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6:21:35

PPA(반도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반도체 공정

[[반도체|반도체 제조 공정
Semiconductor Fabrication
]]
[ 펼치기 · 접기 ]
||<-2><tablewidth=100%><tablecolor=#000,#ddd><bgcolor=#0ff> 반도체 8대 공정 (Process Integration)
Front-End
( 웨이퍼/제조 · 산화 공정 · 포토 리소그래피 · 식각 공정 · 증착 공정 · 금속 배선 공정)
(+ 이온 주입)
Back-End
( EDS · 패키징(=백엔드 자체))
구조
<rowcolor=#000>반도체 제품 반도체 소자
CPU · GPU( 그래픽 카드) · ROM · RAM · SSD · HDD · MPU · eMMC · USB · UFS · 와이파이 트랜지스터( BJT · FET · JFET · MOSFET · T-FT, FinFET, GAA) · 전력 반도체 소자( 사이리스터 · GTO · 레지스터( IGBT) ) · 다이오드 · CMOS · 저항기 · 연산 증폭기 · 펠티어 소자 · 벅컨버터
용어
웨이퍼 · · SoC · Technology Node · PPA · PCB · FPGA · Photo Resist · Alignment · LOCOS · STI · Fume · 산화막 · 질화물 · Annealing
<rowcolor=#000>현상 법칙
정전기 방전 무어의 법칙 · 4 GHz의 벽 · 폴락의 법칙
기업 분류
기업 목록은 각 문서에 서술
반도체 제조사( 종합반도체사 · 팹리스 · 파운드리)

1. 개요2. 설명3. 여담

1. 개요

Power Performance Area

반도체 성능의 기준이 되는 3가지 지표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2. 설명

반도체 공정이 미세화됨에 따라 PPA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PPA 값은 미세공정으로 갈수록 그 차이가 커진다. 면적을 조금만 줄여도, 구조를 조금만 바꿔도 성능 값이 큰 폭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많은 반도체 회사들이 PPA를 강조하지만, 그럼에도 획일화 된 공식이 존재하지 않는 값이다. 이는 PPA 라는 용어가 학문적으로 정의된 용어가 아니기 때문인데, 같은 선폭에 대한 공정이라도 회사마다 PPA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하나로 정립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할 수도 있겠으나 해석 편차가 심한 지표값들을 모아놓은 식이 되기 때문에 단순화가 적용되지 쉽지 않다.
[math(\dfrac {Power \times Performance}{Area})]

3. 여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