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14 10:05:47

하오소서체

한국어 문체 문법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7cefa,#01558a> 존댓말
(높임)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 하소서체)
예사높임
하오체
두루높임
해요체
낮춤말
(낮춤)
아주낮춤
해라체
예사낮춤
하게체
두루낮춤
해체
( 반말)
구어체 음성적 잉여표현 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문어체 간결체 만연체 강건체 우유체 건조체 화려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국문법 맞춤법
모아쓰기 / 풀어쓰기 띄어쓰기 가로쓰기/ 세로쓰기
국한문혼용체 국한문병용체 한영혼용체 병기 ( 한자 병기)
개조식 발음대로 적기 읍니다 압존법
일반 문체 / 방언 문체
}}}}}}}}} ||

한국어의 격식체와 비격식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e5e5e5> 15세기 16세기 17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이후
ᄒᆞ쇼셔체 ᄒᆞᄋᆞᆸ쇼셔체 하십시오체
ᄒᆞ쇼셔체
ᄒᆞᄋᆞᆸ체
ᄒᆞ야쎠체 ᄒᆞ소체 ᄒᆞ소체 ᄒᆞᄋᆞᆸ쇼체 ᄒᆞ오체 하오체
니체(반말체) ᄒᆞ소체 하게체
ᄒᆞ라체 ᄒᆞ라체 해라체
ᄒᆡ체 해체
해요체 }}}}}}}}}


1. 개요2. 유형
2.1. '~니이다'체2.2. '~나이다'체2.3. 부사형
3. 하오소서체가 아닌 경우
3.1. '~소이다, ~로소이다, ~ㄹ소이다'체
4. 관련 문서

1. 개요

하오소서체는 극존체라고도 일컬어지는 특수한 어투로, 조선시대 궁중 어투 중에서도 가장 격이 높은 말씨이며 오래전 사장된 옛 어투이다. 하소서체와 비슷한 부분이 많다. 궁중어는 왕정이 있던 시대에도 구중궁궐에서나 쓰이던 말씨라 외부와 다른 점이 있는데, 극존체 역시 마찬가지다.

하오소서체는 하소서체와 다르게 어디까지나 옛말로서 표준어가 아니다. 이에 반해 하소서체는 하십시오체에 예스러운 어미를 붙인 어체로 표준어에 등재되어 있다.

들어가기에 앞서 이 문서는 「조선조 궁중풍속연구」(김용숙, 일지사)와 「국어 궁중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장태진,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음을 알린다.

또한, 옛한글로 작성된 부분이 있어 이를 지원하는 글꼴이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보기에 다소 불편할 수 있다.

공사로 왕을 대할 적에는 왕대비와 대왕대비를 제외한 왕비, 세자, 세자빈, 왕족, 신하 등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이 어투를 사용했으며, 왕족 상호간의 대화에서도 상대가 자신보다 높을 경우 이 어투를 사용했다. 「조선조 궁중풍속연구」에서는 가능한 한 높은 극존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하소서체에 -오를 첨가하였다고 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하소서체는 언제 사용했나 의문이 생기는데, 이는 하오소서체에서 –오가 탈락된 형태로, 「조선조 궁중풍속연구」에서는 엄격한 의미상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라 서술한다. 왕비가 왕에게, 세자빈이 세자에게, 왕비나 세자빈이 친정 수상에게 사용하는 등 상대를 아주 높이는 말씨다. 극존체에 비하면 다소 가볍다지만 여느 말씨보다 격 높은 어투로써 하오소서체와 함께 두루 사용되었다.

궁중에서는 신분, 상황에 따라 다양한 말씨가 사용되었고, 궁중용어와 특수한 다의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정병설 교수가 번역한 문학동네판 한중록은 이 어투를 살려서 번역되었다.

2. 유형

2.1. '~니이다'체

보조어간 유무에 따라 오니이다(오+니이다), 시니이다(시+니이다), ᄋᆞ오시니이다(ᄋᆞ+오+시+니이다)의 유형이 있다.
옛 문헌에는 보조어간의 어미 「시」 보다 「ᄋᆞ(ᄋᆞᆸ)」, 「오(옵)」의 활용 한계가 더욱 넓다.
명령형 ᄒᆞ오소서, ᄒᆞᄋᆞ오소서
긍정형 ᄒᆞ오이다, ᄒᆞ오니이다
과거형 ᄒᆞ더이다, ᄒᆞᄋᆞ옵더이다
미래형 ᄒᆞ겠나이다, ᄒᆞ오시리이다
의문형 ᄒᆞ오니잇가, ᄒᆞ오시니잇가, ᄒᆞᄋᆞ오시니잇가, ᄒᆞᄋᆞᄋᆞᆸ더니잇가, ᄒᆞ오리잇가, ᄒᆞ오시리잇가, ᄒᆞᄋᆞ오시리잇가

2.2. '~나이다'체

~나이다 역시 앞에 보조어간 ᄋᆞᆸ/옵이 덧붙은 상태로 쓰였다.

예를 들면 “도승지 데리고 오옵나이다.”, “이것은 도로 드리나이다.”, “이것을 받으면 어떠하겠삽나니잇가” 와 같이 사용한다.

의문형은 ‘-나이까’ 대신 ‘-나니잇가’를 사용한다.[1]
'올소이다'는 '올시다'에 해당한다.

2.3. 부사형

어간과 어미 사이에 보조어간 시, 오, 우, 옵, ᄋᆞᆸ, ᄌᆞᆸ, ᄉᆞ와, ᄌᆞ와 등이 개입된다.

가옵시어→가오셔
들었사오니→듣자와시니
~께옵서→겨오셔, 겨ᄋᆞ오셔
와 같이 격음(激音), 경음(硬音), ㅂ, ㅍ 등의 파열음(破裂音)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변형되고, 둥글고 부드럽고 느릿하게 발음하였다.

여기서 보조어간이란 주체와 객체를 높이거나 자기를 낮추는 것을 뜻이다. 「시」, 「옵」, 「ᄋᆞᆸ」, 「오」, 「우」, 「ᄉᆞᆸ」, 「ᄌᆞᆸ」, 「ᄉᆞ와」, 「ᄌᆞ와」, 「ᄌᆞ오」 등이 이에 해당한다.

ᄋᆞᆸ(옵), ᄋᆞᆸ고(옵고), ᄋᆞ와, ᄌᆞ와, ᄌᆞ오시고, ᄌᆞ오시니, ᄌᆞ오니, ᄌᆞ옵고, ᄌᆞ옵게, ᄌᆞ오셔, 시ᄋᆞᆸ(시옵), ᄉᆞ와, ᄉᆞ오셔, ᄉᆞ옵고, ᄉᆞ오니, ᄉᆞ옵지, ᄉᆞ옵게 등으로 활용된다.

(ᄒᆞ)ᄋᆞ오시옵고
(ᄒᆞ)ᄋᆞ오시오려
(보)아오시오니
등으로 활용한다.
~하옵시고, ~하옵시더니 등에서 ㅂ이 탈락되어 ~하오시고, ~하오시더니 등이 되는 현상이다.

3. 하오소서체가 아닌 경우

3.1. '~소이다, ~로소이다, ~ㄹ소이다'체

'~입니다'와 같은 뜻이다.

옛 문헌에 아랫사람이 왕에게 고하는 어투로 나타나기는 하지만, 하오소서체라기엔 ‘–나이다’, ‘-니이다’에 비하면 격이 매우 떨어진다.

이는 간접법으로 작성되어 그러한 것으로, ~소이다는 하오소서체에 해당하지 않는다.

간접법이란 남의 말을 인용하면서 현재 말하는 이의 입장에서 인칭이나 시제 따위를 고쳐 말하는 것으로, 이 경우는 ‘고양이이옵나이다.’, ‘이 일은 못하겠사옵니이다.’라 말한 것을 ‘고양이로소이다.’, ‘이 일은 못하겠소이다.’와 같이 작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관련 문서


[1] 이 어투는 현재 개신교 성경에서 ‘-오니이까’체로 그 흔적을 알 수 있다. [2] 「조선조 궁중풍속연구」에서는 연용형 어미라고 설명했으나, 이는 –아(어), -게, -지, -도록 등의 부사형 어미를 일컫는다. 현재 연용형(連用形, れんようけい, 렌요케이)이라는 분류는 일본어 문법에나 남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