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21:21:29

카게야마 카즈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5년~
초대
다카스
파일:일본 국기.svg
(1938~1939)
2대
미타니
파일:일본 국기.svg
(1939)
3대
다카스
파일:일본 국기.svg
(1940)
4대
미타니
파일:일본 국기.svg
(1941~1942)
5대
가토
파일:일본 국기.svg
(1942)
6대
다카다
파일:일본 국기.svg
(1943)
7대
가토
파일:일본 국기.svg
(1943~1944)
8대
츠루오카
파일:일본 국기.svg
(1946~1965)
9대
카게야마
파일:일본 국기.svg
(1965)
10대
츠루오카
파일:일본 국기.svg
(1966~1968)
11대
이이다
파일:일본 국기.svg
(1969)
12대
노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1970~1977)
13대
히로세
파일:일본 국기.svg
(1978~1980)
14대
블레이싱게임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2)
15대
아나부키
파일:일본 국기.svg
(1983~1985)
16대
스기우라
파일:일본 국기.svg
(1986~1989)
17대
타부치
파일:일본 국기.svg
(1990~1992)
18대
네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93~1994)
19대
오 사다하루
파일:대만 국기.svg
(1995~2008)
20대
아키야마
파일:일본 국기.svg
(2009~2014)
21대
쿠도
파일:일본 국기.svg
(2015~2021)
22대
후지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2022~2023)
23대
고쿠보
파일:일본 국기.svg
(2024~)
}}}}}}}}}}}}}}} ||


파일:external/x57img.peps.jp/44.jpg

蔭山和夫( 1927년 1월 16일 ~ 1965년 11월 17일)

일본프로야구 선수, 지도자.

오사카 시 출신으로, 이치오카 중학- 와세다대학을 졸업했다. 대학 시절 주장으로 팀을 이끌기도 했다.

1950년 난카이 호크스에 입단, 이듬해 타율 0.315, 42도루, 3루타 13개로 맹활약하며 퍼시픽리그 신인왕을 수상하였다.[1] 3루수로서 나무랄 데 없는 출중한 수비[2]를 보여주었고, 슬러거는 아니었지만 1950~1953년 3년 연속 3루타 1위를 기록할 정도로 빠른 발과 날카로운 타격을 자랑했다.

10시즌간 881안타, 53홈런, 302타점, 214도루, 타율 0.264라는 통산 성적을 남겼다.

현역에서 은퇴한 이듬해인 1960년 시즌부터 난카이의 수석 코치로 츠루오카 카즈토 감독을 보좌하였고, 1962년 성적 부진으로 일시 퇴진한 츠루오카 감독을 대행하여 팀을 이끌며 그해 난카이가 시즌 2위를 마크하는 데 공을 세웠다. 야구계에서는 카게야마를 뛰어난 이론가로 추켜세울 정도로 능력있는 인물이었다.

정작 카게야마의 이름이 유명해지게 된 것은 1965년 시즌 후 츠루오카의 후임으로 난카이 감독에 취임한 이후였다. 수석 코치로의 능력은 이미 충분히 검증되었지만 불과 38세라는 젊은 나이로 감독이란 중책을 맡은 카게야마는 전임 츠루오카가 오랜 기간동안 세워 놓은 공든 탑을 수성해야 한다는 중압감 때문에 말로 표현 못할 스트레스로 고생하고 있었고, 노이로제로 인한 불면증에 시달리며 매일 밤 브랜디 수면제에 의지하여 억지로 잠을 청할 정도였다.

결국 감독 취임 4일만인 1965년 11월 17일, 여느 때와 같이 브랜디를 곁들여 수면제를 복용하고 잠자리에 든 카게야마의 상태가 이상하다는 것을 눈치챈 그의 어머니가 황급히 119에 신고하였고 카게야마는 구급대에 의해 부랴부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소생하지 못한 채 숨을 거두고 말았다.[3] 사인은 급성 부신피질 기능부전 이란 일반인에게는 생소하기 그지없는 질병이었다.

츠루오카 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이 카게야마를 감독으로 새출발한 난카이는 카게야마의 죽음으로 단번에 분위기가 개판 5분전이 되었고, 도쿄 오리온즈, 산케이 아톰즈와 이적 협상을 벌이고 있던 츠루오카는 비보를 맞이한 친정팀 난카이의 사정을 모른 척 하지 못하고 다시 난카이 감독으로 복귀하며 분위기는 일단 수습이 되었다. 츠루오카는 이후 1968년 까지 3시즌을 추가로 난카이의 감독직을 수행하였다. 한편으로 츠루오카는 카게야마의 빈소를 찾아 조의를 표하고 "내가 카게야마를 죽인 것 같다" 면서 비통해 했다고 한다.[4]

덧붙여 카게야마의 감독 재임기간 4일은 역대 일본 프로야구 최단기록으로 남아있다(...).


[1] 일본 프로야구의 신인왕은 1950년 신설되었는데, 1951년 신인왕은 1950년 입단 선수까지 포함하여 선정하였다. 1951년 센트럴리그 신인왕도 카게야마와 같은 2년차였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마츠다 키요시였다. [2] 1루수 이이다 토쿠지, 유격수 키즈카 타다스케, 3루수 카게야마 카즈오의 내야진은 모두 빼어난 수비력을 보여 '백만 달러의 내야진'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3] 병원으로 이송될 때 카게야마는 어머니에게 " 노무라에게 할 말이 있다" 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4] 덧붙이자면 츠루오카는 난카이로 돌아오기 전 도쿄와 산케이 중 어느 팀으로 가려 했는지 침묵을 지켰지만, 1985년 도쿄의 구단주를 지낸 나가타 마사이치가 별세했을 때 "(나가타)그 분에게 신세를 지려 했다"면서 도쿄와 계약 의사가 있었음을 넌지시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