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20 02:53:27

제1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1. 개요2. 본선3. 24강전4. 16강전5. 8강전6. 준결승7. 결승8. 이야깃거리

1. 개요

2022~23년에 열리는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2. 본선

3. 24강전

대진 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쉭신 192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파일:중국 국기.svg 스웨 177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186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22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파일:일본 국기.svg 사다 아쓰시 12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22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파일:캐나다 국기.svg 라이언 리 20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친청 파일:일본 국기.svg 세키 고타로 110수 백 불계승

4. 16강전

대진 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국 국기.svg 리친청 191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 321수 흑 1집반승[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21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 파일:일본 국기.svg 사다 아쓰시 18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23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17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227수 흑 불계승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홍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136수 백 불계승
바둑TV가 박정환 대국을 중계하는 과정에서 중국룰 대회인데 그래프세팅을 한국룰 로 해놓는[3] 치명타가 드러났다. 이 때문에 그래프상으로는 박정환 선수가 우세한 상황에서 정작 당사자가 괴로워하는 과정이 이어졌었다.[4][5]

5. 8강전

대진 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181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 220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 288수 백 반집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176수 백 불계승

9개월만에 속개된 8강 대국에서 신진서는 중반에 상변과 중앙에서 우세를 잡은 끝에 커제를 상대로 완승을 거두며 4강에 진출했으며, 변상일은 리웨이칭을 상대로 막판 끝내기에서 역전에 성공한 끝에 짜릿한 반집승을 거두고 준결승에 진출했다.[6] 신민준은 중앙전투에서 탕웨이싱에게 흐름을 내주며 아쉽게 패했다. 리쉬안하오와 양딩신의 중중전은 리쉬안하오가 우세한 국면을 유지한 끝에 양딩신에게 승리하면서 준결승전은 한국 2명, 중국 2명의 구도로 진행하게 됐다.

6. 준결승

대진 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170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 262수 백 불계승

7. 결승

제1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 3번기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九단 0 :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九단
대국
흑번
백번
중계
1국
7/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바둑TV
이유민, 송태곤
K바둑
장혜연, 안형준
219수 흑 불계승
2국
7/19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12수 백 불계승
3국
7/20
2:0 종료로 해당 사항 없음
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九단 (춘란배 첫 우승, 생애 첫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제14회 춘란배 결승은 중국의 리쉬안하오 九단과 한국의 변상일 九단이 맞대결을 펼치게 됐다. 두 기사 모두 결승 진출 확정 당시에는 자국내 랭킹 2위의 기사였다. 변상일은 2022년 좋은 성적을 보여주며 10월에 박정환을 제치고 랭킹 2위로 올라섰었고[7], 리쉬안하오는 2022년 향상된 기량을 보여주며 3월달에 16위였던 중국 랭킹을 1위까지 올라가 커제의 아성을 위협했었다. 두 기사 모두 메이저 세계대회 첫 우승에 도전하는 3번기이다. 결승은 중국 충칭에서 대면대국으로 열린다.

1국에서는 변상일이 중국룰(덤 7집반) 흑번이라는 부담감을 딛고 리쉬안하오에게 선승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바둑은 미세한 승부가 되어 끝내기 과정으로 이어졌는데 리쉬안하오가 중앙에서 끝내기 실수를 하면서 바둑이 변상일 쪽으로 기울어졌다. 변상일은 중반에 승기를 잡을 기회를 잡았으나 추위를 타는 수를 두면서 한때 밀렸던 순간도 있었으나 냉정한 모습을 보였고, 이후 끝내기 과정에서 정확한 수순을 밟으며 승기를 잡을 수 있었다. 이후 집차는 인공지능 상으로 3집여차이로 벌어지자 패색이 짙어진 리쉬안하오가 돌을 거두며 변상일이 선취점을 따냈다.

2국도 1국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승부로 접어들었다. 그리고 팽팽한 반집 승부에서 이어진 끝내기에서 역시 1국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끝내기 수순을 밟은 변상일이 승기를 잡아가고 있었다. 이 때 리쉬안하오가 패색이 짙어지자 무리한 수를 두면서 집차가 더 벌어졌고, 변상일은 수읽기를 통해 중앙 흑돌들을 잡아내면서 항복을 받아냈다. 변상일은 1,2국 모두 후반에서 침착한 모습을 보여주며 좋은 내용으로 리쉬안하오에게 승리를 거두면서 마침내 생애 첫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을 달성해냈다. 또한 박정환(12회), 신진서(13회)에 이어 변상일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대한민국은 춘란배 3연속 우승을 달성하게 되었다.

8. 이야깃거리


[1] 세계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시드를 부여받았다. 박정환은 26회 삼성화재배, 신민준은 제25회 LG배 우승자 자격으로 시드를 받았다. [2] 중국룰로는 흑 3/4자 승이다. [3] 중국룰에서는 최종 계가 때 공배는 집이 된다. 그러나 한국 룰에서는 그런 규칙이 없다. [4] 박정환은 세계대회 경험이 매우 풍부해서 중국룰을 잘 알고 있었다. [5] K바둑 카타고에서도 이 상황에서 백 그래프가 우세로 나왔는데 중계를 맡았던 안형준 해설은 "그래프는 이겼다고 해도 (바둑은) 졌어요."고 말하며 중국룰 상황에서 반패에 대한 언급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바둑TV 해설진의 경우는 그게 아니었던지 나중에서야, 뒤늦은 깨달음으로 인한 Aㅏ를 내뱉고 말았다. [6] 변상일은 이 승리로 리웨이칭 상대로 상대전적 통산 첫 승을 챙겼다. [7] 현재는 3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