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00:09:31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헤비급 왕좌에서 넘어옴
파일:iwgp4thold.jpg
마지막 챔피언 이부시 코타
챔피언 등극 2021. 1. 4.
레슬킹덤 15
이전 챔피언 나이토 테츠야
소속 단체 신일본 프로레슬링
New Japan Pro Wrestling
벨트 창설일 1987년 6월 12일
벨트 폐지일 2021년 3월 4일
공식 홈페이지

1. 소개2. 역사
2.1. 역대 벨트 디자인들
3. 기록4. 역대 챔피언 목록5. 역대 토너먼트 경기

[clearfix]

1. 소개

신일본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중 하나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는 단체를 대표하는 최고의 위상을 가진 1선급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다.

IWGP 헤비웨이트 타이틀 매치 때마다 경기 시작에 앞서 웅장한 BGM과 함께 역대 챔피언들을 돌아보는 영상을 방영하는 것이 관례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 타이틀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마찬가지로 사이드 플레이트에 기존 챔피언들의 네임 플레이트를 넣은 것이 특징이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벨트의 사이드 플레이트는 2019년 4월 7일 오카다 카즈치카의 획득을 기준으로 단 두 칸만 남아있다. 이후 EVIL과 이부시가 차지하며 남은 두 칸을 채웠다.

2. 역사

신일본 프로레슬링 창립 당시 단체의 메인 벨트는 안토니오 이노키가 쟈니 파워스를 꺾고 획득한 NWF 헤비급 벨트였는데, 이 타이틀은 1974년 10월 10일에 신일본 프로레슬링 링에서 김일이 도전한 벨트로도 유명하다. 이후 1983년에 헐크 호건이 우승한 제1회 인터내셔널 레슬링 그랑프리 (International Wrestling Grand Prix; IWGP) 대회의 우승 부상 형태로 현 IWGP 벨트의 원형이 처음 등장했다.

정식 챔피언십으로서의 IWGP 헤비급 챔피언십은 제5회 IWGP 대회에서 안토니오 이노키가 마사 사이토를 꺾고 1987년 6월 12일에 료고쿠 국기관에서 초대 챔피언에 등극함으로써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2021년 3월 1일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탄생한다.

그러나 G1 클라이맥스 31의 우승자인 오카다 카즈치카는 기존의 권리증 가방 형태 대신, 4대 IWGP 헤비급 벨트를 권리증 삼아 가지고 다니며 일시적으로 부활하게 되었고 레슬킹덤 16에서 타카기 신고를 상대로 승리해 4대 IWGP 월드 헤비급 챔피언이 된 오카다 카즈치카는 경기가 끝나고 4대 IWGP 헤비급 벨트에 대한 작별 인사를 전하며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1. 역대 벨트 디자인들

파일:IWGP1.jpg
첫번째 IWGP 벨트.1983년부터 1997년까지 사용되었다.

파일:IWGP2.jpg
두번째 벨트 디자인. 2005년에 세상을 떠난 "미스터 IWGP" 하시모토 신야의 가족에게 증여되면서 역할을 다 할 예정이었지만 서드 벨트와 관련된 문제 때문에 중간에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파일:IWGP_Heavyweight_Championship.jpg
IWGP 서드 벨트라고 불리는 물건인데 안토니오 이노키의 전횡으로 가짜 취급 받았던 시절의 벨트다. 당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 브록 레스너는 비자 문제로 인한 경기 불참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켜 IWGP 챔피언 자리를 박탈 당했으나, 브록 레스너는 벨트를 반납하지 않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떠나고 만다. 때문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은 하시모토 가에 있던 두 번째 벨트를 꺼내 새 챔피언인 타나하시 히로시의 허리에 감아줬지만, 신일본을 떠난 안토니오 이노키가 벨트를 갖고 있던 브록 레스너를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으로 인정하고 자신의 새 단체인 IGF에서 커트 앵글과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경기를 잡아주면서 권리가 꼬이게 되었다. 이 벨트는 2008년 2월 17일, 당시 소유자인 커트 앵글과 세컨드 벨트의 소유자인 나카무라 신스케의 경기를 통해 나카무라가 승리하고 벨트를 통합하면서 사라졌다.

파일:iwgp4thold.jpg
현행 벨트는 데이브 밀리칸(Dave Millican)이란 작가가 만든 것으로 IWGP 헤비웨이트 벨트 이외에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벨트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벨트, 그리고 올 엘리트 레슬링 AEW 월드 챔피언십 등을 제작했다.

2017년 기준, 현행 벨트의 Heavyweight라고 적혀있는 플레이트의 오른쪽 투명 큐빅이 빠져있었다. 2015년부터 빠져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데 큐빅으로 가득 찬 벨트에서 혼자 구멍이 뻥 뚫려있는 듯하여 허전한 느낌을 주었고, 이후 그 윗 줄의 큐빅 라인 중 우측에서 두번째 큐빅도 빠져버렸다.

파일:iwgp4thnew.jpg
2019년 4월 5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G1 슈퍼카드 대회 기자회견에서 개수한 벨트가 공개되었다.

3. 기록

초대 챔피언 안토니오 이노키
마지막 챔피언 이부시 코타
최다 획득 챔피언 타나하시 히로시 8회
최장기간 챔피언 오카다 카즈치카 720일
최단기간 챔피언 사사키 켄스케 16일
최고령 챔피언 텐류 겐이치로 49세
최연소 챔피언 나카무라 신스케 23세
최고령 외국인 챔피언 스캇 노튼 37세
최연소 외국인 챔피언 제이 화이트 26세

4. 역대 챔피언 목록

# 이름 챔피언 횟수 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방어 횟수 비고
1 안토니오 이노키 1회 1987년 6월 12일 (325일) 4회
- 공석 - 1988년 5월 2일 -
2 후지나미 타츠미 1회 1988년 5월 8일 (19일) 1회
- 공석 - 1988년 5월 27일 -
3 후지나미 타츠미 2회 1988년 6월 24일 (285일) 7회
- 공석 - 1989년 4월 5일 -
4 베이더 1회 1989년 4월 24일 (31일) 0회
5 사루만 하시밀코프 1회 1989년 5월 25일 (48일) 0회
6 초슈 리키 1회 1989년 7월 12일 (29일) 0회
7 베이더 2회 1989년 8월 10일 (374일) 4회
8 초슈 리키 2회 1990년 8월 19일 (129일) 1회
9 후지나미 타츠미 3회 1990년 12월 26일 (22일) 0회
10 베이더 3회 1991년 1월 17일 (46일) 0회
11 후지나미 타츠미 4회 1991년 3월 4일 (306일) 3회
12 초슈 리키 3회 1992년 1월 4일 (225일) 4회
13 그레이트 무타 1회 1992년 8월 16일 (400일) 5회
14 하시모토 신야 1회 1993년 9월 20일 (196일) 4회
15 후지나미 타츠미 5회 1994년 4월 4일 (27일) 0회
16 하시모토 신야 2회 1994년 5월 1일 (367일) 9회
17 무토 케이지 2회 1995년 5월 3일 (246일) 5회
18 타카다 노부히코 1회 1996년 1월 4일 (116일) 1회
19 하시모토 신야 3회 1996년 4월 29일 (489일) 7회
20 사사키 켄스케 1회 1997년 8월 31일 (216일) 3회
21 후지나미 타츠미 6회 1998년 4월 4일 (126일) 2회
22 쵸노 마사히로 1회 1998년 8월 8일 (44일) 0회
- 공석 - 1998년 9월 21일 -
23 스캇 노튼 1회 1998년 9월 23일 (103일) 4회
24 무토 케이지 3회 1999년 1월 4일 (340일) 5회
25 텐류 겐이치로 1회 1999년 12월 10일 (25일) 0회
26 사사키 켄스케 2회 2000년 1월 4일 (279일) 5회
- 공석 - 2000년 10월 9일 -
27 사사키 켄스케 3회 2001년 1월 4일 (72일) 1회
28 스캇 노튼 2회 2001년 3월 17일 (23일) 0회
29 후지타 카즈유키 1회 2001년 4월 9일 (270일) 2회
- 공석 - 2002년 1월 4일 -
30 야스다 타다오 1회 2002년 2월 16일 (48일) 1회
31 나가타 유지 1회 2002년 4월 5일 (392일) 10회
32 타카야마 요시히로 1회 2003년 5월 2일 (185일) 3회
33 텐잔 히로요시 1회 2003년 11월 3일 (36일) 0회
34 나카무라 신스케 1회 2003년 12월 9일 (58일) 1회
- 공석 - 2004년 2월 5일 -
35 텐잔 히로요시 2회 2004년 2월 15일 (26일) 1회
36 사사키 켄스케 4회 2004년 3월 12일 (16일) 0회
37 밥 샙 1회 2004년 3월 28일 (66일) 1회
- 공석 - 2004년 6월 2일 -
38 후지타 카즈유키 2회 2004년 6월 5일 (126일) 1회
39 사사키 켄스케 5회 2004년 10월 9일 (64일) 2회
40 텐잔 히로요시 3회 2004년 12월 12일 (70일) 0회
41 코지마 사토시 1회 2005년 2월 20일 (83일) 1회
42 텐잔 히로요시 4회 2005년 5월 14일 (65일) 1회
43 후지타 카즈유키 3회 2005년 7월 18일 (82일) 0회
44 브록 레스너 1회 2005년 10월 8일 (280일) 3회
- 공석 - 2006년 7월 15일 -
45 타나하시 히로시 1회 2006년 7월 17일 (270일) 4회
46 나가타 유지 2회 2007년 4월 13일 (178일) 2회
47 타나하시 히로시 2회 2007년 10월 8일 (88일) 1회
48 나카무라 신스케 2회 2008년 1월 4일 (114일) 2회
49 무토 케이지 4회 2008년 4월 27일 (252일) 4회
50 타나하시 히로시 3회 2009년 1월 4일 (122일) 3회
51 나카니시 마나부 1회 2009년 5월 6일 (45일) 0회
52 타나하시 히로시 4회 2009년 6월 20일 (58일) 1회
- 공석 - 2009년 8월 17일 -
53 나카무라 신스케 3회 2009년 9월 27일 (218일) 6회
54 마카베 토우기 1회 2010년 5월 3일 (161일) 3회
55 코지마 사토시 2회 2010년 10월 11일 (85일) 1회
56 타나하시 히로시 5회 2011년 1월 4일 (404일) 11회
57 오카다 카즈치카 1회 2012년 2월 12일 (125일) 2회
58 타나하시 히로시 6회 2012년 6월 16일 (295일) 7회
59 오카다 카즈치카 2회 2013년 4월 7일 (391일) 8회
60 AJ 스타일스 1회 2014년 5월 3일 (163일) 2회
61 타나하시 히로시 7회 2014년 10월 13일 (121일) 1회
62 AJ 스타일스 2회 2015년 2월 11일 (155일) 1회
63 오카다 카즈치카 3회 2015년 7월 15일 (280일) 3회
64 나이토 테츠야 1회 2016년 4월 10일 (70일) 1회
65 오카다 카즈치카 4회 2016년 6월 19일 (720일) 12회
66 케니 오메가 1회 2018년 6월 9일 (209일) 3회
67 타나하시 히로시 8회 2019년 1월 4일 (38일) 0회
68 제이 화이트 1회 2019년 2월 11일 (55일) 0회
69 오카다 카즈치카 5회 2019년 4월 7일 (273일) 5회
70 나이토 테츠야 2회 2020년 1월 5일 (189일) 1회 [1]
71 EVIL 1회 2020년 7월 12일 (48일) 1회
72 나이토 테츠야 3회 2020년 8월 29일 (128일) 1회
73 이부시 코타 1회 2021년 1월 4일 2회 [2]

5. 역대 토너먼트 경기

# 연도 대회명 (챔피언십) 우승자
1 1989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빅 밴 베이더
2 2001 사사키 켄스케
3 2002 야스다 타다오
4 2002 텐잔 히로요시
5 2006 타나하시 히로시
# 연도 대회명 (No.1 컨텐더) 우승자
1 1999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No.1 컨텐더 토너먼트 사사키 켄스케

[1]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도 건 2관 챔피언십 경기에서 승리. [2] 마지막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