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7:41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2016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d2087><tablebgcolor=#1d2087> 파일:Flash Wolves 로고.svg Flash Wolves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1d2087;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yoe IRONMEN 2013
yoe Flash Wolves 2013 2014
2015
{{{#!wiki style="margin: -16px -11px" Flash Wolves 2015
2016
2017
2018
2019
}}}
}}}}}}}}} ||
Flash Wolves의 역대 시즌
2015 시즌 2016 시즌 2017 시즌

[clearfix]

1. 개요

Flash Wolves의 2016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1.1. 2016 LMS Spring Season

시즌 6에는 스테이크가 은퇴를 해서 탑라이너 둘을 새로 영입했고 NL도 원딜 식스맨을 한 명 붙여 경쟁을 시킬 모양이다. 그러나 MMD, Rins, Breeze 등 신규멤버들이 영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리빌딩이 잘 되지 않는 상태이며 결국 시즌 중반에 TPA 등에 밀려 4위까지 내려가있는 상태다. ahq가 6전 전승 무패행진으로 폭주하는 것과는 대조적.

Rins가 자리를 잡은 덕인지 성적이 2위로 어느새 올라왔다. 다만 한국에서 포텐을 뻥뻥 터뜨리는 크레이머를 놓친 것은 많이 아쉬울듯.[1]중국어를 인내심 가지고 가르쳤다면 엄청 무서웠을듯

Machi E-Sports를 3대0으로 완벽히 압살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올해도 역시 AHQ 아니면 플래시 울브즈

그러고 천적관계를 청산, AHQ를 잡고 LMS 우승을 거머쥐었다. 2016 MSI에 참가하게 된다. MMD도 월클탑솔은 아니고 NL의 부족한 기량은 여전하지만 운영과 한타는 명품이다.

1.2. 2016 MSI

Karsa와 NL의 쓰로잉으로 CLG의 북미잼에 빨려들어가며 잘하는 만큼 한계도 뚜렷하다는 평가였지만 2일차에 RNG에게 뺨맞고 멘붕한 SKT를 RNG와 동일한 패턴으로 털어버리며 자신들의 실력을 증명했다. SKT를 제치고 2일차 2위는 덤. 특히 MMD가 에코로 뛰어난 메카닉을 과시하며 자신은 스테이크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 반면 MMD를 압살하지 않을까 기대했던 듀크는 미드정글에 고통받은 탓인지 뽀삐로 2연속 부진했다. 이렇게 되자 NL 역시 이즈리얼로 잘 묻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FW를 잘 아는 RNG에게는 NL이 아주 후벼파이며 2연패를 기록했고, CLG의 북미잼에도 빨려들어가며 전적을 역전당했다. 그리고 조 3위로 진출한 4강에서 소나 꼴픽을 한 CLG를 상대로 압승하던 3세트를 바루스 잡은 NL을 중심으로 집어던져 소나 캐리를 만들어주었고, 멘탈이 나가 4세트에도 소나에게 털려 2연 소나를 당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한국 해설진은 대회에서 SKT에게 2승을 했으나 스크림에서 SKT에게 거의 전패를 하면서 특유의 한타 리듬을 잃었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결과적으로 그나마 전적이 뒤지던 유럽 팀들과의 전적을 동률로 맞췄지만 롤드컵에서 CLG를 잡고 8강에 갔던 기억이 무색하게 그 CLG를 상대로 1승 5패를 거두며 반대로 지금까지 동률이던[2] 북미에게 완벽히 호구를 잡혀버렸다. 중국을 상대로도 승리가 없다.다행히 전적이 앞서는 지역을 확보했다. 터키라고(...)

그러면서 한국 팀만 만나면 이기니 미스테리한 부분. 아무래도 특유의 한타와 이를 축으로 삼은 운영이 강하지만 잘 파고들면 운영 면에서나 개인기량 면에서나 약점이 뚜렷한 팀이라 다른 팀들도 어렵지 않게 공략할 수 있는데, 한국 팀들 입장에서 FW의 인지도가 낮은 반면[3] FW 선수들은 에이스 트리오를 중심으로 한국서버 챌린저라서 한국 팀들을 잘 꿰뚫고 있기 때문에 이변이 자주 발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1.3. 2016 LMS Summer Season

서머 1라운드에 챠위 대신 웨스트도어가 출전한 ahq를 역시나 운영으로 격파하고 천적관계를 청산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이대로 우승으로 롤드컵을 확정지으면 ahq와의 관계가 작년과 완벽히 역전될 수 있다.[4] 근데 이번 시즌 부터 LMS 섬머 우승팀에게 롤드컵 직행권을 주지 않고 스프링과 똑같은 포인트를 준다는 말이 있다.

그리고 이대로 독주하나 싶었으나 오히려 J Team으로 팀명을 바꾸고 각성한 TPA에게 밀려 또다시 콩라인이 되었다. 다만 J Team이 스프링 시즌에 벌어놓은 서킷 포인트가 워낙 없기 때문에 서킷 포인트 1위는 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이 팀의 단점은 바텀의 좁은 챔프폭, Karsa의 높은 의존도라고 볼 수 있다. NL같은 경우 평타 사거리가 매우 길거나 포킹이 좋은 챔프들로 한정되어 있고, 한때 모르가나 장인으로 유명했던 소드아트도 Steak은퇴 이후 오더를 맡게 되면서 브라움과 알리스타 위주로 플레이하고 있다. 탑미드의 경우 MMD야 아직 신인이니까 잘 모른다 쳐도 메이플도 혼자서 스노우볼을 굴릴 수 있는 라인전이 강력한 미드는 아니기 때문에[5] Karsa의 갱킹과 소드아트의 로밍에 의존하게 된다. 즉, 초중반에 시야장악으로 Karsa와 소드아트를 견제하면 어느정도 파훼법이 나온다는 것. 사실 이건 원래 한국팀을 제외한 모든 해외팀들이 쓰던 방법이고 이제 J Team도 FW에 딜러진이 밀리지 않게 되면서 이 방법을 따라할 수 있게 된 것 뿐이다.[6]

그리고 잘못된 리빌딩으로 폭망한 HKES에게 1세트에 패해 무승부를 거두며 ahq에 밀려 정규시즌 3위까지 하락해있는 상태다. 1세트는 그냥 중하위권 팀과 치고 받다 보니 MMD의 갱플이 후벼파여 1인분을 못하면서 패배했고, 2세트는 똑같이 MMD가 후벼파였지만 Karsa가 리 신으로 그에 상응하는 성과를 올린 뒤 에코로는 탱이 되던 MMD와 두 딜러들의 후반 조합 우위를 바탕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현재 경기력은 MSI 거품이 끼어서 그렇지 별로 좋지 않은 편인데 NL이 시비르와 애쉬는 눈썩이라도 또다른 멀리서 쏘는 챔프인 진을 메타에 맞게 잘 다룬다는 점은 분명 다행이다. 하지만 메카닉은 뛰어나도 캐리력과 갱회피능력이 애매한 MMD와 생각만큼 강하지 않은 미드 봇의 라인전은 결국 정글서폿의 도박수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높이게 된다. 'ahq 미드정글이 약하니 FW가 롤드컵은 가겠지'라고 낙관할 때가 아니라 ahq와의 맞대결 2차전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야만 포스트시즌에 좋은 자리를 선점할 수 있다.

이렇게 섬머시즌에 먹구름이 끼는 듯 했다가 ahq가 HKES와 4위 경쟁중인 Midnight Sun에게 무승부를 거두면서 다시 2위를 탈환했다. 또한 ahq는 아직 J Team과의 경기가 남아있다는 것이 호재. 결국 10승 3무 1패, 2위로 마무리했다. J Team이 마지막 경기에서 삽질을 해서 10승 4무로 마무리한것을 보면 다소 아쉽다.

ahq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패승승승으로 결승에 올라갔다. 다만 약점을 많이 노출한 것은 매우 아쉽다. 결승전에서는 역시 Karsa가 호진과 블랭크를 찢듯이 Refrain을 찢어주는 것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결국 Karsa가 찢는 구도가 나오며 3대0으로 우승하면서 롤드컵 2016 직행에 성공했다.

1.3.1.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완전히 조편성이 망해버렸다. 2풀에 SKT와 중국의 IM, 3풀에서도 폭탄소리 듣는 북미의 C9이 들어왔다.[7] 이럴거면 톱시드 뽑은게 무슨 의미인가 싶을 정도. 무엇보다 3팀 모두 FW와 대조적으로 원거리 딜러의 캐리력이 아주 출중한 팀이기 때문에 픽밴을 잘 짜오거나 초반에 소드아트와 카사를 앞세워 제대로 깽판치지 못하면 게임이 매우 피곤해질 우려가 많다. 전체적으로 3팀 모두 정글러가 약하다는 평가이기에 작년에 이어 그리고 이번 LMS 결승에 이어(...) Karsa의 어깨가 아주 무겁다. 그런데 정작 통합 3위로 2시드 막차탄 ahq는 엄청난 꿀조에 들어간게 함정이다.

롤드컵 조별예선 1라운드에선 C9, IMAY에게 눈갱수준의 졸전 끝에 패배하며 전패의 위기에 빠졌으나, 패시브인 한국킬러 본능이 발동하여 SKT를 가볍게 제압하며 1승을 챙겼다.

그러나 2주차, 동료 ahq가 아쉽게 탈락하면서 마지막 LMS의 모든 것이 FW에게 걸리면서 어께가 무거워진 상황. 게다가 1번풀 팀들이 탈락하거나 2위로 떨어지거나 순위결정전에서 겨우 이겨 체면치레로 1등을 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롤드컵 1번 풀의 인식을 결정할 열쇠이기도 하다.

그러나 첫경기 상대 I May의 서포터가 정지를 먹으며 FW에게는 더도없이 좋은 기회가 찾아 오는가 싶었지만... 오히려 명장 손대영의 포지션 스왑 통수와[8] I May의 늪롤에 빠져서 자멸해버리면서 절호의 기회를 걷어차버리고 C9을 잡는데 모든 힘을 쏟았다가 SKT T1에게 참패하면서 롤드컵을 조 4위로 마감하게 되었다.[9]

11월 7일, DoubleRed라는 신인 원딜러를 IEM 오클랜드에서 기용해본다고 한다. 더불어 스프링 시즌 MMD와 주전 경쟁을 하다가 섬머 시즌 Team Mist로 간 탑라이너 Rins도 다시 되돌아왔다고 한다.

IEM 오클랜드에서는 한국의 롱주 게이밍을 완파하고 또 한국팀 상대 승률을 올리며 결승에 진출했으나, UoL과의 해외잼 끝에 2:3으로 석패,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신인 원딜러 DoubleRed는 퓨리의 진을 상대로는 묻어갔지만 유럽의 한국용병 베리타스에게 완파당하는 등 전임자인 NL과 비교해도 딱히 나은 점을 보여주지 못했고, 가끔 나오는 쓰로잉은 서양에서 더블리프트의 동생 더블레드냐는 반응을 얻어냈다. 게다가 결승에서 MMD와 메이플이 번갈아 UoL의 비지챠치와 엑사일에게 완파당하면서 더 나은 팀플레이와 더 적은 쓰로잉을 보여주고도 준우승에 그치는 커다란 원인이 되었다. 최고의 정글러인 카사를 데리고도 최악의 정글러인 무브를 가진 UoL에게 패한 셈인데, 결국 카사를 봉쇄했을때, 혹은 카사가 힘을 쓰기 전 각 라인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나갈 때 FW가 얼마나 약한지만 다시 확인하고 만 대회였다. 더불어 그나마 동률이던 유럽과의 공식전 상대전적도 뒤지게 되면서 5대리그 중 한국을 제외한 3대리그를 상대로 전부 승률이 50%가 안되는 굴욕을 맛보고 있다.[10]

2016년 12월, NL이 주전에서 물러나고 분석가 Fluidwind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새 분석가는 Team Mist의 전 분석가 Cyo.


[1] 당시의 크레이머는 베인 칼리스타 빼면 못하고 프로적응과 언어장벽 문제가 있었으나 지금은(...) [2] 이전까지 C9에게 1승, TSM에게 1승 2패, CLG에게 1승 1패로 정확히 대 북미 세트승률 50%를 기록하고 있었다. [3] 대표적으로 노페는 롤드컵 조추점 당시 FW가 뽑히자 웃음을 감추지 못했는데, FW 하면 메이플밖에 모른다는 태도를 보였다.그리고 Karsa에 호진이 탈탈탈 털리며 2패했다. 자업자득. 그러나 이 팀은 카사와 소드아트를 중심으로 초반부터 들쑤시는 플레이가 무서운 팀이고, 메이플은 어느 정도 캐리력을 갖추고 있지만 원맨캐리보다는 초반부터 합류전과 아웃복싱에 더 강점이 있는 미드다. 웃기는건 이 팀과 미드 정글 서폿의 팀컬러가 가장 비슷한 조합은 시즌 6에 속도전으로 급부상한 락스의 피넛-고릴라-쿠로 조합이다.스멥과 프레이가 MMD, NL보다 넘사벽급으로 잘하는건 함정 근데 스테이크 시절에 락스가 FW한테 진건 함정 [4] 스프링 정규시즌 1위 vs 스프링 포스트시즌 우승+서머 통합우승. [5] 물론 웨스트도어를 상대로는 웨스트도어의 챔프폭이 좁고 라인전도 더 약하기 때문에 잘한다. [6] 작년의 차위도 강력한 미드였지만 원딜인구거가 별로였고, 이번에는 챠위보다 훨씬 공격적인 FoFo와 왕년의 기량을 회복해 적어도 NL보다는 잘한다는 비비를 보유중이다. [7] 스플라이스는 와일드 카드보다 별로 나을게 없다는 평가라 3풀이 진짜 불운이다. [8] 아테나를 서폿이라고 공표해서 카르마 밴을 유도하고 정작 정글로 보냈는데 이를 통해 자신들이 원했던 아테나의 리 신 정글과 배미의 아우렐리온 솔, 진쟈오의 시비르를 다 챙겨버렸고 이후 메이플이 솔을 뚫지 못하고 봇다이브가 모조리 실패하며 시비르가 왕귀... 1차전과 마찬가지로 늪 롤에 당했다. [9] 특히 SKT T1에게 지면서 LMS 전원 조별리그 광탈, 한국팀 상대 연승 중단 등 잃은게 많다. [10] 근데 한국상대 승률은 87.5%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