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구분 | 명칭 | |
프로 | 1군 | KBO 리그 | |
2군 | KBO 퓨처스리그 | ||
윈터 리그 | KBO 퓨처스 교육리그 | ||
국제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U-24 대표팀)|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2군 대표팀) | ||
독립 | |||
실업 | 한국실업야구 | ||
아마추어
|
KBO 챌린저스| KBSA 리그|권역별 지역 대회 | ||
여자
|
한국여자야구대회 (챔프리그 | 퓨처리그) |
||
학생 · 유소년
|
대학 | KUSF 대학야구 U-리그 및 왕중왕전| 대학야구선수권| 대통령기| 전국체전 | |
고교 |
고교야구 주말리그 대통령배| 봉황대기| 청룡기| 황금사자기| 신세계 이마트배| 명문고 야구열전| 전국체전 |
||
중학 |
전국소년체육대회|대통령기 중학야구대회|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백호기전국중학야구대회|U-15 전국유소년야구대회 |
||
초교 |
박찬호기 전국초등학교야구대회 외 3개 대회
|
||
리틀야구 주니어부|리틀야구 리틀부 |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폐지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프로 윈터 | 낙동강 교육 리그 | |
독립 | KIBA 드림 리그 | ||
실업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
대학 | 회장기 춘계리그| 회장기 하계리그 | ||
고교 | 야구대제전| 대붕기| 무등기| 화랑대기| 미추홀기 | ||
국제 | 한일 슈퍼게임| 아시아 시리즈| 한일 클럽 챔피언십| 한대 클럽 챔피언십 |
[clearfix]
1. 개요
대한야구협회에서 개최하는 대학 야구 대회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대회.2017년 한국대학야구도 고교야구처럼 주말리그를 도입함에 따라 7월 1일~10일에 한국대학야구연맹회장기 대회와 겸하여 강원도 횡성 베이스볼 테마파크에서 개최했다.
2019년 제74회 대회는 8월 15일부터 27일까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팔마야구장에서 개최했다. 원래 8월 12일부터 24일까지 치를 예정이었으나 한국대학야구연맹에서 회비 미납을 이유로 대회를 무기 연기하는 소동을 빚었고 회비 문제가 잘 해결했는지 예정보다 3일 늦게 시작하게 됐다. 그러나 이로 인해 8월 26일로 예정된 준결승이 신인 2차 지명일과 겹치면서 준결승에 오르는 네 팀의 선수들은 신인 지명 행사장에 초청받거나 지명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게 됐다.
2021년 제76회 대회는 역대 최다인 39팀이 참가했다. 원래는 43팀이 되어야 했으나 선수 숫자가 부족한 한려대, 신규 창단 팀이나 U-리그 두 경기를 남겨 놓고 연속 기권한 구미대가 빠졌고 연세대와 동의대는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및 자가격리를 이유로 기권했다.
2022년 제77회 대회의 경우 8강 2경기 당시 우천으로 인해 유튜브와 네이버로 동시송출하던 중계사(홈그라운드베이스볼 방송팀) 장비들에 마비가 심하게 되면서 대회 기간 안에 고치지 못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중계를 포기하는 일도 벌어졌다. 개최 경기장인 보은스포츠파크 야구장 A구장에 배정된 중계부스가 우천시 그 빗물이 쏟아질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이 내용은 중계사 측이 밝힌 내용을 인용했다.) 그러나 일정이 밀리고 밀리면서 중계가 재개될 수 있었다. 단지 결승전만 중계됐을 뿐(...)
2024년도 대회는 리그전으로 변경되어 구분이 "서머리그"가 되었다.
2. 역대 우승/준우승 구단
회차 | 연도 | 우승 | 준우승 | 최우수선수 | 개최지 |
1 | 1946 | 한양대 | |||
2 | 1947 | 서울대 | |||
3 | 1948 | 성균관대 | |||
4 | 1949 | 서울대 상과대학 | |||
- | 1950~1953 | 중지 | |||
9 | 1954 | 성균관대 | |||
10 | 1955 | 성균관대 | |||
- | 1956~1957 | 중지 | |||
13 | 1958 | 성균관대 | |||
14 | 1959 | 성균관대 | |||
15 | 1960 | 동아대 | |||
16 | 1961 | 연세대 | 성균관대 | ||
17 | 1962 | 성균관대 | 동아대 | ||
18 | 1963 | 성균관대 | |||
19 | 1964 | 연세대 | |||
- | 1965-1975 | 미개최 | |||
31 | 1976 | 한양대 | 고려대 | 장효조 | 동대문야구장 |
32 | 1977 | 한양대 | 고려대 | 이광 | 동대문야구장 |
33 | 1978 | 한양대 | 건국대 | 장효조 | 동대문야구장 |
34 | 1979 | 동아대 | 한양대 | 박용성 | 동대문야구장 |
35 | 1980 | 연세대 | 성균관대 | 손영주 | 동대문야구장 |
36 | 1981 | 동아대 | 중앙대 | 김상훈 | 동대문야구장 |
37 | 1982 | 인하대 | 동국대 | 김명성 | 동대문야구장 |
- | 1983~1984 | 미개최 | |||
40 | 1985 | 한양대 | 고려대 | 김건우 | 동대문야구장 |
- | 1986~1987 | 미개최 | |||
43 | 1988 | 동아대 | 고려대 | 김석연 | 동대문야구장 |
- | 1989 | 미개최 | |||
45 | 1990 | 경성대 | 한양대 | 박정태 | 목동야구장 |
46 | 1991 | 인하대 | 한양대 | 김일혁 | 동대문야구장 |
47 | 1992 | 건국대 | 연세대 | 추성건 | 동대문야구장 |
48 | 1993 | 홍익대 | 경남대 | 문희성 | 동대문야구장 |
49 | 1994 | 고려대 | 한양대 | 손민한 | 동대문야구장 |
50 | 1995 | 고려대 | 한양대 | 김종국 | 동대문야구장 |
51 | 1996 | 인하대 | 연세대 | 이득수 | 동대문야구장 |
52 | 1997 | 고려대 | 연세대 | 손인호 | 동대문야구장 |
53 | 1998 | 경희대 | 경성대 | 홍성흔 | 동대문야구장 |
54 | 1999 | 한양대 | 연세대 | 전근표 | 동대문야구장 |
55 | 2000 | 홍익대 | 동국대 | 이용우 | 동대문야구장 |
56 | 2001 | 한양대 | 고려대 | 강철민 | 동대문야구장 |
57 | 2002 | 인하대 | 동아대 | 정재복 | 동대문야구장 |
58 | 2003 | 원광대 | 경희대 | 주창훈 | 동대문야구장 |
59 | 2004 | 중앙대 | 경성대 | 이혁수 | 남해야구장 |
60 | 2005 | 경성대 | 성균관대 | 장원삼 | 남해야구장 |
61 | 2006 | 동국대 | 원광대 | 강민욱 | 남해야구장 |
62 | 2007 | 성균관대 | 단국대 | 이희근 | 남해야구장 |
63 | 2008 | 중앙대 | 원광대 | 유희관 | 남해야구장 |
64 | 2009 | 건국대 | 중앙대 | 장승욱 | 군산월명야구장 |
65 | 2010 | 경성대 | 성균관대 | 임현준 | 목동야구장 |
66 | 2011 | 동아대 | 동국대 | 나규호 | 목동야구장 |
67 | 2012 | 동의대 | 영남대 | 서용주 | 남해야구장 |
68 | 2013 | 동국대 | 동의대 | 양석환 | 남해야구장 |
69 | 2014 | 동국대 | 인하대 | 이현석 | 남해야구장 |
70 | 2015 | 경성대 | 인하대 | 김명신 | 목동야구장 |
71 | 2016 | 동국대 | 중앙대 | 박창빈 | 춘천의암야구장 |
72 | 2017 | 홍익대 | 경성대 | 최태성 | 횡성야구장 |
73 | 2018 | 성균관대 | 연세대 | 주승우 | 보은야구장 |
74 | 2019 | 성균관대 | 영남대 | 김경민 | 순천팔마야구장 |
75 | 2020 | 단국대[1] | 건국대 | 박건우 | 보은야구장 |
76 | 2021 | 성균관대 | 동강대 | 천현재 | 보은야구장 |
77 | 2022 | 경희대 | 송원대[2] | 김주승 | 보은야구장 |
78 | 2023 | 고려대, 동국대[3] | 오도은(고려), 이재호(동국) | 홍천야구장 | |
79 | 2024 |
강릉영동대,
동의대, 대덕대, 성균관대[4] |
장창훈(강릉영동),
박부성(동의), 심재준(대덕), 김동현(성균관) |
보은야구장(A,B조) |
[1]
건국대와의 결승전에서 에이스
박민수가 9이닝 171구 완투를 하면서 야구 관련 커뮤니티에서 혹사 논란이 일었다.
[2]
에이스
정현수가 준결승까지 13일간 7경기 567구를 던지는 혹사로 논란이 되었다. 성균관대와의 준결승전에서 정현수가 121구를 던졌고, 이틀 밖에 쉬지 못하고 경희대와의 결승전에 다시 나와 6이닝을 던진 끝에 9실점하면서 패배하게 되었다.
[3]
우천으로 인해 진행되지 못했다. 최우수 선수는 동국대 선수만 선정하고, 우수 투수는 고려대 포수를 선정하는 등 매끄럽지 못한 마무리였다.
[4]
우천으로 인해 진행되지 못했다. A조와 B조로 나누어 진행했으며 A조 결승전 2팀, B조 결승전 2팀 등 총 4팀 모두 공동우승을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