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21:09:47

110m 허들

110mH에서 넘어옴

파일:육상 픽토그램.svg 올림픽 육상의 세부 종목
트랙 필드 복합 도로
달리기
( 100m)
멀리뛰기 투포환 10종/7종 경보
허들
( 110m/100m · 400m)
세단뛰기 원반던지기
높이뛰기 창던지기 마라톤
계주 장대높이뛰기 해머던지기


1. 개요2. 허들의 높이와 간격3. 키는 결정적인 요소인가?4. 여담
4.1. 기록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www.cbc.ca/essentials-hurdles-athens.jpg
110 meter hurdles(또는 110mH), 110m 허들

육상 단거리 장애물 종목으로 110m 직선 주로에서 총 10개의 허들을 넘는 경기이다.

남자 전용 종목이다. 여자 전용으로 100m 허들이 있다. 남자와 여자의 거리가 다른 이유는 남자는 허들이 커서 100m로 하면 최고 스피드를 유지하지 못하고 템포가 뚝뚝 끊기기 일쑤라서 그렇다고 한다. 허들 10개를 넘으며 단거리를 완주한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허들 높이도 다르고 코스의 길이도 다르기 때문에 조금 과장해서 높이뛰기와 멀리뛰기의 차이만큼의 차이가 있다. 60m 허들 종목도 있지만 이건 실내(Indoor)육상 시즌에나 보이는 것이다.

허들을 넘으면서도 속도를 유지하면서 리듬을 타는 것이 중요하며, 모종의 이유로(허들에 발이 걸렸거나, 넘어질 경우 등등...) 리듬이 깨지는 순간 해당 선수의 경주는 끝이다. 허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스텝을 잘 맞춰야 한다. 때문에 키와 다리 길이가 딱 맞는다면 언제나 유리한 포지션을 점한다. 첫 허들까지 7-9보, 이후 3보마다 다음 허들을 넘는 것이 정석이다. 3보가 안돼서 4보를 쓰는 경우도 있지만 이때는 리드하는 다리가 허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약간 불리하다.

2. 허들의 높이와 간격

IAAF 공인 허들 높이와 각 허들 사이의 간격은 나이대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3. 키는 결정적인 요소인가?

1미터를 넘나드는 높이의 허들들을 넘어야 하다 보니 키가 꽤 중요하게 여겨진다. 실제로 미국 학교들의 육상팀들을 보면 키가 많이 큰 녀석들을 보면 허들 선수들이 많다. 키가 작은 허들러들은 찾기 힘들다. 키가 너무 작은 경우(대충 175cm 이하), 3보 테크닉을 쓰는 데에 애를 먹고 속도가 느려진다. 3보테크닉을 쓰면 제1허들까지 8±1보+제10허들까지 3보씩 27보+결승선까지 4-5보로 총 38-40보가 소요된다. 키가 195cm[2]라서 보폭이 넓은 우사인 볼트가 100m을 완주하는 데에 41보가 필요한 걸 생각하면 110m 허들에서는 3보 테크닉에는 상당히 큰 보폭이 필요한 걸 알 수 있다. 100m보다 10m가 더 길고 허들을 넘을 때와 내릴 때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하지만 키가 너무 크면(190cm 이상) 3보테크닉을 쓰자니 허들에 너무 가까워지고 그렇다고 2보테크닉을 쓰기엔(이건 아직 시도되지 않음) 너무 키가 작아서 문제다. 적당한 키가 중요한것.

그리고 이쯤되면 감이 왔겠지만 제일 중요한 건 키 자체보다는 다리의 길이다. 키가 크더라도 다리가 짧거나 키가 작더라도 다리가 길면 최소한 보폭에 한해서는 불리할 게 없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키나 다리 길이가 다가 아니다. 누군가 허들링은 예술이라고 했다. 허들을 넘으며 타는 리듬, 유연성 그리고 스피드와 조합이 이루어 질 때 적당한 키가 빛을 발하는 것이다. 키가 작다고 올림픽까지는 가지 못하겠지만 적어도 고등학교나 대학 경쟁리그에서는 꽤 괜찮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미국 스테이트 챔피언십에서도 간간히 160cm대의 허들러들이 목격된다. 노력과 열정이 있다면 분명히 목표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언제나 자신감과 희망을 가지면 어떻게든 무언가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4. 여담

모르는 사람들은 허들을 넘어뜨리면 실격인 줄 안다. 초창기에는 실제로 그랬으나 허들을 넘어뜨리면 해당 선수의 속도도 허들로 인해 늦춰진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짐에 따라 이제는 10개의 허들을 전부 다 넘어뜨려도 실격처리는 되지 않는다. 물론 고의로 넘어뜨리거나 넘지 않고 밑으로 가거나, 또는 옆으로 돌아가면 실격.

이러면 당연히 실격... 고의로 넘어뜨리는 거랑 아닌 거랑 어떻게 구별하냐고 묻는다면, 확 티난다. 걱정말자. 애초에 그렇게 할 바에야 제대로 넘어가는 게 훨씬 빠르니 굳이 그럴 사람도 없다. 위의 링크로 걸린 동영상만 봐도 허들 다 무시하고 가는데도 1등을 못 잡는다.

허들러들 사이에서 가장 와닿는 명언은 '넘어지지 않으면 허들러가 아니다.' 육상부에서 허들링을 하다 보면 99.9%의 확률로 한 번쯤은 넘어진다. 당장 아는 허들러 하나 잡아서 물어보면 당연하다는 말을 하거나 말없이 흉터를 보여준다.

허들은 앞면과 뒷면이 있으며 이걸 반대로 놓으면 허들이 넘어지지 않아서 선수가 더 대차게 구르게 된다. 주의.

허들링의 영어 철자는 hurdling. 그리고 펭귄들의 허들링은 huddling이지만 한글 철자는 똑같다. 네이버에서 '허들링'이라고 쳐보면 이 허들이 아니라 저 허들이 나온다. 동음이의어는 허들 참고.

4.1. 기록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아시아 출신 최초로 육상 트랙종목 금메달을 따내서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중국 류샹 선수가 세운 전 세계기록은 12.88초였다. 그리고 미국의 데이비드 올리버 선수의 개인 기록은 12.89초.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로블레스, 올리버, 류샹이 격돌했는데, 올리버 선수는 왠지 뒤쳐지고, 선두로 달리다가 마지막 허들에서 로블레스 선수가 실수로 류샹의 왼팔을 건드리는 바람에 로블레스 선수는 실격, 류샹은 은메달에 그쳤고 어부지리로 미국의 제이슨 리처드슨 선수가 금메달을 가져갔다. 2012 삼성 다이아몬드 리그 시즌 중 미국 유진에서 류샹 선수가 12.86초의 기록을 세우면서 다시 세계기록 보유자가 될 뻔...했으나 등바람이 초속 2m/s를 넘어서 기록이 인정되지 않았다.

현 세계기록은 2012년 9월 7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삼성 다이아몬드 리그 경기에서 에리스 메릿 선수가 수립한 12.80초로, 다이론 로블레스의 12.87초에서 무려 7/100초를 단축해 버렸다.

여자 전용인 100m 허들의 세계 신기록은 2022년 유진 세계선수권에서 나이지리아의 토비 아무산이 세운 12.12초이다.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역사상, 여자 단거리 육상 경기에서 최초이자 두 번째 금메달을 수확한 종목이 여자 허들 100m이다. 2010년(광저우) 이연경과 2018년(자카르타-팔렘방) 정혜림이 그 주인공이다. 2010년 당시 아시아 시즌기록 보유자(13.00초)였던 이연경은 예선에서 7위로 올라 체력을 아낀 후, 결선에서 줄곧 3위권을 달리다가 마지막 허들을 역전하여 넘으며 2위에 0.01초 앞서 극적인 금메달을 땄고, 2018년에 정혜림은 예선에서 1위, 결선에서도 비교적 여유있게 치고 달려 금메달을 딴 다른 점이 있다. 6살 차이의 두 선수는 2010년 동시에 출전한 국내 대회에서 1위, 2위로 여자 허들 100m 한국 최고기록을 함께 경신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5. 관련 문서


[1] 하계 올림픽의 경우 1972년 몬트리올 대회부터 100m로 변경되어 채택되었다. 1932년부터 1968년까지 정식 규격은 길이 80m였다. [2] 참고로 100m 달리기는 키가 크게 중요하지 않아서 괜찮은 키의 범위가 170~190cm 정도로 넓다. 우사인 볼트는 키가 지나치게 큼에도 1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