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8-02 23:58:42

충적토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토양
성숙토 성대토양 라테라이트 | 적색토 | 사막토 | 흑색토 | 밤색토 | 갈색토 | 포드졸 | 툰드라토
간대토양 테라로사 | 화산회토 | 레구르 | 이탄토 | 글레이토
미성숙토 충적토 | 염류토 | 암설토
틀:흙

운적토의 한 종류로, 하천 홍수 연안이 범람하여, 상류에서 운반해 온 토사가 퇴적되면서 생성된다. 삼각지 또는 선상지와 같이 하천이 운반해서 생긴 충적토를 하적토라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하천이나 강을 따라 하성평탄지, 하상지, 곡간지 및 선상지 등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때로는 산악과 인접한 작은 규모의 계곡에서도 국부적으로 분포된다. 충적토는 선상지(충적선상지), 하천변 또는 강변에 분포되고 있는 토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선상지 토양은 하천변 토양에 비해 운반거리가 짧고 비교적 경사도 높아 급류에 의해 퇴적되기 때문에 각력, 점토 및 미사가 혼재된 토양이 생성되는 반면, 강변 토양은 완류에 의해 운반 및 퇴적되고 운반거리도 매우 길어 세사 및 미사 함량이 많은 토양이 생성된다. 충적토는 자갈, 모래, 진흙, 점토 등으로 구성되며, 유기물질을 포함하기도 한다. 충적 평야를 형성하며, 비옥하기 때문에 농경지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