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6 13:14:18

Children in Africa could have eaten

1. 개요2. 쓰임3. 비판


Children in Africa could have eaten ~

1. 개요

2010년대 중반 무렵부터 영미권 인터넷 공간에서 자주 보이기 시작한 이다. 한국어로 하면 " 아프리카에 있는 아이들이 ~을/를 먹을 수 있었습니다"인데, 정확히 뉘앙스를 살리면 아프리카 아이들이 먹게끔 ~을/를 줄 수 있었는데 그러지 못했다에 가깝다. 무언가 낭비되는 게시글이나 동영상을 보고 사람들이 남기는 밈이다.

그러나, 낭비되는 음식에 이 밈을 썼다면 적절했겠지만 문제는 아닌 때가 대부분이라는 것. 예를 들어, 핸드폰 등을 부수거나 물에 빠뜨리는 등 각종 해괴한 낭비 영상, 아니면 먹을 수 없는 것들에 관한 영상을 찍어 올리는 사람들에게도 이 밈을 쓸 수 있다. 즉 먹는 것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을 무차별적으로 비난하는 것을 비꼬는 것이다.

하지만, 진지하게 이 발언을 꺼내는 것까지도 공격 받는 상황 또한 문제인데, 음식을 가지고 장난치는 행위는 식량이 넉넉지 못한 아프리카든 식량이 넉넉한 유럽이든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금기시되는 행위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실 먹는 것을 가지고 장난치는 행위는 무차별적인 비난을 받아도 딱히 할 말이 없는 상황인데도 거기에 조금이라도 비판하면 ‘그래 아프리카 애들이 그 핸드폰을 먹을 수도 있었지ㅋㅋㅋㅋ’ 하는 비아냥을 듣는 실정이다.

2. 쓰임

예시 1. 댓글란에서 상당히 많은 이 드립이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aten' 대신 'drunk' 등 다른 동사를 집어넣을 수 있고, 'children'이나 'Africa' 역시 다른 단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동영상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돼 쓰인다고 보면 된다. 심지어 ' White children in America ~'로 받아치기도 한다. 때로는 러시아식 유머가 개입해 단어들을 뒤죽박죽으로 바꾸기도 한다. [1]

3. 비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대한 편견에서 유래된 것으로 그 곳의 주민들이 대부분 기근에 처한 것으로 잘못 알려졌기 때문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가 경제 상황이 좋지 않지만 모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인들은 기근에 시달리는 것은 아니며 부유한 도시가 제법 몇몇 있다.

아프리카 = 기근으로 알려진 것은 서방의 구호단체가 빈곤 포르노를 양성한 것이 원인이며 이런 편견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도 도시화가 된 곳이 있고 선진적인 문화가 있다는 것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 그 때문에 나이지리아가 미국의 헐리우드만큼이나 영화 강국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게 되었고[2] 케냐의 유목민들도 휴대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반투족에 비해 수렵-채집 생활을 한다는 부시맨도 반세기전부터 서구 문명이 유입되어 전통을 잃어버리고 정착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대중들이 알지 못하고 있다.[3]


[1] 'That thing you wasted could have eaten children in Africa(네가 낭비한 그 물건이 아프리카의 아이들을 먹을 수 있었을 텐데)' 등(...) [2] 다만 그 대부분의 영화는 내수용이고 아직 퀄리티는 미국은 커녕 인도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영화강국 나리지리아가 주목받지 못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3] 대중적으로 알려진 부시맨 영화 배우인 니카우의 원래 직업은 초등학교 교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