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4 21:09:43

정숙경(성우)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62a59> 파일:MBC 성우극회 로고.png MBC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성우
<colbgcolor=#262a59> 제1기 (1961) <colbgcolor=#ffffff,#191919> 남 김현직†, 맹관영, 이묵원, 정승현, 최응찬
김석옥, 김영옥, 나문희, 백수련, 정소희†, 최선자
제2기 (1965) 김성겸, 변희봉†, 이영달†, 전운†, 최병학, 현길, 홍성민†, 황일청
김유선, 김희숙, 유명옥†, 이수나
제3기 (1968) 김용건, 나성균, 이진성, 신충식, 한규희
김은영, 박소현, 안정현, 우문희, 정희선
제4기 (1970) 강성욱, 김기현, 박영지, 박일†, 윤지하, 이규연†, 한상혁
서영애, 송도영, 최방란, 한영숙
제5기 (1972) 김용식, 김태훈, 박태호, 전국근, 한인수, 심양홍
강미, 이명숙, 전임복, 홍승옥, 최은숙
제6기 (1974) 김명수, 이도련†, 이성, 탁재인
김성란, 김진숙, 양윤선
제7기 (1976) 권혁수, 김관식, 이인성, 이종오, 최상기
기경옥, 김순선, 김윤정, 박인숙†, 최성우
제8기 (1982) 곽대홍, 김기성, 박기량, 신성호, 장영린
박부이, 박영희, 오혜숙, 윤소라, 이미자, 이선주, 홍혜정
제9기 (1983) 김관철, 박영화, 이우신, 이윤연, 이종혁, 황윤걸
김정신, 김혜경, 이선호, 조향이
제10기 (1985) 김강산, 김동현, 김영훈, 손원일, 이승환
정미연, 황미영, 성유진
제11기 (1993) 신경택, 안장혁, 안지환, 양희문, 최원형
배주영, 우정신, 이승현, 정소영, 조예신, 주현영
제12기 (1994) 박조호, 변종필, 안종덕, 윤복성, 이진홍, 전수빈
강수진, 유은숙, 이영란, 임유진
제13기 (1996) 김영선, 김호성†, 엄태국, 이철용, 장성호, 최석필
박소라, 엄현정, 윤성혜, 정남
제14기 (1997) 김기철, 김민성, 김용준, 송준석, 이상범
김아영, 박선영, 오주연, 최수진, 한수림
제15기 (1999. 11.) 고성일, 노계현, 이상훈, 최한, 표영재
김서영, 김지영, 배정민, 이자옥, 채의진
제16기 (2002) 방성준, 이원찬, 정재헌
문남숙, 박신희, 조현정
제17기 (2004) 김두희, 류승곤, 양준건
유상우, 이민하, 한경화
CM 1기 (1973) 정명옥
김순자, 정부용, 최정양, 한순자
CM 2기 (1976) 박기량, 한대수
정숙경, 차영주, 문병례
CM 3기 (1979) 권영운, 신현식
김수희, 김춘방
CM 4기 (1983) 박홍식, 민응식, 김주형
박혜경
CM 5기 (1984)
송은주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KBS · PBC
※ 제명 및 소속을 옮기거나 은퇴 또는 사망한 성우는 취소선으로, 최고령 성우는 굵게,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표시함.
}}}}}}}}} ||

정숙경
Jung Sook-kyun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본명 정현숙
출생 1954년 3월 15일 ([age(1954-03-15)]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속 MBC 성우극회 CM 2기
활동 시기 1976년 ~ 현재

1. 개요2. 출연작
2.1. 애니메이션2.2. 영화2.3. 광고2.4. 라디오 광고2.5. 안내방송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우. MBC 성우극회 CM 공채 2기로 입사했다. 박기량[1], 한대수, 차영주, 문병례와 동기이다.

후배인 전숙경과 이름이 헷갈릴 때도 있다.

과거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진입 안내방송 성우이자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차내 및 진입 안내방송 성우로 한때 유명했고 현재 서울교통공사의 승강장 곡선 및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을 맡고 있는 성우이다.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의 차내 안내방송 성우로도 추정됐으나 정숙경 본인이 아닌 미상인 성우로 밝혀졌다.[2]

2. 출연작

2.1. 애니메이션

2.2. 영화

2.3. 광고

2.4. 라디오 광고

2.5. 안내방송



[1] 현재는 MBC 8기 성우이지만 원래 MBC CM 성우였다. [2] 개통일인 1997년 11월 26일부터 2호선 개통일인 2005년 10월 18일까지 차내 안내방송을 맡았던 성우의 안내방송을 잘 들어보면 정숙경 성우의 톤과는 약간 다르다. 여담으로 본인이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안내방송을 맡았던 것처럼 영문도 맡았다. [3] 다만, 1호선 병점행과 천안행은 조예신이, 4호선 오이도행은 이윤정으로 분담했다. 2005년 10월 27일부터는 소연으로 교체되었다. 2010년 9월 15일까지 3호선과 4호선 일부 구간에서 기존 녹음본을 발췌 사용하였다. [4] 영문도 모두 담당했다. 다만 8호선의 남한산성역과 단대역이 각각 산성역 남한산성입구역으로 개명됐을 땐 부재중인 본인을 대신해서 임시로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국문 성우인 강희선과 영문 성우인 윤재원이 녹음했다. 2000년 8월 1일부터는 국문 조예신과 영문 수잔 맥도날드가, 2008년부터는 개정된 역의 영문 안내방송을 도로시 남이 담당했다. 2012년 3월부터는 국문 은영선과 영문 제니퍼 클라이드가, 2018년 4월부터는 국문은 강희선이 서울교통공사의 전 구간을 담당했다. [5] 단, 2001년 11월부터 추가된 곡선 승강장 발빠짐 주의 경고방송은 이윤정이 담당했으며, 당역 종착 열차 진입 안내방송 역시 2001년 11월부터 이윤정이 담당했다. 여담으로 5호선의 경우, 1995~1996년 개통 당시의 상일동행, 마천행 진입방송 억양과 2001년 11월부터 사용한 진입방송 억양이 다소 차이가 있다. [6] 다만 6호선은 미상인 성우가 맡았고 7호선은 2001년 11월 영어 추가 후 이윤정으로 개정되었다. 2010년 6월 1일부터는 김진희가, 서울교통공사 합병 후 2017년 9월 중순부터는 박형욱이 서울교통공사 전 구간을 담당한다. [7] 구 서울메트로. [8] 구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9]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1~4호선 현대엘리베이터 중후기형, 서윤산업 전기형 설치분), 발빠짐 주의., 안전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 승객이 다 내린 후 타시기 바랍니다., 한 걸음 물러서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