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14:21:45

제5공병여단

5공병여단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수도포병여단
I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II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III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V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VII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1방공여단
항공사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공병여단 로고.png 파일:2공병 마크.png 파일:3공병여단 마크.png
제1공병여단 제2공병여단 제3공병여단
파일:제5공병여단_표지.png 파일:the-seventh-engineer-brigade.jpg 파일:특수기동지원여단 로고.png
제5공병여단 제7공병여단 특수기동지원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제5공병여단
第五工兵旅團
The 5th Engineer Brigade
파일:제5공병여단_표지.png
전승의 시작과 끝
First in Last out
창설일 1971년 7월 1일(제5공병여단)
상징명칭 승진공병(勝進工兵)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5군단
규모 여단
역할 제5군단 공병지원
여단장 준장 이혁정 ( 3사 31기)
위치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3.2. 제118공병대대 명문3.3. 제121공병대대 국망봉3.4. 제123공병대대 돌풍3.5. 제131공병대대 독수리
4. 과거부대5. 출신인물
5.1. 여단장5.2. 장교/부사관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6.2. 장비6.3. 여단가6.4. 부대 영상
7. 사건사고8. 여담

[clearfix]

1. 개요


[1]
대한민국 육군 공병 여단이다. 별칭은 '승진공병부대'이다. 1971년 창설되었으며 현재 경기도 포천시 일대에 주둔하고 있다.

2. 상세

지상작전사령부 소속인 5군단 예하 여단이다. 여단 본부는 경기도 포천시에 있으며, 예하 대대도 포천시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경례구호는 승진.[2]

여단장은 장성급 준장이지만 가끔식 영관급 대령인 경우도 있었다.[3] 부여단장 참모장 대령이다.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제118공병대대 명문


21년도 파빙훈련[7]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문암리에 위치. 본래 구형 건물이었으나, 지금은 리모델링을 해서 비교적 깨끗해졌다. ]
또한 3개월 동기제이며 선.후임 통합 생활관이다. 훈련은 그닥 빡세지 않은 편.

영점사격장이 부대 내에 있어서 제5공병여단 부대들이 사격훈련을 하러 많이 방문한다.

3.3. 제121공병대대 국망봉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 여단 본부 바로 앞에 위치해있다. 예명은 국망봉 대대.

3.4. 제123공병대대 돌풍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
여단 본부대와 건물을 공유했지만 본부중대만 여단과 같은 건물을 쓰고 다른 부대는 도보 10분 거리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이전하였다. 시설이 좋은편이라고 한다.

3.5. 제131공병대대 독수리

과거 6공병여단에 속해있다가 예속전환되어 5공병여단 예하부대로 바뀌었다.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에 위치해 있으며 청산역과 가까이 위치해있다. 3층 건물에 신식 막사이며 용사들이 즐길 수 있는 노래방, 게임방 등이 있다.[8] PX는 건물 내부에 있으며 준수한 편. 5공병여단으로 바뀌며 훈련이 매우 많아졌다.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1. 여단장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5공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여단장
00대 정주교 예) 소장 육사 38기 국방시설본부장, 제1175공병단
00대 김정윤 예) 준장 육사 40기 여단장
27대 정우교 예) 준장 학사 6기[11] 여단장 [12]
28대 김재봉 예) 준장 육사 43기 국방시설본부 [13]
00대 이숭재 예) 준장 육사 46기 여단장
00대 김태완 대령 육사 48기 여단장
00대 이원혁 대령 육사 49기 여단장
00대 강영미 준장 여군 39기 여단장
00대 이혁정 준장 3사 31기 여단장

5.2. 장교/부사관

5.3.

이종혁(프로게이머)
최찬이 - 모델 겸 배우

6. 기타

6.1. 근무환경

6.2. 장비



수송부에는 엄청난 양의 덤프트럭 K-713[14]이 있으며 최근에는 15톤 덤프트럭으로 대체되는 추세. 15톤 덤프트럭은 운전병들 중 수준급 기량을 가진 대형차량 운전병이 운전하며 20대 초반에 이런 차를 몰아본 경험을 가지고 전역하는 것은 차후 운전실력에 큰 도움이 된다.

본부대, 교량중대, 123대대 통합수송부에는 대형버스, 중형버스, 노부스, 메가트럭, 마이티, 지휘관용 승용차량 등 다량의 상용차들이 존재한다

기존 공병부대에서 사용하던 KM9ACE는 당연히 운용하며 굴삭기, 불도저, 로더, 그레이더, 지게차, 유압크레인, 트레일러 등 중장비들도 운용한다.

개인화기는 일반 보병들과 다를 바 없다. K1 기관단총, K2 소총, 보통탄과 예광탄을 섞은 실탄, 수류탄과 장구류...
다만 보급순위가 많이 밀리기 때문에 상당히 최근인 2020년까지도 구형 방탄헬멧과 군장을 사용하였다. K2C1 같은 건 당연히 구경도 할 수 없다.

공용화기로는 M60 기관총을 운용한다. 그 외 폭파조끼, 원격폭파세트, 지뢰탐지기 등등

6.3. 여단가

국망봉 정기 뻗은 그 터전 위에

뭉처진 무적 용사 거칠 것 없네

부수고 구축하며 승진 또 승진

멸공의 길을 트는 우리는 공병

멀고 험한 길이라도 밀고 나가리

선봉의 전투공병 5공병여단

굳건히 다지리라 철통의 삼각지대

빛나는 전통속에 하나로 뭉쳐

부수고 건설하며 전진 또 전진

번영의 길을 트는 우리는 공병

멀고 험한 길이라도 밀고 나가리

선봉의 전투공병 5공병여단

6.4. 부대 영상



7. 사건사고

8. 여담



[1] 2024년 3월 실시한 여단 직할 도하중대의 한미연합도하훈련 당시 영상이다. [2] 08년까지 '통일'이라는 경례 구호를 사용했지만 군단 지침으로 '승진'으로 바뀌었다. 이전에는 병영부조리를 줄이기 위해서 "감사합니다"를 붙여서 사용한 적도 있다. [3] 그렇다 해도 실제로는 준장(진)인 경우가 많다. [4] 교량중대는 중대급 부대임에도 불구하고 건물은 대대급 건물크기(지금은 없는 시설대대가 사용하던 막사)이다. 여단 내에서 안쪽으로 더 들어가면 위치해있다. 총 5층이지만 전부를 교량중대가 사용하는건 아니며 생활하는 곳은 대부분 3층이고 2층은 식당, 싸지방, PX등의 편의 시설이 있다. 5층은 주로 분대장교육이나 군기교육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면서 현재는 휴가 복귀자 격리 생활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밤낮으로 몰려오는 축사장 냄새가 매우 심하다. [5] 이름 그대로 중대급 규모이지만 대대에 편제되어 있는 것이 아닌 독립적인 부대에 위치해있다. 부대 내에 저수지도 있어 경관이 좋다. 이 저수지가 어는 때를 이용하여 혹한기때마다 예하대대들이 집결하기도 한다. 겨울에 엄청 추운 곳이기도 하고 대부분 도로가 비포장 도로라서 모래먼지가 엄청 휘날린다. 날씨가 지옥 같은 곳이다. [6] 철원이랑 포천 경계에 위치해있으며, 생활관은 철원이나 일부 훈련장은 포천에 위치해 있다. [7] 영상 속 장소는 도하중대 내부의 강포저수지이다. [8] 잠시 사용이 불가했을 때가 있었으나 다시 사용 가능해졌다. [9] 2019년 특수기동여단으로 예속 [10] 2011년 12월1일부 해체, 현재 교량중대가 사용 중인 4층짜리 막사가 구 시설대대 막사. [11] 충북대학교 [12] ~ 2015.12.15 [13] 2015.12.15 ~ [14] 도하중대는 덤프트럭 대신 K-719 부교운반차가 저정도 있다. [15]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지뢰들은 모두 철제이거나, 철이 포함된 지뢰들이며 우리나라는 CCW(Convention on Certain Conventional-비인도적 재래식 무기)협정으로 인해서 북한과 달리 목함 지뢰처럼 탐지가 거의 안 되는 지뢰는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