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민주당 역대 총재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56.04 | 1956.12 | 1957 | 1959 |
1960 | 1962 | 1964.07 | 1964.12 | |
1966 | 1968 | 1970 | 1972 | |
1974 | 1976 | 1978 | 1980 | |
1982 | 1984 | 1987 | 1989.06 | |
1989.08 | 1991 | 1993 | 1995 | |
1997 | 1998 | 1999 | 2000 | |
2001 | 2003 | 2006 | 2007 | |
2008 | 2009 | 2012 | 2015 | |
2018 | 2020 | 2021 | 2024 | }}}}}}}}} |
2020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2020年自由民主党総裁選挙 |
||||||||||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18년
9월 20일 2018 총재선 |
→ |
2020년
9월 14일 2020 총재선 |
→ |
2021년
9월 29일 2021 총재선 |
}}} | ||||
<colbgcolor=#D7003A><colcolor=#fff> 선거대상 | <colbgcolor=#fff,#1f2023>자유민주당 총재 | |||||||||
방식 |
국회의원(383표): 중의원 의원(283표), 참의원 의원 (111표) 지역표(141표): 지방당에서 배분(각 도도부현마다 3표)[1] |
|||||||||
선거 결과 | ||||||||||
후보 |
<colbgcolor=#fff,#1f2023> [[수월회| 수월회 ]] |
<colbgcolor=#fff,#1f2023> [[자유민주당(일본)/파벌| 무파벌 ]] |
<colbgcolor=#fff,#1f2023> [[굉지회| 굉지회 ]] |
|||||||
선거인단 | ||||||||||
68표 12.73% |
377표 70.60% |
89표 16.67% |
당선인 | ||||
총재 스가 요시히데 |
[clearfix]
1. 개요
2020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2020年自由民主党総裁選挙)는 일본 아베 신조 총리가 건강 악화를 이유로 2020년 8월 28일에 사임을 결정하면서 치러지는 보궐 선거다.2020년 9월 14일에 치러지며, 스가 요시히데 내각관방장관, 이시바 시게루 전 간사장, 기시다 후미오 정책조사회장 3명이 후보로 출마했다. 보궐선거이기 때문에 이 선거에서 당선되는 사람은 원래 아베 총리의 재임 기간인 2021년 9월까지 차기 총재이자 일본 정부를 이끌어가는 내각총리대신이 된다.[2]
2. 선거 일정 및 선출 방식
- 9월 8일: 선거 일정 고시 및 후보 등록
- 9월 9일: 1차 공개 토론회 (자민당 주최)
- 9월 12일: 2차 공개 토론회 (기자클럽 주최)
-
9월 14일: 투·개표 및 결과 발표 (전체 533표 중 과반 268표 이상 획득 시 당선)
3. 출마 후보
3.1. 이시바 시게루
이시바 시게루 (石破茂) | |
|
|
출생 | 1957년 2월 4일 (63세) |
현직 | 중의원 의원 ( 돗토리 1구 · 11선) |
3.2. 기시다 후미오
기시다 후미오 (岸田文雄) | |
|
|
출생 | 1957년 7월 29일 (63세) |
현직 |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중의원 의원 ( 히로시마 1구 · 9선) |
3.3. 스가 요시히데
스가 요시히데 (菅義偉) | |
|
|
출생 | 1948년 12월 6일 (71세) |
현직 |
제83대
내각관방장관 (
제4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중의원 의원 ( 가나가와 1구 · 8선) |
4. 개표 결과
성명 | 국회의원 | 도도부현대표 | 총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이시바 시게루 | 26표 | 42표 | 68표 | 12.73% | 3위 |
스가 요시히데 | 288표 | 89표 | 377표 | 70.60% | 1위(당선) |
기시다 후미오 | 79표 | 10표 | 89표 | 16.67% | 2위 |
세부적으로 들어가 국회의원표와 지방표로 나눠보면 국회의원표에선 스가 관방장관이 288표, 기시다 정조회장이 79표, 이시바 전 간사장이 26표, 지방 표(도도부현 지부 연합회)에선 스가 관방장관이 89표, 이시바 전 간사장이 42표, 기시다 정조회장이 10표를 얻었다. 최초 지방표 개표 시점에선 이시바 전 간사장이 2위를 차지했으나, 기시다 정조회장이 국회의원표에서 이시바 전 간사장보다 3배 이상 이기면서 최종 개표 결과 2위에 올랐다.[5]
4.1. 도도부현대표별 득표수
지역 | 정수 | 이시바 | 스가 | 기시다 |
홋카이도 | 3 | 0 | 3 | 0 |
아오모리현 | 3 | 1 | 2 | 0 |
이와테현 | 3 | 1 | 2 | 0 |
미야기현 | 3 | 1 | 2 | 0 |
아키타현 | 3 | 0 | 3 | 0 |
야마가타현 | 3 | 1 | 1 | 1 |
후쿠시마현 | 3 | 1 | 1 | 1 |
이바라키현 | 3 | 1 | 2 | 0 |
도치기현 | 3 | 1 | 2 | 0 |
군마현 | 3 | 1 | 2 | 0 |
사이타마현 | 3 | 0 | 3 | 0 |
치바현 | 3 | 0 | 3 | 0 |
도쿄도 | 3 | 0 | 3 | 0 |
가나가와현 | 3 | 0 | 3 | 0 |
니가타현 | 3 | 0 | 3 | 0 |
도야마현 | 3 | 2 | 1 | 0 |
이시카와현 | 3 | 1 | 2 | 0 |
후쿠이현 | 3 | 1 | 2 | 0 |
야마나시현 | 3 | 0 | 1 | 2 |
나가노현 | 3 | 1 | 2 | 0 |
기후현 | 3 | 1 | 2 | 0 |
시즈오카현 | 3 | 1 | 2 | 0 |
아이치현 | 3 | 1 | 2 | 0 |
미에현 | 3 | 2 | 1 | 0 |
시가현 | 3 | 1 | 2 | 0 |
교토부 | 3 | 1 | 2 | 0 |
효고현 | 3 | 1 | 2 | 0 |
나라현 | 3 | 1 | 2 | 0 |
와카야마현 | 3 | 0 | 3 | 0 |
돗토리현 | 3 | 3 | 0 | 0 |
시마네현 | 3 | 2 | 1 | 0 |
오카야마현 | 3 | 1 | 2 | 0 |
히로시마현 | 3 | 0 | 0 | 3 |
야마구치현 | 3 | 0 | 3 | 0 |
도쿠시마현 | 3 | 1 | 2 | 0 |
카가와현 | 3 | 1 | 1 | 1 |
에히메현 | 3 | 1 | 2 | 0 |
고치현 | 3 | 2 | 1 | 0 |
후쿠오카현 | 3 | 1 | 2 | 0 |
사가현 | 3 | 1 | 2 | 0 |
나가사키현 | 3 | 1 | 1 | 1 |
구마모토현 | 3 | 1 | 1 | 1 |
오이타현 | 3 | 1 | 2 | 0 |
미야자키현 | 3 | 2 | 1 | 0 |
가고시마현 | 3 | 1 | 2 | 0 |
오키나와현 | 3 | 0 | 3 | 0 |
5. 분석
결과는 애저녁에 확정났다. 이미 당내 계파 사이의 밀실 합의로 스가를 차기 총리로 선출하자고 정했고, 일반 국민은 어차피 당에서 결정한대로 따라 지지해주기 때문에 정당성은 확보한 상태. 아베가 사실상 후계자로 낙점한 스가 요시히데가 이변 없이 총재로 선출되어 아베 신조의 당 장악력이 여전하다는 것이 확인됐다.스가 총재는 곧 실시할 것으로 보이는 중의원 해산까지 사실상 아베 신조의 대체품으로서 총리로 활동하게 된다. 이번에 선출된 스가는 아베 전 총재의 남은 임기를 보궐하며 당을 이끌게 된다.
당 내에 세력 없기로 유명한 이시바 시게루의 정치적 입지를 보내버리기 위한 선거임은 다들 알고 있었지만 기시다 후미오보다 적게 득표해 3위에 주저 앉은 것은 그에게 예상 외의 큰 출혈이라는 평가다. 당 내에서 그를 확실히 눌러버리려고 스가에게 줄 표마저 기시다에게 나눠 줄 것이라는 예측은 그대로 나타났다. 어차피 결과야 선거를 하기 전부터 다 정해졌기 때문에, 그에게 있어서 이번 총재 선거는 “나는 아베파가 아니고, 차기에 계속 도전할 몸”이라는 것을 보여주어 눈도장을 찍어두는 용도로는 적절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