보컬과 피아노 데모를 듣고 싶냐고 하자 폴 벅마스터는 듣고 싶다고 했고, 그날 모임이 끝나고 스티브 브라운은 데모 테이프를 폴 벅마스터에게 보냈다. 폴 벅마스터는 스티브 브라운이 보낸 데모 테이프들을 들었을 때 마음에 들어 작업하고 싶었다고 회고했다.[9]

엘튼 존과 스티브 브라운이 후속 앨범 작업에 참여할 사람들을 찾고 있을 때 비틀즈의 프로듀서 조지 마틴에게 프로듀싱을 맡아달라는 제안을 했다. 데모 테이프를 들은 조지 마틴은 관현악 편곡도 맡을 수 있다는 조건으로 앨범 프로듀싱을 맡겠다고 동의했다.[10] 그러나 당시에는 관현악 편곡자와 총괄 프로듀서의 직무가 분리되었고 두 작업을 동시에 맡았던 조지 마틴과 계약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 조지 마틴을 섭외하지 못했다. 엘튼 존과 스티브 브라운은 폴 벅마스터에게 추천할 만할 프로듀서가 누가 있는지 물어보자, 폴 벅마스터는 "Space Oddity"에서 프로듀싱을 맡으며 같이 일한 적 있었던 영국의 프로듀서 거스 더전을 추천했다.[11]

폴 벅마스터는 거스 더전에게 전화하여 엘튼 존과 작업할 것을 권유하자 거스 더전도 좋다고 했고,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직접 거스 더전의 사무실을 찾아가 12곡의 데모를 들려주었다. 거스 더전은 모든 곡들이 놀라웠고, 고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뮤지션을 원했기에 작업을 같이 하자고 했다고 회고했다.[12]

3. 녹음

새 편곡자와 프로듀서를 섭외한 엘튼 존은 본격적으로 앨범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녹음에 앞서 폴 벅마스터와 거스 더전은 수록곡들의 편곡 및 프로듀싱에 대해 상의했고, 관현악을 록 리듬 섹션에 융합하기로 계획했다.[13] DJM 레코드의 회장 딕 제임스는 엘튼 존의 새 앨범 작업으로 6,000 파운드가량의 예산을 책정했는데 나중에 관현악단 비용까지 더해지면서 초기 예산은 9,000 파운드를 넘었다.[14] 엘튼 존은 그 정도의 돈이면 영국 피너에서 주택을 구입할 수 있었다고 농담했다.[15]

1970년 1월 19일부터 1월 22일까지 영국 런던 소호 지역에 운영되었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모든 곡들을 라이브로 부르다시피 녹음했다.[16] 각 곡마다 8트랙 녹음 장비를 이용해 3시간 정도 작업이 이어졌으며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오후 2시부터 오후 5시, 오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이런 식으로 시간을 나눠서 4일간 녹음했다.[17] 곡들을 녹음했을 때 사용한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의 베히슈타인 그랜드 피아노는 비틀즈가 1968년 곡 Hey Jude를 녹음했을 때 사용한 피아노이며, 이 1975년 곡 Bohemian Rhapsody를 녹음했을 때 사용한 피아노이기도 하다. 세 곡 모두 시기는 다르지만 같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18]

1월 19일에는 첫 번째 곡으로 "No Shoe Strings on Louise"를 녹음했고, 1월 20일에는 "The Greatest Discovery"와 "The Cage"(혹은 1월 21일), "The King Must Die"를 녹음했고, 1월 21일에는 "I Need You to Turn To"와 "First Episode at Hienton"을 녹음했고, 1월 22일에는 "Your Song"과 "Take Me to the Pilot"과 "Sixty Years On", "Border Song"을 녹음했다. 앨범에 수록하지 않은 나머지 2곡 "Bad Side of the Moon"은 1월 21일 녹음했고 "Grey Seal"은 1월 22일 녹음했다. 다만 앨범에 수록하지 않고 싱글로 발매한 "Rock and Roll Madonna"는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 세션이 시작된 3월 20일 녹음했다.[19]

거스 더전이 고용한 관현악단 단원들을 포함하여, 엘튼 존과 친분이 있었던 뮤지션들이 참여하여 백업 연주 또는 백 보컬을 맡았다. 1962년부터 1967년까지 R&B 밴드 '블루솔로지'에 키보디스트로 소속했을 때부터 친분이 있었던 기타리스트이자 1960년대 후반 데모들에서 기타 연주와 프로듀싱을 맡았던 케일럽 퀘이를 포함하여 록 밴드 '블루 밍크'의 드러머 배리 모건과 베이시스트 허비 플라워스, 보컬리스트 매들린 벨, 싱어송라이터 레슬리 덩컨 등 다양한 뮤지션들이 참여했다.[20]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 1971년 Friends 사운드트랙, 1971년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까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녹음했고, 1972년 정규 5집 Honky Château부터 1975년 정규 10집 Rock of the Westies까지 대부분 앨범들의 믹싱 작업도 이 스튜디오에서 진행했다.[21]

1968년 작곡한 "First Episode at Hienton"을 제외한 모든 수록곡들은 1969년에 작곡했으며, 엘튼 존은 앨범을 작업하면서 24곡을 준비했다고 밝혔다.[22] 앨범에 수록한 10곡과 싱글 B면에 각각 수록한 2곡, 그리고 "Rock and Roll Madonna"를 제외한 나머지 곡들 "All the Way Down to El Paso", "Thank You Mama", "I'm Going Home", "Big Circle of Stone", "She Sings Rock and Roll", "In the Morning" 등은 폐기되었다.[23] 다만 "All the Way Down to El Paso", "Thank You Mama", "I'm Going Home"은 1969년 녹음된 보컬 및 피아노 데모가 2008년 발매된 《Elton John》의 2CD 디럭스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24]

거스 더전은 이 앨범부터 1976년 정규 11집 Blue Moves까지 대부분의 1970년대 앨범들과 1985년 정규 19집 Ice on Fire부터 1987년 라이브 앨범 Live in Australia with the Melbourne Symphony Orchestra까지 참여하여 프로듀싱을 맡았다. 폴 벅마스터는 이 앨범부터 1971년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까지 연속으로 참여했으나 1973년 정규 6집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부터는 1976년 정규 11집 Blue Moves, 1978년 정규 12집 A Single Man, 1995년 정규 26집 Made in England, 2001년 정규 28집 Songs from the West Coast까지 가끔씩 참여했다.[25] 폴 벅마스터와 거스 더전은 엘튼 존 특유의 음악 스타일을 확립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거스 더전은 2002년 7월 교통사고로 사망했고, 폴 벅마스터는 2017년 11월 사망했다.[26]

4. 발매

관현악 편곡을 바탕으로 한 곡들의 비중이 크고 클래식하면서도 진중한 분위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데뷔 앨범에 비해 일취월장한 음악성을 발휘하였다. 엘튼 존의 초기 명반들 중 하나이자 가장 중요한 앨범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7] NME는 평생 미국 내슈빌에서 살아온 것처럼 들리는 뛰어난 재능을 가진 가수라고 평가했고, 〈레코드 미러〉 주간 신문은 닐 영 밴 모리슨에 대한 영국의 첫 응답이라고 격찬했다.[28]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03년 초판에서 468위에 선정되었다.[29]

앨범 제목은 당시 무명이었던 엘튼 존의 이름을 강조하기 위해 《Elton John》으로 지었다. 거스 더전은 엘튼 존을 슈퍼스타로 띄워주려고 만든 것은 아니었고, 원래는 나중에 다른 뮤지션들이 그의 곡들을 녹음하도록 데모를 멋지게 포장하며 만들 계획이었다고 1997년 인터뷰에서 회고했다.[30] 셀프 타이틀 음반인데다 앨범 아트 색깔이 온통 검은색이라서 당시 동료들은 비틀즈의 1968년 정규 9집 The Beatles의 별칭 화이트 앨범처럼 이 앨범을 "블랙 앨범"이라고 불렀다고 한다.[31]

1970년 5월 22일, 영국 하트퍼드셔주 보럼우드의 BBC 엘스트리 센터에서 공연을 열었다.[32] 이 공연은 그해 10월 23일 BBC의 음악 방송 〈인 콘서트〉를 통해 방영되었다. 엘튼 존이 무명 시절 때 출연한 초기 방송 자료들 중 하나이며, 엘튼 존은 공연 요청을 받았을 때 기절하는 줄 알았다고 회고했다. 폴 벅마스터가 공연에서 관현악 편곡과 첼로 연주를 맡았고, 녹음에 참여한 하피스트 스카일라 캉가는 하프 연주를, 영국의 가수 케이 가너와 매들린 벨, 레슬리 덩컨이 백 보컬을, 엘튼 존 밴드의 초기 멤버들인 베이시스트 디 머리와 드러머 나이절 올슨이 백업 연주를 맡았다. 버니 토핀과 거스 더전, 초기 동료들 중 한 명인 음향 기술자 스튜어트 엡스가 관객석에서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당시 미발매곡이었던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의 수록곡 Burn Down the Mission도 불렀다.[33]

영국에서는 1970년 5월에 48위 데뷔에 오르는 데 그쳤으나 1971년 2월에 재진입하여 도합 32주간 머물렀고 5위를 기록했다.[34] 딕 제임스는 엘튼 존을 미국에 진출시킬 때가 왔다고 판단하며 엘튼 존에 관심 있는 음반사와 음반 배급을 맡아줄 음반사를 찾았고, MCA 기업이 소유했던 유니 레코드와 음반 계약을 얻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1970년 7월 22일 유니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35] 미국에서도 처음에는 판매가 저조했지만 엘튼 존이 1970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할리우드의 트루버도어 클럽 공연을 시작으로, 그해 가을 첫 번째 미국 순회공연을 진행하면서 주목을 받았을 때 《Elton John》에 대한 관심도 커지기 시작했다.[36]

빌보드 200에서는 1970년 10월에 156위 데뷔에 진입했고 1971년 2월에는 4위로 상승했으며, 52주간 차트에 머물렀다.[37] RIAA 기준 미국에서 5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골드 인증을 받았다.[38] 이외에도 캐나다 4위, 호주 4위, 네덜란드 2위, 일본 40위를 기록하며 세계 각지에서 앨범 차트에 진입한 첫 번째 앨범이 되었다. 리드 싱글 "Border Song"은 싱글 차트에 진입한 첫 번째 곡이 되었고, 후속 싱글 "Your Song"은 싱글 차트 10위권 진입한 첫 번째 곡이 되었다.[39]

1971년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과 최우수 컨템퍼러리 보컬상 부문 후보에 지명되었다.[40] 2013년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1]

1995년 머큐리 레코드와 1996년 로켓 레코드에서 발매된 리마스터반에 "Bad Side of the Moon", "Rock and Roll Madonna", "Grey Seal"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2008년에는 수록곡들의 데모와 라이브 음원, 미발매곡들 등 수록된 2CD 디럭스반이 발매되었다.[42] 2020년에는 발매 50주년을 맞이하여 레코드 스토어 데이를 통해 50주년 2LP로 재발매되었고, 디럭스반에 수록되지 않은 "Border Song"과 "Bad Side of the Moon"의 데모가 수록되었다.[43]

한국에서는 1989년이 돼서야 당시 직배사였던 폴리그램을 통해 LP, 테이프로 발매되었다.[44]

5. 싱글

A면 B면 발매일
Border Song Bad Side of the Moon 1970년 3월 20일 (UK)
1970년 7월 (US)
Rock and Roll Madonna Grey Seal 1970년 6월 19일
Your Song Take Me to the Pilot (US)
Into the Old Man's Shoes (UK)
1970년 10월 26일 (US)
1971년 1월 8일 (UK)

6. 참여자

7. 트랙 리스트

7.1. Side 1

7.1.1. Your Song - 4:0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our Son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 I Need You to Turn To - 2:32

하프시코드로 연주한 바로크 풍의 발라드 곡이다. 엘튼 존은 레너드 코헨의 영향을 크게 받은 곡이라고 설명했다.[45] 거스 더전은 엘튼 존에게 다른 건반 악기도 연주하는 게 어떠냐고 제안했으며, 가끔씩은 일관된 피아노 소리에서 벗어나는 것도 좋았다고 밝혔다.[46] 엘튼 존은 《Elton John》을 작업했을 때 관현악단과 같이 곡을 동시에 녹음하는 걸 긴장했는데, 피아노와 작동 요소가 다른 하프시코드를 연주하면서 이 곡을 녹음했을 때 특히 긴장했다고 밝혔다.[47] 1970년부터 2016년까지 공연들에서 불렀을 때 하프시코드를 연주하면서 부른 경우는 1970년 5월 22일 BBC 공연이 유일하며, 그 외 공연들에서는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불렀다.[48]

이 곡을 포함하여 수록곡들 "Your Song", "Sixty Years On", "The Greatest Discovery"에서 하프를 연주한 하피스트 스카일라 캉가는 엘튼 존의 왕립음악원 동문이며, 엘튼 존이 10대였을 때 왕립음악원에서 같이 수업을 들으며 친분을 가진 적 있었다.[49] 녹음 당시, 스카일라 캉가를 왕립음악원 이후로 만나게 된 엘튼 존은 자신이 예전에 왕립음악원에서 같이 수업을 들었던 레지 드와이트(과거 본명)라고 말하자 그제서야 스카일라 캉가는 엘튼 존을 알아보았고 소스라치게 놀랐다고 한다. 이후 스카일라 캉가는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 1983년 정규 17집 Too Low for Zero에 하프 연주로 참여했다.[50]

전인권이 이 곡을 커버하여 2004년 4집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에 수록했다.[51]

7.1.3. Take Me to the Pilot - 3:47

거센 피아노 연주와 관현악을 담은 경쾌한 록 곡이며,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대표적인 초기 록 곡들 중 하나이다. 가사는 난해한 내용을 담은 걸로 해석되었는데 1969년 출간된 영국의 SF 작가 마이클 무어콕의 소설 〈이 사람을 보라〉(Behold the Man)에 영감을 받으면서도 여러 이미지를 덧붙인 가사라고 한다.[52] 그래서 버니 토핀은 이 곡의 가사는 아무 의미도 없다고 설명했다. 1970년 10월 발매한 Your Song 미국 싱글 B면에 수록했다.[53] 원래 이 곡을 미국에서 싱글로 발매하고 "Your Song"을 B면에 수록할 계획이었지만 딕 제임스와 일했던 미국의 출판업자 데이비드 로스너는 엘튼 존의 초기 북미 발매사였던 유니 레코드에게 디스크자키들이 선호하는 곡을 알아서 결정할 수 있도록 싱글에서 A면과 B면을 생략하라고 설득했다고 한다.[54] 그 결과 디스크자키들은 "Your Song"을 더 선호했다.

1986년 11월부터 12월까지 호주에서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진행한 Tour De Force 순회공연의 12월 14일 시드니 공연이 1987년 6월에 라이브 앨범 Live in Australia with the Melbourne Symphony Orchestra로 발매되었을 때, 해당 공연의 라이브 음원이 1988년 2월 싱글로 발매되었다.[55] 같은 공연에서 부른 Candle in the Wind가 싱글로 발매되어 미국 빌보드 핫 100 5위와 영국 6위에 오른 반면, 이 곡은 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37위에 오르는 데 그쳤다.[56]

영국의 자매 그룹 '챈터 시스터즈'는 1970년 앨범 《Birds of a Feather》를 작업했을 때 이 곡을 포함하여 "Border Song", "Bad Side of the Moon", 1970년 곡 Country Comfort까지 4곡을 커버했으며, 엘튼 존은 모든 수록곡들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거스 더전이 프로듀싱을 맡았고 케일럽 퀘이가 편곡을 맡기도 했다.[57] 더 후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을 커버했을 때 이 곡을 살짝 추가했다. 더 후의 커버곡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25주년을 기념한 1991년 헌정 앨범 Two Rooms에 수록되었다. 2018년 발매된 50주년 헌정 앨범 Restoration에는 미국의 컨트리 듀오 브라더스 오스본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58]

1970년부터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다.[59] 피아노 즉흥 연주를 덧붙이면서 짧게는 6분, 길게는 15분 정도 확장해서 연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60] 엘튼 존 밴드의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와 함께 진행한 1979년 2인조 공연들에서 이런 구성으로 선보였으며, 1993년 공연들부터는 C 블루스에 중점을 둔 피아노 솔로 연주에 1978년 연주곡 Song for Guy의 선율을 추가하는 등 각종 연주를 선보였다.[61]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1972년 곡 Rocket Man의 도입부로 연주했다.[62]

2019년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에 삽입되었다.[63]

7.1.4. No Shoe Strings on Louise - 3:31

느긋한 분위기의 컨트리 록 곡이며, 가사는 도시에 거주하는 매춘부를 묘사했다.[64] 《Elton John》을 작업했을 때 녹음한 첫 번째 곡이자 관현악 편곡을 담지 않은 두 곡 중 하나이다. 기타리스트 케일럽 퀘이는 롤링 스톤스 같은 곡이라고 하면서도 1968년 정규 7집(영국)/정규 9집(미국) Beggars Banquet에서 들을 법한 곡이라고 평가했다. 버니 토핀과 프로듀서 거스 더전이 좋아한 곡이기도 했는데, 버니 토핀은 Tumbleweed Connection에도 수록할 수도 있었다고 밝혔다.[65]

7.1.5. First Episode at Hienton - 4:48

잔잔한 피아노 연주와 관현악, 하프, 무그 신시사이저가 두드러지는 발라드 곡이다. 1969년에 작곡된 다른 수록곡들과 달리 이 곡은 1968년에 작곡되었다.[66] 가사는 첫사랑과 실연을 묘사했다. 이 곡에서 무그 신시사이저는 폴 벅마스터의 배우자였던 키보디스트 다이애나 루이스가 연주했다. 폴 벅마스터는 무척 좋아한 곡이라고 밝혔고, 케일럽 퀘이는 클래식 엘튼 존 곡이며 기타와 피아노가 완벽하게 어우러진 시적인 곡이라고 평가했다.[67] 데모가 공개되지 않은 유일한 수록곡이다.

1968년 11월 27일 BBC 런던 메이다 베일 라디오 4 스튜디오에서 1969년 정규 1집 Empty Sky의 수록곡들 Val-Hala, The Scaffold, Lady What's Tomorrow, 미발매곡 "Digging My Grave"와 같이 라이브로 녹음했고, BBC 라디오 방송 〈 존 필 나잇 라이드〉에서 방영되었다. 이후 1971년 순회공연에서만 불렀다.[68]

7.2. Side 2

7.2.1. Sixty Years On - 4:35

관현악으로 극적이면서도 구슬픈 분위기를 이끄는 발라드 곡이며, 가사는 한 퇴역 군인의 비애를 묘사했다.[69] 폴 벅마스터는 수록곡들 중에서 이 곡만 다르게 해보자면서 피아노 대신 하프와 어쿠스틱 기타를 바탕으로 한 곡으로 편곡했다고 설명했다.[70] 도입부에서 조용히 시작하다가 요란하게 울리는 관현악은 폴 벅마스터가 아니라 프로듀서 거스 더전이 붙였다고 한다.[71] 관현악 도입부를 확장한 버전도 있으며, 1990년 컴필레이션 앨범 To Be Continued...에 수록되었다.[72]

1970년부터 2014년까지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다.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진행한 1986년 Tour De Force 순회공연처럼 관현악단과 함께 진행한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고, 밴드 공연이나 솔로 공연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부르기도 했다.[73][74] 1970년과 1971년 순회공연에서는 엘튼 존 밴드의 베이시스트였던 디 머리와 드러머 나이절 올슨과 함께 7분 정도의 길이로 화려하게 연주했고, 밴드의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와 함께 1979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한 2인조 순회공연과 각종 솔로 공연들에서는 즉흥 간주를 추가했다.[75] 2007년 3월 25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60세 생일 공연에서 첫 곡으로 불렀다.[76]

7.2.2. Border Song - 3:22

가스펠 색채가 강한 발라드 곡으로, 성가대 풍의 백 보컬과 관현악으로 진중한 분위기를 이끈다. 가사는 버니 토핀이 1967년부터 엘튼 존과 협업을 시작했을 때 런던의 도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바쁜 일들로 지쳐 다시 고향으로 가고 싶었던 마음을 그렸다.[77] 엘튼 존은 가사가 짧다고 생각하여 마지막 구절 "There's a man over there what's his colour I don't care(저기 한 남자가 있네요, 그의 피부색이 무엇이든 상관하지 않습니다.)"를 직접 썼다.[78] 1976년 곡들 Don't Go Breaking My Heart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와 마찬가지로 버니 토핀과 함께 쓴 곡들 중에서 엘튼 존이 부분적으로 작사에 참여한 몇 안 되는 곡이다.[79]

버니 토핀은 두 가사로 나눠서 쓴 곡이라서 분리된 곡처럼 들린다고 밝혔다. 첫 번째 부분은 자신이 자란 곳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노래하지만 두 번째 부분은 평화를 노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엘튼 존이 쓴 마지막 구절은 서아프리카 혈통이기도 한 기타리스트 케일럽 퀘이를 염두에 두었다고 한다. 엘튼 존은 자신이 쓴 구절이 무척 평범하다고 생각했지만 버니 토핀의 생각은 달랐다. 전반적인 가사를 넓은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것이 해당 구절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80]

1970년 3월 리드 싱글로 발매했다. 미국에서는 콩그레스 레코드에서 발매했으나 동년 7월에 유니 레코드에서 재발매했다.[81] 영국에서는 차트 진입에 실패했지만 미국에서는 1970년 8월 빌보드 핫 100에 진입하여 92위를 기록했고 캐나다 34위, 네덜란드 25위를 기록하며 싱글 차트에 진입한 첫 번째 곡이 되었다.[82]

아레사 프랭클린이 1970년에 커버했다. "Border Song (Holy Moses)"라는 제목의 싱글로 발매되었고 빌보드 핫 100에서 37위를 기록했다.[83]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아레사 프랭클린 같은 거장이 당시 무명이었던 자신들의 곡을 녹음한다는 소식을 듣고 무척 감격스러워했다고 밝혔다.[84] 1993년 4월 21일, 미국 뉴욕의 네더랜더 극장에서 열린 아레사 프랭클린 합동 공연에 참여하여 이 곡을 같이 불렀다.[85] 이 공연은 그해 5월 9일 〈Aretha Franklin: Duets〉로 방영되었다.[86]

1991년 헌정 앨범 Two Rooms: Celebrat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에는 에릭 클랩튼의 커버곡이 수록되었고, 2018년 50주년 헌정 앨범 Revamp: Reimagin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에는 윌리 넬슨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87]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션 물린스가 커버했을 때 엘튼 존이 공동 보컬과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 해당 곡은 2003년 발매된 션 물린스의 컴필레이션 앨범 《The Essential Shawn Mullins》에 수록되었다.[88]

1969년부터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다.[89] 2019년 전기 영화 로켓맨에 삽입되었다.[90]

7.2.3. The Greatest Discovery - 4:12

하프와 첼로, 피아노 등 각종 악기들이 어우러진 발라드 곡이다. 조성이 단조로 이루어진 대부분의 수록곡들과 달리 이 곡의 조성은 장조이며, 전반적인 분위기도 비교적 밝은 편이다. 가사는 출생의 아름다움을 묘사했으며, 버니 토핀의 출생을 2살 많은 형 토니 토핀의 관점에서 바라본 내용을 담았다.[91] 수많은 평론가들과 저자들은 11살 어린 동생 키트 토핀의 출생을 다룬 곡이라고 잘못 해석했으며, 엘튼 존도 공연들에서 버니 토핀의 동생에 대한 곡이라고 잘못 설명한 적 있다.[92]

폴 벅마스터는 이 곡에서 관현악 편곡과 첼로 연주를 맡았다.[93] 폴 벅마스터가 2017년 11월 사망하고 몇 개월 뒤 2018년 6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캐피털 스튜디오 B에서 생일 축하 행사가 열렸을 때 엘튼 존은 "The Greatest Discovery"를 행사의 첫 번째 곡으로 재생할 것을 요청했다.[94] 엘튼 존이 가장 좋아한 폴 벅마스터의 관현악 편곡이기도 하다. 《Elton John》 포르투갈반에는 하프와 첼로 대신 프렌치 호른 연주를 담은 도입부로 시작하는 음원이 대신 수록되었다.[95]

1970년부터 2014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96]

7.2.4. The Cage - 3:28

피아노와 밴드 연주, 신시사이저 등 각종 악기들과 어우러진 경쾌한 록 곡이며, 가사는 폐소공포증을 묘사했다.[97] 관현악 편곡을 담지 않은 두 곡 중 하나이다. "First Episode at Hienton"처럼 키보디스트 다이애나 루이스가 이 곡에서도 무그 신시사이저를 연주했다. 폴 벅마스터는 비틀즈의 1967년 곡 Magical Mystery Tour에 영감을 받아 금관악 편곡을 담으려고 했으나, 엘튼 존이 밴드와 함께 1969년 녹음한 데모를 듣고서 신시사이저로 연주하는 걸로 바꾸었다고 밝혔다.[98]

7.2.5. The King Must Die - 5:23

피아노로 잔잔히 시작하다가 밴드 연주와 관현악이 가세하면서 극적인 분위기를 이끄는 심포닉 록 곡이다. 가사는 왕 암살을 묘사한 희곡적인 내용을 담았다. 곡이 처음 발매되었을 때 일부 언론인들은 마틴 루터 킹 암살에 대한 곡이라고 해석했지만 버니 토핀은 그런 주장을 부정했다.[99] 버니 토핀은 가사 제목을 영국의 작가 메리 르노의 1958년 소설 〈The King Must Die〉에서 가져왔다고 설명했다.[100] 폴 벅마스터는 자신이 가장 좋아한 엘튼 존의 곡들 중 하나라고 밝혔다.[101]

1970년부터 2004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102]

7.3. 보너스 트랙

※ 1995년 머큐리 레코드와 1996년 로켓 레코드에서 발매된 리마스터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7.3.1. Bad Side of the Moon - 3:15

페이드인으로 시작하면서도 각종 악기들로 현란한 분위기를 이끄는 록 곡이다. 도입부에서 들리는 말소리는 "Who took my life"라고 부르는 게 아니냐는 주장이 있지만 실제로는 "Ou se ma la"라고 의미 없이 부르는 말소리다. 1970년 3월 발매한 리드 싱글 "Border Song" B면에 수록했다.[103] 캐나다의 록 밴드 '에이프릴 와인'이 이 곡을 커버하여 1972년 정규 2집 《On Record》에 수록했고 그해 싱글로 발매했다. 에이프릴 와인의 커버곡은 캐나다에서 16위를 기록했다.[104]

1970년 순회공연과 1974년 5월 18일 영국 런던 공연에서만 불렀다.[105]

7.3.2. Grey Seal - 3:35

일렉트릭 피아노로 비교적 조용하게 시작하다가 2절부터 밴드 연주와 관현악이 가세하면서 한층 거세지는 록 곡이다. 가사는 난해한 내용을 담았는데 버니 토핀은 정확히 무엇에 대해 썼는지 모른다고 밝혔다.[106] 1970년 6월 발매한 싱글 "Rock and Roll Madonna" B면에 수록했다.[107] 이후 1973년 정규 7집 Goodbye Yellow Brick Road를 작업했을 때 재녹음하여 수록했다. 후렴 선율을 기반으로 한 넷잇단 아르페지오 도입부를 추가하고 원곡보다 화려한 곡으로 편곡했다. 1970년 원곡은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2014년 슈퍼 디럭스반에는 1969년 녹음된 보컬 및 피아노 데모와 같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108]

1974년부터 2014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으며, 1973년 재녹음곡과 동일하게 연주했다.[109]

7.3.3. Rock and Roll Madonna - 4:17

관중의 환호성을 효과음으로 넣은 로큰롤 리듬의 경쾌한 록 곡이다. 《Elton John》의 수록곡들처럼 1969년에 작곡한 곡이지만 《Elton John》 작업 기간인 1970년 1월에 녹음하지 않았고,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 작업 첫 날인 1970년 3월 20일 녹음했다.[110] 관중의 환호성과 박수는 프로듀서 거스 더전이 지미 헨드릭스의 1969년 런던 로열 알버트 홀 공연 음원에서 가져와 추가했다고 한다.[111] 1970년 6월 19일 싱글로 발매했지만 차트 진입에 실패했다.

《Elton John》 독일반에는 2번 트랙 "I Need You to Turn To" 대신 이 곡이 수록되었다.[112] 1976년 9월 영국에서 발매된 Bennie and the Jets 싱글 B면에도 수록되었고, 《Elton John》의 2008년 2CD 디럭스반에는 1969년 DJM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밴드 데모와 피아노 데모가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113]

1969년 스튜디오 공연들에서만 불렀다.[114] 2019년 전기 영화 로켓맨에는 밴드 데모를 바탕으로 한 곡이 삽입되었다.[115]

8. 세션 기간 작곡된 다른 곡들

8.1. Thank You Mama - 3:20

가스펠 풍의 선율을 담은 곡이다. 1969년 작곡된 미발매곡들 중 하나였으나 2008년 발매된 2CD 디럭스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116]

8.2. All the Way Down to El Paso - 2:50

경쾌한 록 곡이다. 1969년 작곡된 미발매곡들 중 하나였으나 2008년 발매된 2CD 디럭스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117]

8.3. I'm Going Home - 3:05

경쾌한 록 곡이다. 1969년 녹음된 보컬/피아노 데모도 2008년 2CD 디럭스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기 전까지 미공개였다.[118] 영국의 록 밴드 '사이먼 듀프리 앤 더 빅 사운드'가 이 곡을 1969년에 커버했을 때 엘튼 존이 피아노 연주로 참여했지만 이 커버곡도 2004년 발매되기 전까지 미공개였다.[119]

8.4. In the Morning - 2:47

포크 풍의 산뜻한 발라드 곡이며 1969년 11월 11일 DJM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120] 2020년 박스 세트 Elton: Jewel Box에 수록되었다.

[1] Elton John: The Biography, 85~86 페이지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녹음한 커버곡들
[2] Elton John: The Biography, 86~87 페이지 [3]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4] Elton John: The Biography, 85~87 페이지 [5] 무명 시절 때 수백 곡 이상을 작곡하며 사용한 1910년형 흰색 에이데이 업라이트 피아노 [6]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16 페이지 [7]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Prologue: Young Man’s Blues (1947-1969) [8]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18 페이지
Elton John: The Biography, 95 페이지
[9] Elton John: The Biography, 95 페이지 [10]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Prologue: Young Man’s Blues (1947-1969) [11]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Prologue: Young Man’s Blues (1947-1969)
Elton John: The Biography, 96 페이지
[12] Elton John: The Biography, 98 페이지 [13]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14]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15] Elton John: The Biography, 98 페이지 [16]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2
Tumbleweed Connection at 50
[17] Elton John: The Biography, 100~102 페이지 [18]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 Part 1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의 베히슈타인 피아노
[19]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 Part 2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3
[20] Elton John 라이너 노트 [21] 3~10집 라이너 노트 [22] Elton John: In His Own Words, 20 페이지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0 페이지
[23]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16 페이지 [24] Elton John 디럭스반 (2008) [25] 2~12집, 19~20집, 26집, 28집 라이너 노트 [26] English Producer Gus Dudgeon Killed
Paul Buckmaster: In His Own Words
[27] 올뮤직의 Elton John 리뷰 [28]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16 페이지 [29]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03년 초판 [30] Elton John: The Biography, 98 페이지 [31]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8 페이지 [32] "In Concert" Elton John (TV Episode 1970) - IMDb [33] 1970년 5월 22일 BBC 공연 영상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
[34] 엘튼 존의 영국 차트 역사 [35]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3 [36] 트루버도어 공연을 극찬한 로버트 힐번의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기사 [37] 엘튼 존의 빌보드 차트 역사 [38] RIAA - 골드 [39] 엘튼 존의 빌보드 핫 100 차트 역사 [40] 1971년 그래미 어워드 후보자 목록 [41] 그래미 명예의 전당 [42] Elton John (2CD, 2008) [43] Elton John (2LP, 2020) [44] Elton John 한국반 (1989) [45] Elton John: The Biography, 102 페이지 [46]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2 [47] Elton John: The Biography, 102 페이지 [48] I Need You to Turn To 라이브 목록
하프시코드: I Need You to Turn To (1970년 5월 22일 BBC)
피아노: I Need You to Turn To (1976년 9월 17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49] Tin Pan Alley: The Rise of Elton John, 5 페이지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50] 3집, 17집 라이너 노트 [51] 전인권 - I Need You to Turn To (2004) [52]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53] Your Song 미국 싱글 [54]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55] Take Me to the Pilot 1988년 싱글 [56] 엘튼 존의 빌보드 차트 역사 [57] 챈터 시스터즈 피처링 엘튼 존 - Birds of a Feather (1970) [58] 더 후 -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1991)
브라더스 오스본 - Take Me to the Pilot (2018)
[59] Take Me to the Pilot 라이브 목록 [60] 1994년 9월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1998년 3월 31일 일본 도쿄
[61] 1979년 5월 28일 러시아 모스크바
1995년 11월 25일 브라질 리오
2010년 5월 1일 오하이오주 영스타운
2011년 1월 28일 영국 런던
[62] Rocket Man (2014년 10월 1일 미국 새크라멘토)
Rocket Man (2015년 8월 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Rocket Man (2016년 12월 5일 프랑스 루앙)
Rocket Man (2017년 7월 7일 독일 베를린)
Rocket Man (2017년 12월 8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63] 로켓맨 - Take Me to the Pilot [64]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65]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2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66]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0 페이지 [67]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68] First Episode at Hienton 라이브 목록 [69]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0 페이지 [70] Paul Buckmaster: In His Own Words [71]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2 [72] 확장한 도입부를 가진 Sixty Years On [73] Sixty Years On 라이브 목록 [74]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Sixty Years On (1972년 2월 5일 영국 런던)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 Sixty Years On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로열 아카데미 오브 뮤직 심포니 오케스트라: Sixty Years On (2002년 12월 1일 영국 런던)
[75] 엘튼 존 밴드 - Sixty Years On (1970년 11월 17일 미국 뉴욕)
엘튼 존 밴드 - Sixty Years On (1971년 10월 일본 도쿄)
피아노 솔로: Sixty Years On (1976년 9월 17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피아노 솔로: Sixty Years On (1979년 5월 25-27일 경 러시아 모스크바)
피아노 솔로: Sixty Years On (1992년 3월 15일 미국 내슈빌)
피아노 솔로: Sixty Years On (2009년 9월 11일 이탈리아 나폴리)
피아노 솔로: Sixty Years On (2012년 9월 7일 캐나다 온타리오)
[76] 엘튼 존 밴드 - Sixty Years On (2007년 3월 25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77]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1 페이지 [78] Elton John: The Biography, 101 페이지 [79]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141 페이지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8: Blue Moves
[80]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81]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3 [82] 엘튼 존의 빌보드 핫 100 차트 역사 [83] 아레사 프랭클린 - Border Song (Holy Moses) (1970) [84] Border Song (2018년 12월 12일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85] 엘튼 존/아레사 프랭클린 - Border Song (1993) [86] IMDb 정보 [87] 에릭 클랩튼 - Border Song (1991)
윌리 넬슨 - Border Song (2018)
[88] 션 물린스/엘튼 존 - Border Song (Holy Moses) [89] Border Song 라이브 목록 [90] 로켓맨 - Border Song [91] Bernie Taupin: The One Who Writes the Words for Elton John, Bernie Taupin
관련 자료: Top 10 Bernie Taupin Lyrics
[92] 엘튼 존 - The Greatest Discovery (1999년 11월 12일 미국 시카고) [93] Elton John 라이너 노트 [94]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2 [95]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2
The Greatest Discovery (Alternate)
[96] The Greatest Discovery 라이브 목록 [97]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98] Tin Pan Alley: The Rise of Elton John, 182 페이지
The Cage 데모 (1969)
[99]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1 페이지 [100]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101]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2 [102] The King Must Die 라이브 목록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6: Dylan Digs Elton!
[103] Border Song 싱글 [104] 에이프릴 와인 - Bad Side of the Moon (1972) [105] Bad Side of the Moon 라이브 목록 [106]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5: Goodbye Yellow Brick Road [107] Rock and Roll Madonna 싱글 [108] Grey Seal (1973)
Grey Seal 데모 (1969)
[109] Grey Seal 라이브 목록 [110] 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Part 3
Tumbleweed Connection at 50
[111]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112] Elton John 독일반 [113] Rock and Roll Madonna 피아노 데모
Rock and Roll Madonna 밴드 데모
[114] Rock and Roll Madonna 라이브 목록 [115] 로켓맨 - Rock and Roll Madonna (2019) [116] Elton John (2CD, 2008) [117] Elton John (2CD, 2008) [118] Elton John (2CD, 2008) [119] 사이먼 듀프리 앤 더 빅 사운드/엘튼 존 - I'm Going Home (1969,2004) [120]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 이전 역사)
문서의 r118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