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제1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종로·중 | 마포· 용산 | 성동 | 동대문 |
이종찬 |
노승환 봉두완 |
이세기 박용만 |
송원영 권영우 |
|
성북 | 도봉 | 서대문·은평 | 강서 | |
이철 김정례 |
조순형 홍성우 |
김재광 윤길중 |
김영배 남재희 |
|
구로 | 영등포 | 동작 | 관악 | |
조연하 김기배 |
박한상 이찬혁 |
박실 허청일 |
김수한 |
|
강남 | 강동 | |||
김형래 이중재 |
김동규 정남 |
|||
서울 관악
임철순 의원직 사퇴 (1987.7.19.) 서울 종로·중 이민우 의원직 사퇴 (1987.11.7.) |
||||
◀
제11대
제13대 ▶
|
}}} }}}}}} |
1. 개요
본 항목은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의 서울특별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2. 결과
2.1. 종로구·중구
종로구·중구
종로구 일원, 서울 중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종우(權鍾佑) | 1,236 | 6위 |
|
0.50% | 낙선 | |
2 | 정대철(鄭大哲) | 70,859 | 3위 |
[[민주한국당| |
27.10% | 낙선 | |
3 | 한상필(韓相弼) | 1,763 | 5위 |
[include(틀:민권당)] | 0.67% | 낙선 | |
4 | 이종찬(李鍾贊) | 84,258 | 1위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 32.23% | 당선 | |
5 | 이상윤(李相允) | 1,440 | 7위 |
|
0.55% | 낙선 | |
6 | 이민우(李敏雨) | 82,687 | 2위 |
[include(틀:신한민주당)] | 31.63% | 당선 | |
7 | 오제도(吳制道) | 19,780 | 4위 |
[include(틀:무소속)] | 7.2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18,330 |
투표율 83.21% |
투표 수 | 264,876 | ||
무효표 수 | 3,46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민주한국당| |
|
|
|
정대철 | 이종찬 | 이민우 | |
결과 | 27.10% | 32.23%(당선) | 31.63%(당선) |
종로구 | 26.55% | 31.82%(2위) | 32.71%(1위) |
중구 | 27.83% | 32.76%(1위) | 30.19%(2위) |
말이 필요 없는 2.12 총선 최대의 이변지.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2.2. 마포구· 용산구
마포구·용산구
마포구 일원, 용산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노승환(盧承煥) | 207,778 | 1위 |
|
52.41% | 당선 | |
2 | 김재영(金在暎) | 66,587 | 3위 |
[[민주한국당| |
16.79% | 낙선 | |
3 | 봉두완(奉斗玩) | 109,226 | 2위 |
|
27.55% | 당선 | |
4 | 고명관(高明觀) | 8,126 | 4위 |
[[한국국민당(1981년)|]] |
2.04% | 낙선 | |
5 | 박대성(朴大成) | 4,708 | 5위 |
|
1.1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97,547 |
투표율 80.75% |
투표 수 | 401,763 | ||
무효표 수 | 5,338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민주한국당| |
|
|
노승환 | 김재영 | 봉두완 | |
결과 | 52.41%(당선) | 16.49% | 27.55%(당선) |
마포구 | 54.46%(1위) | 14.51% | 27.87%(2위) |
용산구 | 49.45%(1위) | 20.08% | 27.09%(2위) |
84년 11월 3차 해금으로 복권된 노승환 후보가 자신의 지역기반인 마포구는 물론, 당시 두 현역 의원인 봉두완, 김재영 후보의 기반인 용산구에서도 과반에 가까운 득표율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2.3. 성동구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용만(朴容萬) | 94,488 | 2위 |
|
26.18% | 당선 | |
2 | 이세기(李世基) | 103,205 | 1위 |
|
28.60% | 당선 | |
3 | 전대수(全大洙) | 7,771 | 5위 |
|
2.15% | 낙선 | |
4 | 조세형(趙世衡) | 88,204 | 3위 |
[[민주한국당| |
24.44% | 낙선 | |
5 | 김도현(金道鉉) | 67,14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6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59,544 |
투표율 79.66% |
투표 수 | 366,061 | ||
무효표 수 | 5,251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민주한국당| |
무소속 | |
박용만 | 이세기 | 조세형 | 김도현 | |
결과 | 26.18%(당선) | 28.60%(당선) | 24.44% | 18.60% |
성동구 갑[2] | 23.83% | 32.19%(1위) | 24.40%(2위) | 17.51% |
성동구 을[3] | 27.98%(1위) | 25.86%(2위) | 24.47% | 19.44% |
종로∙중구와 함께 서울에서 민정당 후보가 1위로 당선된 유이한 지역구. 11대 총선에서 민한당 공천을 받았던 김도현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야권표가 세 갈래로 분산되었다.
2.4. 동대문구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원영(宋元英) | 226,678 | 1위 |
|
48.85% | 당선 | |
2 | 김태환(金太煥) | 25,329 | 4위 |
[[한국국민당(1981년)|]] |
5.45% | 낙선 | |
3 | 김덕규(金德圭) | 54,224 | 3위 |
[[민주한국당| |
11.68% | 낙선 | |
4 | 강병진(姜秉珍) | 13,242 | 5위 |
|
2.85% | 낙선 | |
5 | 권영우(權寧禹) | 137,970 | 2위 |
|
29.73% | 당선 | |
6 | 고기효(高紀孝) | 6,519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76,315 |
투표율 81.63% |
투표 수 | 470,447 | ||
무효표 수 | 6,48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민주한국당| |
|
|
송원영 | 김덕규 | 권영우 | |
결과 | 48.85%(당선) | 11.68% | 29.73%(당선) |
동대문구 갑[5] | 48.69%(1위) | 11.75% | 30.70%(2위) |
동대문구 을[6] | 49.06%(1위) | 11.59% | 28.45%(2위) |
2.5. 성북구
성북구
성북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병남(金炳楠) | 3,659 | 6위 |
|
1.22% | 낙선 | |
2 | 이철(李哲) | 121,004 | 1위 |
|
40.55% | 당선 | |
3 | 조윤형(趙尹衡) | 79,991 | 3위 |
[[민주한국당| |
26.81% | 낙선 | |
4 | 김유(金裕) | 7,995 | 4위 |
[[한국국민당(1981년)|]] |
2.67% | 낙선 | |
5 | 김정례(金正禮) | 81,014 | 2위 |
|
27.15% | 당선 | |
6 | 임태백(林太伯) | 4,695 | 5위 |
|
1.5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71,316 |
투표율 81.46% |
투표 수 | 302,468 | ||
무효표 수 | 4,110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민주한국당| |
|
|
이철 | 조윤형 | 김정례 | |
결과 | 40.55%(당선) | 26.81% | 27.15%(당선) |
성북구 갑[7] | 38.83%(1위) | 28.18% | 28.31%(2위) |
성북구 을[8] | 42.71%(1위) | 25.08% | 25.69%(2위) |
2.12 총선 최대의 이변 2. 당시 성북구에서 탄탄한 기반을 자랑하던 민주정의당의 김정례, 민주한국당의 조윤형 후보에 신한민주당의 이철 후보가 '돌아온 정치사형수'[9]라는 구호로 맞섰는데, 개표 결과 신민당 바람에 힘 입어 이철 후보가 압도적인 표차로 1위 당선을 기록했고, 김정례-조윤형 두 후보가 다음날까지 시소게임을 벌이다가 김 후보가 불과 1,023표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2위로 당선되었다.
낙선한 조윤형 후보는 이후 민한당 총재로 선출되지만, 5일 만에 소속 의원들이 집단 탈당하면서 본인도 머지않아 신민당행을 선택한다.
2.6. 도봉구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 | 등록무효 |
|
- | ||
2 | 조순형(趙舜衡) | 174,124 | 1위 |
|
42.35% | 당선 | |
3 | 경인호(慶仁浩) | 17,126 | 5위 |
[[한국국민당(1981년)|]] |
4.16% | 낙선 | |
4 | 홍성우(洪性宇) | 99,245 | 2위 |
|
24.14% | 당선 | |
5 | 김태수(金泰洙) | 53,344 | 4위 |
[[민주한국당| |
12.97% | 낙선 | |
6 | 구판홍(具判弘) | 7,038 | 6위 |
|
1.71% | 낙선 | |
7 | 신오철(申五澈) | 58,52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23% | 낙선 | |
8 | 이수춘(李守春) | 1,675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4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12,069 |
투표율 82.47% |
투표 수 | 422,293 | ||
무효표 수 | 11,214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민주한국당| |
무소속 | |
조순형 | 홍성우 | 김태수 | 신오철 | |
결과 | 42.35%(당선) | 24.14%(당선) | 12.97% | 14.23% |
도봉구 갑[11] | 45.58%(1위) | 22.86%(2위) | 12.80% | 12.31% |
도봉구 을[12] | 38.01%(1위) | 25.86%(2위) | 13.20% | 16.83% |
11대 총선에서 성북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던 조순형 의원이 형 조윤형 후보의 출마에 따라 지역구를 옮겨 1위로 당선되었다. 한편 신정사회당 후보로 출마한 전대열 후보가 선거 이틀 전 자신이 받았던 형의 효력이 상실되지 않아 뒤늦게 등록무효 처리되었고, 그 바람에 서울 14개 지역구 중 무효표가 유독 많이 나오게 되었다.
2.7. 서대문구· 은평구
서대문구·은평구
서대문구 일원, 은평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길중(尹吉重) | 119,480 | 2위 |
|
28.22% | 당선 | |
2 | 김재광(金在光) | 205,370 | 1위 |
|
48.51% | 당선 | |
3 | 김명주(金明珠) | 4,626 | 6위 |
|
1.09% | 낙선 | |
4 | 이용만(李鎔萬) | 5,226 | 5위 |
|
1.23% | 낙선 | |
5 | 손세일(孫世一) | 80,400 | 3위 |
[[민주한국당| |
18.99% | 낙선 | |
6 | 이춘우(李春雨) | 8,173 | 4위 |
[[한국국민당(1981년)|]] |
1.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30,570 |
투표율 80.84% |
투표 수 | 428,908 | ||
무효표 수 | 5,633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민주한국당| |
|
윤길중 | 김재광 | 손세일 | |
결과 | 28.22%(당선) | 48.51%(당선) | 18.99% |
서대문구 | 30.67%(2위) | 47.75%(1위) | 17.11% |
은평구 | 25.72%(2위) | 49.29%(1위) | 20.91% |
2.8. 강서구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고병현(高炳鉉) | 55,834 | 3위 |
[[민주한국당| |
16.86% | 낙선 | |
2 | 남재희(南載熙) | 75,132 | 2위 |
|
22.69% | 당선 | |
3 | 이경표(李敬表) | 9,996 | 5위 |
|
3.01% | 낙선 | |
4 | 최후집(崔厚集) | 16,871 | 4위 |
[[한국국민당(1981년)|]] |
5.09% | 낙선 | |
5 | 김영배(金令培) | 166,973 | 1위 |
|
50.44% | 당선 | |
6 | 우철남(禹鐵男) | 6,220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18,205 |
투표율 80.26% |
투표 수 | 335,639 | ||
무효표 수 | 4,613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당초 민정당 측은 남재희 의원의 개인적 인물론과 강서구가 서울시에서 개발이 덜된[14] 지역임을 감안해 무난한 승리를 예상했지만, 막상 개표가 시작되니 예상보다 큰 격차로 밀리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는 후일담이 있다.[15]
2.9. 구로구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연하(趙淵夏) | 127,225 | 1위 |
|
38.83% | 당선 | |
2 | 김기배(金杞培) | 96,690 | 2위 |
|
29.51% | 당선 | |
3 | 권대복(權大福) | 29,977 | 4위 |
|
9.15% | 낙선 | |
4 | 김병오(金炳午)[17] | 73,702 | 3위 |
[[민주한국당| |
22.4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06,269 |
투표율 81.73% |
투표 수 | 332,044 | ||
무효표 수 | 4,450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민주한국당| |
|
조연하 | 김기배 | 김병오 | |
결과 | 38.83%(당선) | 29.51%(당선) | 22.49% |
구로구 갑[18] | 37.50%(1위) | 31.54%(2위) | 23.14% |
구로구 을[19] | 40.26%(1위) | 27.33%(2위) | 21.80% |
2.10. 영등포구
영등포구
영등포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찬혁(李贊赫) | 53,485 | 2위 |
|
23.90% | 당선 | |
2 | 박한상(朴漢相) | 82,335 | 1위 |
|
36.79% | 당선 | |
3 | 윤선일(尹善一) | 13,031 | 5위 |
[[한국국민당(1981년)|]] |
5.82% | 낙선 | |
4 | 김수일(金秀一) | 17,965 | 4위 |
|
8.02% | 낙선 | |
5 | 이원범(李元範) | 45,161 | 3위 |
[[민주한국당| |
20.18% | 낙선 | |
6 | 백철(白喆) | 11,782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2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77,625 |
투표율 81.67% |
투표 수 | 226,733 | ||
무효표 수 | 2,974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2.11. 동작구
동작구
동작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실(朴實) | 89,665 | 1위 |
|
42.42% | 당선 | |
2 | 허청일(許淸一) | 71,882 | 2위 |
|
34.01% | 당선 | |
3 | 정영섭(鄭榮涉) | 3,242 | 5위 |
[[한국국민당(1981년)|]] |
1.53% | 낙선 | |
4 | 서청원(徐淸源) | 41,623 | 3위 |
[[민주한국당| |
19.69% | 낙선 | |
5 | 정정대(鄭政代) | 4,918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58,011 |
투표율 83.01% |
투표 수 | 214,181 | ||
무효표 수 | 2,851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이 선거구에서도 신한민주당 박실 후보가 1위로 당선되었으나, 선거 운동기간 중 민정당 허청일 후보가 합동연설회에서 대학생에게 암모니아 테러를 당하는 일이 있었고, 그로 인한 동정표인지 서울의 민정당 후보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당선되었다.
2.12. 관악구
관악구
관악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철순(任哲淳) | 81,371 | 2위 |
|
29.34% | 당선 | |
2 | 한광옥(韓光玉) | 64,475 | 3위 |
[[민주한국당| |
23.25% | 낙선 | |
3 | 이영희(李英姬) | 12,249 | 4위 |
[[한국국민당(1981년)|]] |
4.41% | 낙선 | |
4 | 김수한(金守漢) | 119,158 | 1위 |
|
42.97%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344,165 |
투표율 81.61% |
투표 수 | 280,866 | ||
무효표 수 | 3,613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2.13. 강남구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형래(金炯來) | 131,559 | 1위 |
|
35.80% | 당선 | |
2 | 이태섭(李台燮) | 90,287 | 3위 |
|
24.57% | 낙선 | |
3 | 이중재(李重載) | 109,218 | 2위 |
[[민주한국당| |
29.72% | 당선 | |
4 | 고정훈(高貞勳) | 36,404 | 4위 |
|
9.9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60,307 |
투표율 80.67% |
투표 수 | 371,324 | ||
무효표 수 | 3,856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2.12 총선 최대의 이변 3. 무려 현직 장관이었던 여당 후보가 민한당 후보에도 밀려 3위로 낙선했고, 신민-민한 두 민주당계 야당 후보가 나란히 당선되었다. 이때부터 서울 강남은 1990년대 말 보수화되기 전까지 '신 정치1번지'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지난 총선에서 주요 야당의 공천이 배제되는 '정책지구'의 특혜를 누렸던 신정사회당 고정훈 후보는 이번에는 4명 중 최하위로 낙선했다.
2.14. 강동구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동규(金東圭) | 227,598[22] | 1위 |
|
55.56% | 당선 | |
2 | 정남(鄭男) | 99,869 | 2위 |
|
24.38% | 당선 | |
3 | 정정휴(鄭正休) | 11,319 | 4위 |
|
2.76% | 낙선 | |
4 | 정진길(鄭鎭吉) | 70,832 | 3위 |
[[민주한국당| |
17.2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26,140 |
투표율 78.77% |
투표 수 | 414,436 | ||
무효표 수 | 4,818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기업인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한지 2달도 되지 않은 김동규 신한민주당 후보가 전국 최다득표 기록으로 당선되면서 서울 지역 신당 바람의 결정타를 날렸다.
[1]
지금의
성동구,
광진구 일원
[2]
왕십리1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용두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가동, 금호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3]
성수1가동, 성수2가1동, 성수2가2동, 성수2가3동, 화양동, 송정동, 군자동, 능동, 자양1동, 자양2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구의동, 광장동
[4]
지금의
동대문구,
중랑구 일원
[5]
지금의 동대문구 일원
[6]
지금의 중랑구 일원
[7]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길음3동
[8]
돈암1동, 종암1동, 종암2동, 하월곡1동, 하월곡2동, 하월곡3동, 하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석관1동, 석관2동
[9]
1974년 민청학련 사건 당시 사형선고를 받았다가 사면되었다.
[10]
지금의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일원
[11]
미아1동, 미아2동, 미아3동, 미아4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번1동, 번2동, 수유1동, 수유2동, 수유3동, 수유4동, 수유5동, 창1동, 창2동, 창3동, 월계1동, 월계2동
[12]
쌍문1동, 쌍문2동, 쌍문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동,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중계동, 도봉1동, 도봉2동, 방학1동, 방학2동
[13]
지금의
양천구, 강서구 일원
[14]
당시는
목동신시가지아파트 단지와 가양동 지구가 개발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개발된 지역이 화곡동과 신정동, 방화동 등 일부에 불과했다.
[15]
심지어 개표초반에는
남재희 후보가
민주한국당
고병현 후보에 밀려 당선 순위권 밖인 3위로 밀려나는 일도 있었다.
[16]
지금의 구로구,
금천구 일원
[17]
선관위 선거통계시스템에는 낮 오(午) 자가 소 우(牛) 자로 잘못 기입되어 있다.
[18]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고척1동, 고척2동,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오류1동, 오류2동
[19]
가리봉1동, 가리봉2동, 가리봉3동, 독산1동, 독산2동, 독산3동, 독산4동, 시흥1동, 시흥2동, 시흥3동, 시흥4동, 시흥본동
[20]
지금의
서초구, 강남구 일원
[21]
지금의
송파구, 강동구 일원
[22]
12대 총선 지역구 최다득표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