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0:16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최상단 예시의 영상 직접 삽입은 3개 이하까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최상단 예시의 영상 직접 삽입은 3개 이하까지\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Progressive house
<colbgcolor=#3CB371><colcolor=#fff> 기원 장르 하우스, 트랜스, 발레릭 비트, 이탈로 하우스, 테크노
지역
[[영국|]][[틀:국기|]][[틀:국기|]]
등장 시기 1990년대 초반
퓨전 장르 프로그레시브 트랜스
예시
[ 펼치기 / 접기 ]
Vicetone & Tony Igy - Astronomia[1]
Janji - Together
Saberz - Together[2]
NEKTWORK - Square Snow[3]
Alan Walker - Faded[4]
Alan Walker - The Spectre[5]
Totemlost - Constellations
Elektronomia - United
Dimitri Vegas & Like Mike - mammoth[6]
Techno Dream Trance - In The Distance[7]
Gereth Emery - Long Way Home[8]
Sylvermay - Aeris[9]
1. 개요2. 상세3. 구조4. 스타일
4.1. 고전적 프로그레시브(트랜스 형태, chill progressive) 하우스4.2. 페스티벌(EDM, 멜로딕, 팝)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5. 역사
5.1. 문서가 있는 아티스트

[clearfix]

1. 개요

일렉트로 하우스와 함께 2010년대 초중반의 주류를 이룬 하우스의 하위 장르 중 하나. 대중성을 얻은 후 클럽에서 벗어나 대형 스타디움급 규모의 공연을 하게 된 1세대 일렉트로니카 DJ들이 해당된다.

2. 상세

본래 스타일과 현재 알려진 스타일 사이의 괴리감이 가장 큰 장르 중 하나고[10], 이렇다 정의 내리기엔 너무 넓고 모호한 장르이기도 하다. 악기화된 보컬 멜로디나 화성감이 강조돼 점진적 빌드업 형태를 띄는 하우스를 가리키는 느슨한 개념이다.

여기에서 progressive 라는 단어는 '진보적'이라는 뜻 보다는 '점진적'이란 뜻에 더 가깝다. 해당 단어가 확립될 당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곡 전반의 뼈대에 빌드업을 넣어놓고 들어가는 구조였기 때문. 프로그레시브 하우스가 많이 바뀐 지금의 정의와는 많이 다르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보면 시대에 따라 '진보'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하게 변주될 수 있는 가능성을 항상 열어두고 있는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00년대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트랜스의 영향을 받은 하우스로 본다. 당장 아래 있는 폴 오켄폴드도 트랜스 dj로 유명하던 사람이다. 점진적인 빌드업과 환각적인 분위기 모두 트랜스에서 즐겨 사용하는 요소다. 다만 분위기가 트랜스에 비해 점잖고 차분했다. 물론 현대의 EDM 프로그레시브도 트랜스의 영향을 받았으나, 거기서 분위기가 더 신나졌다.

10년대 NCS에서 양산되는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즉 마틴 게릭스, W&W식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선율과 화성감을 강조하고 페스티벌에서 자주 이용되기에 'Festival Progressive', '멜로딕 하우스'라고도 부른다. 다만 멜로딕 하우스란 명칭의 경우 멜로디로 구성된 다른 하우스 장르인 딥 하우스를 가리키기도 한다.

3. 구조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도 여러가지 도입요소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체적으로 트랜스 팝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여타 하우스와 마찬가지로 정박자 비트를 사용하고, 기존 하우스에 비해 선율과 화성감이 두드러지며, 베이스가 주요 멜로디를 받치고 화음을 구성하며 선율을 강조한다. 플럭(Pluck)계열의 음원이나 피아노, 기타, 스트링처럼 깔리는 패드, 쏘우 등이 자주 사용된다. 보컬은 양념만 치거나 아예 잘 사용되지 않던 기존 넘버들에 비해 보컬이 (대체로)중요한 요소가 된다. 목소리를 짜깁기한 보컬찹도 자주 사용되며, 보컬멜로디가 팝송처럼 귀에 잘 들어오게 변모했고, 도입-브릿지-후렴[11]의 구조가 일반적인 팝, 가요처럼 쉽게 만들어져 있는 것이 많다. 트랜스와 비교했을 때 트랜스는 인트로와 아웃트로에 따로 드럼을 넣고 상당히 길게 재생하지만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인트로와 아웃트로가 짧고 드럼을 넣지 않기도 한다. 아예 위의 구성을 버리고 인트로-드랍으로 이어지는 곡도 있을 정도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팝송이나 트랜스의 느낌이 나는, 멜로디가 강조된 넘버는 대체로 프로그레시브 계열로 묶을 수 있다. BPM은 일반적으로 120대 후반 정도. 프로그레시브 트랜스와도 영향을 많이 주고 받았고, 둘을 굳이 구별하지 않고 프로그레시브[12]로 더 느슨하게 부르기도 한다.

또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일정 BPM 이상으로 빨라질 수 없다. 대략 BPM 160 이상부터는 해피 하드코어가 된다.

4. 스타일

먼저 서술했듯이 초창기 형태와 지금의 형태가 좀 다르기 때문에, 트랜스 느낌의 고전적 프로그레시브와 지금의 이디엠( 클럽)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로 나뉜다. 그리고 웃긴건 고전적 프로그 하우스와 EDM 프로그 하우스의 느낌은 완전히 반대라는 것이다!

유튜브에서 찾을 때의 팁은, 영상 길이로 간단히 구별 할 수 있다. 트랜스(chill progressive)식 잔잔한 노래들은 보통 1~2시간짜리 긴 리믹스 영상에 분포돼 있고, 흔히 아는 EDM(festival)식 강렬한 노래들은 대부분 영상 길이가 5분 미만으로 리믹스가 아닌 한곡 한곡씩 나와 있다. 내가 생각한 노래가 아니라고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아무래도 대중들이 신나는걸 선호하다 보니 인기나 인지도는 후자가 더 높은 편. 전자는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아서 보통 대중들은 딥 하우스 트랜스로 인식하기도 한다.[13]

4.1. 고전적 프로그레시브(트랜스 형태, chill progressive) 하우스

초창기 빌드업을 중시하는 트랜스 같은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이다. 특징은 우리가 생각하는 EDM 프로그레시브 하우스하고는 다르게 많이 조용하고 얌전하다는 것이다. 오히려 트랜스보다도 훨씬 조용한 것이 특징. 몇몇 곡은 이름이 비슷한 장르와 의외로 공통점이 많다.

그래서 이런 고전적 프로그 하우스에선 딱히 신난다는 느낌은 받기 어렵고, 명상 음악같은 느낌을 받게 될 것이며 드롭이 강하지 않거나 아예 없기도 하다. 때문에 한결같이 들리는 것이 많다.

또한 고전적인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에선 톱니파 여러개를 겹쳐서 만든 Supersaw라는 사운드가 들어간다. 또한 베이스가 없는 것같은 곡이 많은데 사실은 슈퍼소우 사운드가 베이스 역할을 한다. 이 사운드의 사용 여부가 딥 하우스와 고전적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경계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이 사운드는 곡을 몽환적이게 만드는 효과가 있으며, 에픽 트랜스에서 도입되었고, 퓨처 베이스의 탄생으로 이어진다.

그냥 유튜브에서 영어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를 검색하고 1~2시간 짜리를 틀면, 흔히 아는 밑의 문단과 달리 웬 조용한 소리가 튀어나와 당황하게 만드는 장르들이기도 하다.

deadmau5 & Kaskade - I Remember
트랜스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deadmau5 - Strobe
프로그래시브 하우스의 정수. 10분 동안 간단한 드럼 루프부터 시작해서 각종 악기가 추가되고, 사라지고, 한번에 모든 악기가 나오다가도 물 흐르듯 고요히 마무리되는 프로그래시브 하우스의 본질을 잘 드러내 주는 트랙.

Dannic & Sick Individuals - Blueprint
Tiësto & The Chainsmokers - SPLiT (Only U)

빅룸과 융합한 형태. 전체적으로 봤을때 도입부에서 시작해서 뜬금없이 후려치는 전형적인 빅룸식 드랍 보다는, 서서히 악기들을 쌓아가고 차근차근 곡을 전개해 나가는 방식이 프로그래시브 하우스의 영향을 받은듯. 물론 드랍에서의 가차없는 박력은 빅룸의 특징이다.

Blend & MH20 - Diamond Beach
슈퍼소우를 베이스로 삼은 음악으로, 퓨처 베이스의 기반이 된 형태이다.

M4SONIC - Midnight
Deadmau5와 Kaskade의 곡에서 영감을 받았다 한다.

JerryTerry - No one's around to help
Smug Dancin의 기반이 된 영상. 춤추고 있는 캐릭터는 히죽

Patricia Taxxon - sd_bbb
카와이 베이스의 영향이 보이는 곡. 뮤직비디오는 팬메이드이다. 캐릭터는 Bongo Cat

C418 - Beton

4.2. 페스티벌(EDM, 멜로딕, 팝)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선술한 chill progressive와 스타일이 상반된다. 화성과 멜로디, 드롭을 강조하는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이다. 고전적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만큼 빌드업을 중시하진 않는다.[14] 고전적 스타일보다는 해피 하드코어와 더 비슷한 장르이며, 이후 유행한 빅룸 또한 나중에 서로 작은 영향을 주고 받았다.[15] 물론 이것도 슈퍼소, 멜로디 등등 트랜스의 영향은 여전히 있다.

또한 신나는 느낌이 더 강하고 드롭 부분이 확실하다. 흔히 매드무비 브금이라고 불리는 음악들 중에서도 많이 보인다. 클럽이나 페스티벌 같은 곳에서도 자주 튼다. 명칭이 많은데 edm음악에 자주 사용돼서 edm progressive, festival progressive로도 불린다.[16]

지금의 edm 프로그레시브는 밝냐 어둡냐의 차이일 뿐 빅룸과의 유사성이 꽤 많아서 공식 명칭은 아니지만, 아예 빅룸을 Dark progressive 라고 제목짓는 유튜브 채널들도 좀 있다. 반대로 이 프로그레시브는 멜로딕 빅룸 이라고도 부른다!

Mike Williams - Best Part Missing

Axwell - in my mind[17]

Nicky Romero - Duality

Tiësto & KSHMR feat. VASSY - Secrets[18]

Jim Yosef & Alex Skrindo - Passion

Kaskade feat.Mindy Gledhill - Eyes[19]

Avicii - Levels[20]

포터 로빈슨 & Mat Zo - Easy [21]

Laszlo - Imaginary Friends

Tritonal & Cash Cash - Untouchable[22]

MYNGA & Hechmann ft. Grant Genske - I'm Done[23]

Lost Kings ft. Katelyn Tarver - You[24]

마미손 feat. 유진박 - 별의 노래[25]

Myon and Shane 54 ft. Late Night Alumni - Under Your Cloud

NIVIRO - Flares

Limispis - Metal Place

Alan Walker - Faded

5.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990년대 초반 레이브 씬과 함께 등장했다.

1990년대 초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유행하던 일렉트로 하우스는 화성전개가 거의 없이 원코드이거나, 있더라도 날카로운 음색 때문에 선율이나 화성감이 묻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코드 진행이나 음색에 질린 프로듀서들이 시카고 하우스 애시드 하우스에 영향을 받아 선율과 화성감이 강조되는 하우스 음악을 만들게 되었다. 이것이 당시에는 진보적인 프로덕션이었기 때문에 이것이 바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시작이다. [26]

그래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장르 음악은 기존의 하우스 음악이 가지는 '그루브의 반복' 이라는 어법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서, 곡 전반을 꿰뚫는 빌드업과 곡 전체를 아우르는 멜로디 라인에 방점이 있는, 이른바 기승전결이 뚜렷한 프로그래시브 하우스 특유의 장르적 문법이 존재한다. 때문에 EDM씬 규모가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이 커진 현재로써는 일차적으로 느낄 수 있는 특징은 특유의 멜로디감과 훅의 존재이지만, 초창기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발전 당시의 굵직한 프로듀서의 곡들을 찬찬히 들어보면 꼭 멜로디에 방점이 없거나 기승전결이 뚜렷하지 않은 곡들도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라고 분류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빌드업이라는 특성아 맞추어 발전했기 때문이다. 다른 하우스의 세부장르들이 곡을 진행하는 각종 악기들과 메인 멜로디 루프, 베이스라인을 늦어도 곡 1분 안에 등장시키고 그것을 아주 약간의 변주만 주어 반복시키는 것에 비해,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를 표방하며 나오는 음악은 아주 서서히 악기들을 차곡차곡 쌓아가면서 특유의 웅장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방점을 두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전개방식은 다분히 트랜스(음악)의 구조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Underworld의 Dark And Long (Dark Train Mix)나 Faithless의 Insomnia를 꼽을 수 있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의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Sash!, Sasha, John Digweed, 폴 오켄폴드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2000년대 후반에는 deadmau5, Kaskade, John Dahlbäck, MOGUAI 등의 프로듀서가 있다.

그리고 2000년대 후반부터 EDM 열풍이 세계를 휩쓸기 시작하면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문법은 이전에 발매된 멜로딕하지 않은 프로그래시브 본연의 포인트에 집중한 음악들에서 다른 형태로 급변하게 되는 이러한 장르적 변화는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문화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일렉트로니카 음악이 단순히 트랜스나 클럽 음악을 트는 마이너한 장르에 위치해있다가 대중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EDM씬이 점차 커지게 되자 그리고 당시에 대표적인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이었던 UMF Tomorrowland, Sunburn Goa 등등 2010년대 초중반 전 세계적 규모의 페스티벌이 일렉트로니카의 중심지를 클럽에서 스타디움으로 옮기며 규모를 키우는, 점차 대중적인 쪽으로 바뀌게 된다. 또한 그 타이밍에 일렉트로니카 신에서 가장 핫한 장르이자 자연스럽게 입문하게 좋았던 장르가 바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였고 이때부터는 더 이상 소수의 매니아 클러버가 아닌 일반 대중을 향한 음악이 필요한 타이밍이었기에 이는 자연스레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변화로 이어진다.[27]

2010년대 초반에는 대중성을 얻어 클럽을 넘어 스타디움 급의 공연이 가능할 정도로 장르의 규모가 커진다. Dash Berlin, Calvin Harris, David Guetta, Avicii, Swedish House Mafia, Nicky Romero, Zedd, Vicetone, 2010년대 중후반부터는 Alan Walker, Tobu, Marshmello, Elektronomia, NIVIRO, Jim Yosef, Cash Cash, Martin Garrix등의 이 곳에 따로 적기 힘들 정도로 수많은 프로듀서들이 상업적 대성공을 거두었다.

가장 큰 변화는 기존의 8~11분 사이의 대곡 지향적인 곡 길이를 4~6분 사이로 줄이는 대신, 사운드의 추가와 소거를 통한 빌드업과 유려한 구성을 줄이거나 포기하는 것이었다. 당시 Axwell이나 Avicii, Alesso,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 등의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슈퍼스타들은 이러한 시대의 요구를 팝적인 구성을 통한 빌드업과 멜로디의 변화를 통한 곡 구성으로 부응하려 했고 그 결과는 기존에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들어보지 못했던 대중들에게도 급속도로 사랑을 받은 만큼 매우 성공적인 변화를 낳게 되었다.

모 해외 일렉트로니카 웹진에서 2013년 일렉트로니카 씬을 이끌어간 장르로 꼽힌 장르이며 실제로도 2013년 전후반으로 상당수이다 못해 정말 많은 곡들이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곡이 발매되었으며 모두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과장이 아니라 사실상 EDM 음악이라 했다 하면 거의 대부분이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였고, 정말 다양한 서브장르 음악이 대중화와 동시에 메인스트림으로 올라가 대중적인 장르의 폭이 훨씬 넓어진 2022년 현재도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EDM씬 안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보통의 EDM씬 안에서 통용되는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또는 이 장르를 처음 접하는 리스너들은 신나고 심플하면서 멜로디가 매력적인 느낌인 일렉트로닉 음악을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고 실제로도 어느정도 맞는 말이기도 하다.

특히 Avicii는 Levels라는 트랙을 통해 단순히 비트가 존재하기 위해 멜로디가 존재하는 형태의 음악 아닌, 멜로디 자체만으로 하나의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정반대의 시도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차세대 전자음악 슈퍼스타로 날아오른다. 물론 deadmau5, Eric Prydz, Michael Woods와 같은 프로듀서들 또한 이러한 빌드업의 단축과 구성을 줄이는 대중적인 세태에 따라가지 않고 본래의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적 문법에 집중하며 그들만의 음악적 세계를 구축해 나간다.

멜로딕 프로그레시브 하우스가 유행의 궤도에 오른지 얼마 지나지 않아 Martin Garrix가 일렉트로 하우스에 영감을 얻어 시도한 Animals라는 트랙[28]으로 빅룸 센세이션[29]을 일으키고 빅룸이라는 장르가 일렉트로 하우스의 한 스타일이 아닌, 특정 장르로 발전되어 독립된 음악적 신을 형성하게 되자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여기에 또 영향을 받게 된다. 당시 하드웰이 이끄는 Revealed Records에서 이러한 빅룸과 프로그래시브 하우스를 융합하려는 시도를 많이 했는데, 특히나 수장인 하드웰과 대닉은 빅룸 유행 이전에 프로그래시브 하우스를 주로 만들던 프로듀서들이었다. 강력한 킥과 드랍에서의 엄청난 음압을 고수하는 한편, 곡 전반적인 구조와 탄탄한 빌드업에도 신경을 쓰는 Revealed의 빅룸,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스타일은 역시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되어 비트포트 등을 휩쓸게 된다.

또한 2015년 Alan Walker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에서 멜로디를 더 강조시킴과 동시에 기존의 비트의 박자를 느리게 하는 다양한 변화를 통해서 EDM씬의 가장 큰 장르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통해 유행의 중심이 퓨쳐 하우스와 트랩, 퓨쳐 베이스, 베이스 하우스로 급변하는 와중에도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지금까지의 모든 모습들 즉 멜로딕, 빌드업, 화성 중시, 팝적인 사운드 등을 모두 포괄하는 대중 친화적인 EDM의 대명사가 되었다.

2015년과 2016년 이후부터 몇 년 동안의 주구장창 나오는 하우스 음악 범람에 지친 대중들과 프로듀서들은 하우스 다른 서브 장르인 딥 하우스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되고 그 기반의 퓨쳐 하우스, 베이스 하우스, 트랩, 퓨쳐 베이스, 다시 유행을 꿰찬 테크 하우스 등으로 전자음악계에서는 유행이 바뀌게 되며 자연히 힘이 빠져가는 중이다. 다만 팝 시장과 엮이는 음원 시장에서는 아직도 Martin Garrix와 같은 슈퍼스타들이 꾸준히 멜로딕 프로그래시브 하우스를 프로듀싱하며 나름의 명맥을 잇는 편이다. 애초에 퓨처 베이스 또한 트랜스에서 하우스로 유행하는 장르가 계승된 것처럼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장르라 명맥이 이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페스티벌 문화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이상, 사람들이 가장 많이 즐길 페스티벌의 황금 타임인 늦은 8시 이후의 라인업엔 항상 프로그래시브 하우스와 빅룸 EDM을 트는 DJ들이 항상 들어가기 때문에 유행에서 밀려났다 해서 음악 자체가 사장될 우려는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deadmau5는 특유의 일렉트로 하우스와 프로그래시브 하우스, 테크노를 모두 폭넓게 다루는 비범한 프로듀싱 재능으로 자신만의 음악을 하는 중이고 Eric Prydz도 희대의 명곡 Opus를 발매하며 본연의 대곡 지향적인 프로그래시브의 명맥을 잇고 있다. 때문에 최초의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정의의 음악, 그리고 세대와 대중화를 통해 변화한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음악까지 어느 것 하나 사장되지 않고 모두 고루 발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도 범용성과 무궁무진한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장르라고 볼 수 있다.

5.1. 문서가 있는 아티스트


[1] 관짝 댄스로 잘 알려져 있다. [2] 위 투게더는 순정 EDM 프로그레시브, 아래 투게더는 빅룸이 좀 묻은 곡이다. [3] 악기를 쌓아가는 고전적인 방식이기도 하나 사운드는 요즘 edm식이다. [4] 일반적인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곡보다 비교적 느린 템포 때문에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인 줄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5] Faded에 비해 좀 더 확실하게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색채를 띠는 곡. [6] EDM 방식과 초창기 방식의 중간으로, 빅룸과 합친 형태이다. 1:15부터 드롭인데 이것도 빌드업이 초창기 형태라 드롭이 딱 명확하진 않다. 즉 고전적 방식과 현대의 방식을 합친 것으로 보인다. [7] 프로그레시브 하우스가 트랜스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곡. 클라이맥스 또한 현대 edm 프로그 하우스의 드롭과 거의 유사하다. [8] 이 경우는 Chill Progressive House라 해서 잔잔하고 몽환적인 계열의 deadmau5식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이다. 이건 후술할 고전적 트랜스식 방식인데, 이것도 2절부터는 강렬하진 않지만 어느정도 EDM식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처럼 바뀐다. 두 스타일을 합친 거라고 보면 될 듯. [9] 트랜스 방식이나 역시 드롭은 EDM 식이다. [10] 3번 문단 참조. [11] 인트로-브릿지-빌드업-드랍-빌드다운-브릿지-빌드업-드랍-빌드다운-아웃트로 [12] 또는 프로그레시브 댄스 뮤직. [13] I remember같은 경우 아예 Ultra Music에서 딥 하우스라고 써놨다. [14] 일례로, Alan Walker의 Faded는 원곡인 Fade와 달리 1절 빌드업이 잘려 있다. 빌드업을 중시한다면 있을 수 없는 구조이다. 상당수의 멜로딕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주 멜로디가 재생되면서 점점 높아지는 음정을 넣어 빌드업을 하는 다른 장르에서도 흔하게 보이는 간단한 구조이다. 물론 악기를 조금씩 쌓아가는 고전적인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니 결국은 프로듀서 마음대로이다. [15] 빅룸을 유행시킨 장본인 마틴 개릭스가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로 넘어오면서 만들어낸 빅룸이 조금 묻은 그의 스타일이 현재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주류 스타일 중 하나이다. [16] 또는 아예 고전적 트랜스 형태만 프로그레시브라 부르고, 이건 일렉트로 하우스라고 뭉뚱그려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17] 이 샘플은 Dynoro와 Gigi D'Agostino가 사용한 뒤 자주 리믹스 된다. [18] 빅룸과 합쳐진 곡이다. [19] Kaskade의 서정적인 멜로디가 매력적인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악기를 차근차근 쌓아가는 고전적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스타일이기도 하다. [20] 2010년대 초반 프로그레시브 붐을 일으켰던 Avicii의 히트곡 Levels [21] 꽉찬 사운드, 중간중간 들려오는 전형적인 다프트 펑크식 프렌치 하우스 스타일의 파트가 압권인 곡. 하지만 대부분의 2010년도 하우스 음악들이 그렇듯이 전형적인 매드무비 음악 방식의 전개를 가지고 있다. [22] 보컬이 들어간 곡 [23] 딥 하우스/퓨처 하우스와 섞이기도 한다. [24] Lost Kings의 최근 경향인 팝 형태의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25]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에 랩을 한 곡인데 사실 다양한 장르를 다 합친 곡이다. [26] 다만 Chord Progression(화성 전개)에서 어원을 가지기 때문에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라는 설도 있다. [27] 이러한 일렉트로하우스,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유행 때문에 당시 가장 주류이자 뜨거웠던 트랜스 장르 음악은 급속도로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고 당시 트랜스 디제이의 3대장 중 한명이었던 티에스토 또한 하우스 음악 프로듀서로 전향하게 된다. [28] 사실 이 트랙의 문법 또한 에릭 프리즈의 기법을 이용해 완성한 곡이다. 자세한 사항은 에릭 프리즈 항목 참조. [29] 다만 이게 워낙에 멜로딕한 구성을 다 빼버리고 비트의 공간감만 강조한 음악이었다 보니 한동안 이게 새로운 장르인지, 단순한 유행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