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6 15:10:23

장애 캐릭터 모에

장애 모에에서 넘어옴
파일:attachment/b92c03d1115667f5310aac1468a71863.jpg
장애소녀의 등장 인물들.[1]
왼쪽부터 시각 장애, 반신 화상, 지체장애(양 팔 결손), 농아( 聾啞)[2], 지체장애(양 하퇴 의족 사용).

1. 개요2. 종류3. 설명4. 비판5. 관련 문서6. 관련 작품

1. 개요

모에속성 중 하나로 오덕문화에서 신체적 혹은 정신적 장애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 캐릭터, 혹은 그러한 캐릭터를 묘사하는 일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말한다.

2. 종류

신체적인 것으로는 흉터 붕대 등의 소품으로 경미한 장애를 가지고 있음을 표현한 경우, 시각장애, 청각장애, 절단장애를 가진 캐릭터에 대한 것도 있다. 원인으로는 전쟁, 사고, 자해, 질병 등 다양하다. 신체적인 특징에 대한 모에, 바디스타일 모에와 겹치는 면이 있으며, 병약속성 캐릭터에 대한 모에의 발전형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

정신적인 것으로는 실어증[3] , 각종 공포증, 다중인격, 기억상실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지만, 현실에서는 명백히 정신장애에 포함되는 것들이 캐릭터의 개성으로 치부되는 현 세태 때문에 '성격에 대한 모에'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4]

지적장애 자폐성 장애도 모에요소로 많이 쓰이는 편이다. 지적장애는 순진한 백치미가 있으며 자폐성 장애는 자신만의 생각에 갇혀 타인과의 소통을 거부하므로 신비롭고 몽환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우울증, 히키코모리, 조증도 많이 쓰인다. 우울증과 히키코모리는 몽환적인 느낌, 조증은 밝은 느낌이 있다.

3. 설명

장애 캐릭터 모에를 병약 속성을 가진 캐릭터 모에의 발전형이자 심화형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해당 캐릭터가 장애로 인해 겪는 고충에 초점을 맞추는 등 보통 작중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장애소녀가 이러한 방식으로 장애 캐릭터 모에를 활용한 대표적인 게임이다. 장애 캐릭터 모에는 보통 동정심을 자극하는 것으로 성립하는 경우가 많으나, 자신의 장애를 강한 의지로 극복해나가는 강인한 캐릭터도 때때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동정심이라기보다는 강한 의지에 대한 동경과 같은 감정을 자극한다.

다른 방식으로는 장애 요소를 캐릭터의 외형 혹은 캐릭터성을 표현하는 소품으로써 사용하기도 한다.[5] 장애의 '외형'에만 초점을 맞춘 경우, 이러한 경우를 '결손' 모에라고 볼 수는 있어도 '장애' 캐릭터 모에라고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장애 캐릭터 모에는 이러한 점에 있어서 다소 주관적이고 모호한 속성일 수 있다. 장애의 외형, 신체적인 특징뿐만이 아니라 아니라 장애 자체를 다룰 수 있는 소설, 만화, 영화 등의 매체보다는 캐릭터 자체를 중요시하는 매체, 예를 들어 AOS 대전 격투 게임 등지에서 일반적으로 장애를 악세서리로써 활용하는 방법으로 장애 캐릭터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강철의 연금술사의 주인공 에드워드 엘릭, 리 신이나 정크렛이 대표적.

특히 정신적인 장애의 경우, 캐릭터가 현실에서는 명백히 정신질환으로 취급될 수 있는 행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작중에서는 그것을 일종의 성격으로만 다루기도 한다. 얀데레 전파계 등과 같은 속성들은 애초에 장애 캐릭터를 묘사하고자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캐릭터의 성격을 과장하고 개성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수렴한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배트맨 시리즈의 조커 할리 퀸과 같은 사이코패스 캐릭터들 역시 장애 캐릭터 모에에 편입할 수 있는 캐릭터는 아니다. 캐릭터가 반사회성 장애를 가졌다는 식의 설정은 특히 히어로물의 빌런 캐릭터들로부터 자주 발견되는데, 그것은 악역 캐릭터의 비인간성을 표현하는 장치일 수는 있어도 장애 캐릭터를 묘사하려는 시도로 보기 어렵다.

캐릭터에 대한 모에가 아니라 장애 그 자체, 특히 절단장애에 대한 선호가 존재한다. 이 취향이 극단적으로 가면 사지가 절단된 사람에게 성욕을 느끼는 아크로토모필리아(절단애호증)같은 경우가 있다. 이것은 명백한 성적 도착증의 일종으로 엄격히 선을 그어 구분하는 것이 옳다.

4. 비판

장애 너무 가볍게 다루거나 희화화하는 사례가 발생된다는 논란이 있다. 당사자는 장애로 몹시 큰 고통을 겪는데 비장애인들의 희화화가 불쾌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반면, '소비성 콘텐츠의 캐릭터이면 그것이 무엇이든 다소의 대상화가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오로지 그 이유 하나만으로 장애인 캐릭터에 대한 관심을 터부시하는 태도는 옳지 않다. 장애인 캐릭터의 대상화, 모에화를 막는 것은 장애인에 대한 또 다른 차별이다. 우리 장애인들을 스크린 상에 절대 묘사해서는 안 되는 비정상이나 괴물로 여기는 풍조를 없애야 한다'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5. 관련 문서

6. 관련 작품


[1] 실제 게임에서는 릴리의 눈빛이 더 탁해서 맹인이라는 것을 알기 쉽고, 에미의 스탠딩 CG도 바뀌었다. [2] 듣지 못하거나, 또는 말하지 못하는 장애. 과거에는 듣지 못할 경우 말하지도 못했기에 같은 증상으로 사용됐지만, 비교적 장애인에 대한 교육이 발전된 현대에는 듣지 못하더라도 연습을 통해 말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 또한 존재한다. [3] '실어증'이라는 단어의 느낌 때문인지 주로 함묵증과 혼동되어 표현되며 함묵증과 비슷하게 표현되기도 한다. 극사실주의 초현실주의 사이의 단어 혼동과 유사하다. [4] 참고하자면 장애인복지법에서 규정하는 정신장애는 지적장애(舊 정신지체. 지능지수가 70이하인 경우), 정신장애(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자폐성장애(舊 발달장애, 소아자폐, ADHD, 아스퍼거 증후군 등)가 있다. [5] 한 쪽 눈이 없거나 하지만 매체 속에서 그와 관련된 별다른 내용이 나타나지 않는 등, 그냥 캐릭터를 표현하는 악세서리로써의 장애를 가진 경우. [6] 서브컬쳐 장르물에서 가장 무난히 다루어지는 장애 관련 클리셰 중 하나. [7] 장애 문제에 대한 고찰과 접근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에로게이자 동인게임이다. [8] 실제 청각장애인의 검수를 받아 제작된 웹툰. [9] 주인공이 중증 청각장애인이다. [10] 주인공이 하반신 마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