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5:15:26

평택시 병

평택병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평택시/정치
,
,
,
,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수원 갑 수원 을 수원 병 수원 정
김승원 백혜련 김영진 김준혁
수원 무
염태영 김태년 이수진 안철수
김은혜 박지혜 이재강 강득구
부천 갑 부천 을
민병덕 이재정 서영석 김기표
부천 병 광명 갑 광명 을 평택 갑
이건태 임오경 김남희 홍기원
평택 을 평택 병
이병진 김현정 정성호 김성원
고양 갑
양문석 김현 박해철 김성회
고양 을 고양 병 고양 정
한준호 이기헌 김영환 이소영
구리
윤호중 최민희 김병주 김용민
오산 시흥 갑 시흥 을 군포
차지호 문정복 조정식 이학영
하남 갑 하남 을 용인 갑 용인 을
추미애 김용만 이상식 손명수
용인 병 용인 정 파주 갑 파주 을
부승찬 이언주 윤후덕 박정
이천 안성 김포 갑 김포 을
송석준 윤종군 김주영 박상혁
화성 갑 화성 을 화성 병 화성 정
송옥주 이준석 권칠승 전용기
광주 갑 광주 을
소병훈 안태준 김용태 김선교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평택시 병
비전동, 용이동, 동삭동 등
平澤市 丙
Pyeongtaek C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평택시 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71,693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평택시 일부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용이동, 동삭동
신설년도 2024년
이전 선거구 평택시 갑, 평택시 을
국회의원
김현정

1. 개요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

[clearfix]

1. 개요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신설된 지역구.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김현정 의원이다.

평택시의 지속적인 재개발 및 고덕국제신도시 입주에 따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평택시 의석이 3석으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기존 평택시 갑 선거구에서 동삭동[1], 비전1동을, 평택시 을 선거구에서 원평동, 신평동, 용이동, 비전2동을 넘겨받아 신설되었다. 이에 따라 팽성읍과 세교동, 통복동을 제외한 평택권 전 지역을 병 선거구가 관할하게 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

2.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병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용이동, 동삭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현정(金鉉正) 55,794 1위

52.76% 당선[2]
2 유의동(兪義東) 45,977 2위


43.48% 낙선
6 전용태(全鎔兌) 3,968 3위

3.75% 낙선
선거인 수 171,693 투표율
62.20%
투표 수 106,796
무효표 수 1,057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 22대 총선 경기 평택시 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현정 유의동
득표수
(득표율)
55,794
(52.76%)
45,977
(43.48%)
+9,817
(△9.28)
106,796
(62.20%)
신평동 43.98% 53.20% ▼9.22 52.38
원평동 47.35% 49.55% ▼2.20 55.98
비전1동 53.77% 42.18% △11.59 60.05
비전2동 50.76% 45.77% △4.99 62.48
용이동 56.64% 39.71% △16.93 61.95
동삭동 55.33% 39.75% △15.58 57.02
후보 김현정 유의동 격차
거소·선상투표 46.10% 46.70% ▼0.50[3]
관외사전투표 56.98% 39.64% △17.34
재외투표 67.25% 30.13% △37.12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colbgcolor=#eee,#353535> 후보 김현정 유의동 격차
전체 57.3% 39.1% 18.2%p
국민의힘에서는 舊 평택시 을 현역이었던 유의동 의원을 신설 병 선거구로 옮겨 단수 공천했다. 개발이 덜 된 읍면 지역, 특히 유의동 의원의 고향인 팽성읍이 을 선거구에 남았지만 말이다.[4]

더불어민주당에서도 김현정 舊 평택시 을 지역위원장이 병 선거구로 옮겨 출마하면서, 21대 총선 평택시 을의 리턴매치가 성사되었다.

우리공화당 최민선 홍보실장이 평택시 을 예비후보 등록을 한 이후 평택시 병 선거구 신설로 인한 지역구 변경 신고를 마치고 이곳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비례대표 출마로 선회했다.

개혁신당 유지훈 후보도 출마 선언을 했지만 후보 등록은 하지 않았다. #

3월 25일 중앙선관위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경기일보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택병 출마 후보자들의 가상대결에서 김현정 후보 44.0%, 현역 국회의원인 유의동 후보 41.6%로, 두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초접전을 벌였다. #

개표 결과 김현정 전 지역위원장이 여유있게 승리하면서 4년 전의 패배를 설욕했다. 유의동 의원은 불리한 구도에서도 선전하였으나 지난 총선에서 승리하였던 비전2동에서도 패하고, 신평동과 원평동에서의 표차도 줄어들어 새로 들어온 동삭동과 비전1동의 표차를 도저히 극복할 수가 없었다.

국민의힘은 상대적으로 험지에 지역기반이 탄탄한 유의동 의원을 공천함으로써 2석 이상을 노려보려 한 것으로 보이나, 을 선거구와 병 선거구에서 모두 큰 표차로 패배하면서 본전도 못 건지고 말았다.[5]

[1] 2021년 비전1동에서 분동되었기 때문에 종전 공직선거법에는 표기되지 않았었다. [2]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단일 후보 [3] 1표 차이였다. [4] 실 거주지는 병 지역 내에 있는 게 맞다. [5] 이런 공천은 안정적인 1승 대신 아슬아슬한 2승을 노리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는데, 안정적인 승리를 포기한다는 점에서 2승은 커녕 2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애초에 판세가 불리하던 국민의힘이 이런 전략을 시도했다는 게 사실상 무리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차라리 을에 유의동, 병에 공재광을 공천했다면 이런 결과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더불어민주당도 인천에서 비슷한 공천을 했는데, 갑에 김교흥 의원을, 을에 이용우 변호사를 전략공천했다. 두 지역 모두 넉넉하게 이기면서 국민의힘과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