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3:54:46

퍼옥시좀


세포 소기관
Organell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공통 세포핵 · 미토콘드리아 · 소포체 · 골지체 · 리보솜 · 세포막 · 퍼옥시좀 · 세포골격
동물 세포 중심체 · 리소좀
식물 세포 세포벽 · 액포 · 엽록체 }}}}}}}}}


1. 개요

1. 개요

Peroxisomes

퍼옥시좀은 물리적으로 리소좀과 비슷하지만 두 가지 면에서 다르다. 첫번째로 퍼옥시좀은 골지체로부터 생성되기 보다는, 자기 복제(Self-replication)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두번째로 퍼옥시좀은 가수분해효소가 아닌 산화효소(Oxidase)를 포함하고 있다. 산화효소는 세포 내 물질에서 떨어져 나온 수소를 산소와 결합시켜 과산화수소를 형성한다. 과산화수소는 매우 산화력이 강한 물질로, 퍼옥시좀 내의 또 다른 산화효소인 과산화수소분해효소(Catalase)와 연계하여, 세포에 해로운 물질들을 산화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인간이 마시는 알코올의 절반 정도는 간에 있는 퍼옥시좀의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해독된다.

퍼옥시좀의 또 하나의 역할은 지방산 분해이다. 주로 탄소 개수가 20개가 넘는 지방산을 분해하는데 관여하는데, 에너지 수율은 약간 떨어진다.[2]

그 외에 식물에서는 광호흡을 담당하는 세포 소기관 중 하나이기도 한데, 도중에 발생하는 과산화수소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
, 2.1.1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혹은 매끈면소포체로부터 떨어져 나올 수도 있다고 함. [2] 이는 퍼옥시좀이 지방산 분해에서 나온 FADH2를 자기 과산화수소 만드는데 가져가버리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