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6:26:07

디지몬 어드벤처 02: 전편 디지몬 허리케인 상륙!! 후편 초절진화!! 황금의 디지멘탈

황금의 디지멘탈에서 넘어옴
파일:9064813238978760640.png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V 애니메이션
파일:9064813238978760640.png 파일:digimon_adventure_02_logo_hd_by_nelanequin-d6ducox.png 파일:디지몬 어드벤처: Ψ-로고.png
디지몬 어드벤처
(1999~2000)
파워 디지몬
(2000~2001)
디지몬 어드벤처:
(2020~2021)
극장판
파일:디지몬 어드벤처 극장판 로고.jpg 파일:우리들의 워 게임 로고.jpg 파일:Movie_3_logo.png 파일:디아블로몬의 역습 로고.jpg
디지몬 어드벤처
운명적 만남
(1999)
디지몬 어드벤처
우리들의 워 게임!
(2000)
디지몬 어드벤처 02
전편 디지몬 허리케인 상륙!!
후편 초절진화!! 황금의 디지멘탈
(2000)
디지몬 어드벤처 02
디아블로몬의 역습
(2001)
파일:디지몬 어드벤처 트라이 로고.jpg 파일:digimon_le_logo_01.png 파일:digimon_le_logo_02.png
디지몬 어드벤처
tri.
(2015~2018)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
(2020)
극장판 파워 디지몬
더 비기닝
(2023)
코믹스
파일:Digimon Adventure V-Tamer 01 (Logo).png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 01
(1998~2003)
}}}}}}}}} ||

디지몬 어드벤처 02:
전편 디지몬 허리케인 상륙!!
후편 초절진화!! 황금의 디지멘탈
(2000)
デジモンアドベンチャー02
(前編)デジモンハリケーン上陸!!
(後編)超絶進化!!黄金のデジメンタル
Digimon Adventure 02:
Vol 1. Digimon Hurricane Landing!!
Vol 2. Transcendent Evolution!! The Golden Digimentals
파일:digimon adventure 02 movie_1.jpg
{{{#!wiki style="margin: -16px -11px" 디지몬 애니메이션 극장판 시리즈
우리들의 워 게임! 디지몬 허리케인 상륙!!
초절진화!! 황금의 디지멘탈
디아블로몬의 역습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애니메이션, SF, 액션
감독 야마우치 시게야스
각본 요시다 레이코
원작 혼고 아키요시
주연 키우치 레이코, 노다 준코, 나츠키 리오, 우라와 메구미
캐릭터 디자인 아이자와 마사히로
음악 아리사와 타카노리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애니메이션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온미디어, 얼리버드픽쳐스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얼리버드픽쳐스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7월 8일
파일:투명.png 2023년 11월 17일( 재개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개봉[1]
상영 시간 60분
일본 박스오피스 12.7억 엔
국내 스트리밍
[[왓챠|
WATCHA
]]



상영 등급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관람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등장인물
2.1. 주연2.2. 조연2.3. 등장 디지몬
3. 줄거리4. 사운드트랙5. 평가6. 떡밥 회수 실패?7. 기타

[clearfix]

1. 개요

디지몬 어드벤처 02의 극장판이자, 주식회사 반다이 창립 50주년 기념 작품. 영화 《 꼬마마법사 레미 ♯》과 동시 상영.

본편의 초중반쯤에 일어난 이야기인데, 본편과의 연관성은 전혀 없다.[2][3]

투니버스에서 방영할 당시의 제목은 ' 황금의 캡슐 진화'. 시간이 약 1시간 대로 디지몬 시리즈의 극장판 중 첫 장편 작품이다.[4] 전/후편으로 나뉘어졌는데, 전편이 '디지몬 허리케인 상륙!!' 후편이 '초절진화!! 황금의 디지멘탈'이다.

2. 등장인물

2.1. 주연

2.2. 조연

2.3. 등장 디지몬

3.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여름방학(2002년), 미국, 뉴욕에서 신나리 리키와 같이 시간을 보내던 미나가 갑자기 사라진다. 비슷한 시간에 일본에서도 태일, 매튜, 소라, 한솔, 석이가 사라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건을 뒤쫓던 산해, 예지, 재하, 리키, 나리는 과거에 헤어진 초코몬을 찾던 워레스와 만나게 된다.

여러 사건을 겪으며 워레스가 초코몬을 잃어버린 서머 메모리의 꽃밭에 도착하지만 그곳에서 초코몬이 바이러스 진화한 케루비몬과 싸우게 된다. 하지만 케루비몬에 의해 전부 유년기로 퇴화했음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워레스와 산해는 세라피몬 홀리드라몬이 전달해준 황금의 디지멘탈에서 운명의 디지멘탈, 기적의 디지멘탈을 받아 구미몬은 래피드몬으로, 브이몬은 매그너몬으로 캡슐 진화시켜 계속해서 싸운다.

전투 도중 미야코가 포로몬의 상처를 치료해주는 걸 보고 워레스와의 추억을 떠올린 케루비몬 안의 웬디몬이 정신을 차리고 자신을 퇴치해달라고 하고, 그 뜻을 알아챈 래피드몬과 매그너몬이 웬디몬을 퇴치하자 케루비몬도 악에서 본래의 모습으로 정화되어 워레스에게 미소를 짓고 사라진다. 워레스는 언젠가 다시 초코몬을 만날 수 있을 거라 믿고, 테리어몬과 함께 자신의 앞으로 떠내려온 로프몬의 알을 주우러 가면서 이야기가 끝난다.

4. 사운드트랙

OP
ターゲット~赤い衝撃~
타겟 ~붉은 충격~
일본판
한국판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와다 코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영호
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키 유우(松木 悠)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동준
작곡 오오타 미치히코(太田 美知彦)
편곡
ED
スタンド・バイ・ミー 〜ひと夏の冒険〜
Stand by me ~어느 여름날의 모험~
일본판
한국판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AiM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여진
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117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동준
작곡 우에다 코지(上田 晃司)
편곡 오오타 미치히코(太田 美知彦)

그 외에 일본판에서는 브이몬이 번개드라몬으로 진화할 때 미야자키 아유미의 'Break Up!'의 BGM이 사용되었으나, 어째선지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전영호의 '타겟 ~붉은 충격~'으로 대체되었다. 수입/배급 중에 'Break Up!'을 녹음하지 않은 듯하다.

5.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없음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71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
평점 없음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2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5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없음%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30912"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30912;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091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없음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9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
평점 7.11 / 10.0
기준: / ()


평가는 전작과 달리 그다지 좋지 않다. 전개가 지루해서 보다가 중간에 그만뒀다는 사람들도 있고 이전에 나온 우리들의 워 게임!이 대부분의 팬들에게는 넘사벽으로 취급받는데다가, 몇몇 떡밥이 회수되지 않고 맥거핀에 가깝게 다뤄지는 허술한 면으로 인해 워 게임보다 떨어진다는 등의 비판이 있다.

기존의 디지몬과 굉장히 이질적으로 예술영화 마냥 진행되고 BGM도 서부영화에 흘러나올 법한 음악이 나오는데 정작 서부 요소는 미국 배경을 제외하면 전혀 관련이 없다.

그리고 리키와 나리를 제외한 이전의 선택받은 아이들의 활약이 전무한데다가 왜 나왔는지 이해가 안 될 정도로 공기로 만들 거면 왜 등장시켰나고 불만을 품은 사람도 있다. 특히 본편인 파워 디지몬에서도 이전의 선택받은 아이들의 대접이 매우 어중간했기에 불만이 더 심화된 것도 포함된다.

무엇보다 다른 극장판하고는 분위기가 확연히 비교될 정도로 어둡고 암울한 것이 특징. 인물 작화의 데포르메가 TV판과 비교해서 보면 '누구세요?' 소리가 나올 정도로 리얼하게 바뀌었고팬들은 좀처럼 보기 힘든 작화로 보여지는 캐릭터들을 보려고 본다, 전개도 드라마 스타일이다. 극장판이 아니라 다른 시리즈를 보아도 최종결전이 이렇게 암울하게 진행된 적은 없었다. 우리들의 워 게임!에서도 상황이 암울한 부분은 있었으나 심각하게 어둡고 암울하지는 않았으며 후반부에는 희망적으로 극복하는데에 반해, 황금의 디지멘탈은 끝까지 암울하게 진행된다.

극장판의 분위기와는 완전히 따로 노는 제목 역시 비판받는다.

그나마 극장판 특유의 몽환적이면서도 현실감 있는 작화는 평가가 좋은 편이며, 또 황금의 디지멘탈과 스토리는 비슷한 주제에[8] 완성도는 이와 비교도 되지 않게 낮은 디지몬 어드벤처 트라이 때문에 재평가를 받고 있다. 일단 설정붕괴의 경우는 여기에서도 있긴 하지만 트라이는 매우 심각하다. 없던 캐붕도 생긴건 덤.[9] 그리고 황금의 디지멘탈의 워레스와 비슷한 포지션인 모치즈키 메이코는 워레스와는 달리 성장을 전혀 하지 않고 징징거리기만 한다. 뿐만 아니라 (비록 엄밀히 이야기 하자면 누군가의 소행 및 음모로 인한 결과물이라고 하지만) 메이쿠몬이 비추는 악행 미화 및 메리수 행보 역시 시청자들의 비호감을 부른다. 같은 포지션의 케루비몬이 뇌우치고 나서 자기를 공격하라는 신호를 준 것과는 대조적이다. 때문에 황금의 디지멘탈은 평가가 훨씬 낫다. 완성도와는 별개로 트라이는 2015년에 완성된 작품임을 감안하면 작화 및 연출조차 황금의 디지멘탈보다 밀린다. 황금의 디지멘탈도 전개가 지루하나 트라이는 더 지루하다.-트라이 명작이라는 사람에게는 본작을 보여주자- 다만 비교 대상이 팬들에게 흑역사 취급받는 그 트라이인 시점에서 이 극장판의 평가가 어떤지 잘 알 수 있다.

참고로 북미판에서는 서로 스토리상 관련이 없는 3개의 극장판을 합치면서 대사를 멋대로 변경 또는 추가한 결과 디아블로몬 케루비몬을 타락시킨 흑막으로 설정이 변경되어 나온다. 또한 선배 선택받은 아이들이 납치당했다는 것도 다 짤렸고 워레스가 디아블로몬을 탄생시킨 장본인(?!)으로 나온다[10]. 2기의 아이들이 케루비몬과 싸우게 된것도 리키와 나리가 미나를 만나러 미국에 온 후 둘이서 관광을 하다가 케루비몬에게 습격당하고 워레스를 흘깃 보게되는데 워레스에 대해 이미 알고 있으며[11], 그 때문에 도움을 청하니 찾아온 것으로 바뀌었다. 아무튼 스토리를 완전히 바꿔놓아서 한번 보는 걸론 이게 대체 무슨 내용인지 알기조차 힘들다. 때문에 포켓몬 극장판 뮤츠의 역습 때와 마찬가지로 사정을 모르고 본 Nostalgia Critic은 리뷰에서 북미판 극장판을 신랄하게 깠다.[12]

6. 떡밥 회수 실패?

위에서 몇몇 떡밥이 회수되지 않았기에 스토리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사실 이는 극장판이 워낙 지루해서 제대로 보지 못해 스토리를 잘못 이해한 것과 북미판의 수정된 스토리가 퍼지면서 생긴 오해이다. 떡밥 자체는 작품 내에서 다 풀어놨지만 시청자 입장에서는 내용이 제대로 이해가 안 되니 이건 이거대로 문제인 셈.

7. 기타



[1] 2004년 1월 1일 투니버스를 통해 방송하면서 처음 공개되었다. [2] 어드벤처 극장판으론 유일한 외전. 이 극장판을 뺀 나머지 디지몬 어드벤처 구작 시리즈는 모두 이어져 있다. [3] 굳이 엮자면, 선택받은 아이들이 가진 디지멘탈 특히 산해, 예지, 재하 중 산해가 먼저 2개의 디지멘탈을 가지게 된 에피소드 이후의 1편으로 엮을 수 있긴 하다. [4] 그 전까지 나온 극장판 중 러닝타임이 가장 긴 《 우리들의 워 게임!》도 러닝타임이 40분 가량이었다. [5] 실제로 모습이나 대사가 나오지는 않고, 워레스의 통화 상대로 등장. 테리어몬이 흉내낸 모습에 의하면 살이 많이 쪄서 푸짐한(…) 인상이다. [6] 워레스의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직접 등장하지는 않으며, 워레스가 어머니에게 서머 메모리에게 간다는 말을 전해달라고 할 때 통화 상대로 등장. [7] TCG에서는 북미판 명칭을 따라 마그나드라몬이라고 나온다. [8] 본작과 트라이 둘다 오리지널 캐릭터의 미성숙함으로 인해 그들의 디지몬이 깽판을 치는 걸로 시작하는 것. [9] 본작에서 캐붕이 일어난 캐릭터는 없다. [10] 정확히 말하면 파트너 디지몬 둘이 참 도움이 되길래 한 마리를 더 만들었는데, 그 알이 부화하기 전에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탄생한게 디아블로몬이라고 나온다. [11] 북미 더빙판에선 우리들의 워 게임!에서 워레스가 한솔이의 메일친구로 나온다. 이 일로 워레스에 대해 들은 것이 있다고 나오는 것. [12] 다만 이전의 선택받은 아이들은 이번 극장판에선 차라리 안 나오는 게 나을 정도로 대우가 심히 안 좋았다. 선배들이 뜬금없이 케루비몬에게 납치당했지만 선배 디지몬들은 구하려 오질 않고 전혀 등장하지 않을 정도인데 그럴 바엔 편집 당하는 게 다행인 지경이다. [13] 네가 쓸쓸해도 견디려고 했던 초코몬의 마음을 어딘가에 가두어 버렸어! [14] 당신은 슬퍼하고 있던 디지몬이 아냐! [15] * 이곳의 글을 보면 어드벤처 극장판의 코로몬이 다시 디지털월드로 회수된 이유가 제대로 파트너를 가지지 못했기 때문으로 나오는데 초코몬도 비슷한 사례일 가능성이 있다. [16] 워레스와 구미몬이 미국전역을 돌아다니면서 찾았는데도 못찾았다는 것과 웬디몬의 설정에 차원이동능력을 넣은 것을 보면 초코몬은 디지털월드로 강제 회수되어 혼자 헤매다가 웬디몬으로 암흑진화한 후에야 차원이동능력으로 워레스 앞에 나타난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가능하다. [17] 어쩔 수 없지만 우리들의 워게임과 제로투의 극장판들은 당시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극장판과는 다르게 정사에 포함된다. 이게 오메가몬의 정사화와 같이 좋은 점도 있지만 홀리드라몬과 같이 이미 정해져버린 진화 루트는 바꿀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18] 오파니몬은 2001년에 데뷔했다. [19] 전투신에도 이런 음악을 넣으니 전투신이 늘어진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