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3:45:08

입학도설


入學圖說.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보물 제1136-1호5. 보물 제1136-2호6.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394호7.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2호8.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3호9. 같이보기

1. 개요

조선 태조 6년, 1397년에 권근(權近)이 간행한 성리학 입문서로 세계 최초'삽화를 수록한' 교과서이다. 현재 대한민국 보물 제1136-1호, 1136-2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394호,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2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3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조선의 개국공신인 양촌 권근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에 유배형을 받아 익산에서 귀양살이를 하며 처음 저술을 시작, 조선 개국 후 태조 6년인 1397년에 경상도 진양(晉陽)에서 발간한 성리학 교과서이다.

주로 어린아이나 성리학 초심자들을 위해 성리학의 기초지식을 쉽게 풀이한 초급 책으로, 초심자들을 위해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ㆍ천인심성분석도(天人心性分釋圖)ㆍ대학지장지도(大學指掌之圖)ㆍ중용수장분석도(中庸首章分釋圖)ㆍ제후소목오묘도궁지도(諸侯昭穆五廟都宮之圖)ㆍ십이월괘지도(十二月卦之圖)ㆍ주천삼신지도설(周天三辰之圖說)ㆍ일기생윤지도설(日期生閏之圖說) 등 삽화 총 40여 종을 삽입하였다.

세계 최초로 그림과 도형, 삽화를 삽입한 교과서로, 일반적으로 세계 최초의 삽화가 삽입된 교과서로 널리 알려진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1592~1670)의 세계도해(1658)보다 270여년 앞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유럽 여러 국가에서 널리 사용된 세계도해와는 달리 입학도설은 권근의 유배지 일부에서만 소수에게 잠시 사용되었다. 그 때문에 세계 교과서 전시회에서 최초의 교과서란 타이틀로 출품된 것도 입학도설이 아닌 수백여년동안 조선 팔도 전국에서 사용된 동몽선습이었다.[1]

훗날 퇴계 이황 선조에게 유학의 핵심내용을 그림으로 그려서 올린 성학십도도 이 책의 영향으로 발간된 것이다.

현재 총 4책이 각각 보물 제1136-1호, 제1136-2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394호,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2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1136-1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권근(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처음 학문을 시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로, 전집 단간본과 전·후집 합간본의 두가지가 있다. 권근은 공민왕 17년(1368) 과거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조선을 개국하는데 공이 커 개국공신에 봉해졌다.

이 책은 전집에 「천인심성합일지도」 등 26종, 후집에 「십이월괘지도」 등 14종의 도설이 실려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도설로 평가 받고있는 「천인심성합일지도」는 성리학의 중심개념인 태극·천명·이기·음양·오행·사단·칠정 등의 문제를 하나의 도표 속에 요약하고 이들의 상호관계와 각각의 특성들을 평이하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이 도설은 후대에 이황과 정지운의 『천명도설』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며 성리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5. 보물 제1136-2호

경상북도 구미시의 개인 소장

『입학도설(入學圖說)』은 양촌(陽村) 권근(權近, 1352-1409)이 익산(益山)에서 귀양살이 하던 시절인 1390년에 유학의 경전인 사서오경(四書五經)과 태극도설(太極圖說) 등에서 주요 개념어를 뽑아 도(圖)와 설(說)로 풀이한 성리학의 입문서이다.

초간본은 편찬이 끝난 7년 뒤인 1397년(태조 7)에 저자의 서문을 붙여 진주(晉州)에서 도호부사 김이음(金爾音)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내용은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 등 21편에 대한 도설(圖說)과 대학(大學)의 입전(立傳)과 중용(中庸)의 분절(分節)에 대한 2편의 변의(辨議), 논어와 맹자의 요지를 적은 어맹대지(語孟大旨) 1편, 도합 26편의 글이 수록되었다.

양촌이 서거한 후 아들 권도(權蹈)가 초간본에 수록되지 않은 원고를 발견하여 1425년에 박융(朴融)에게 부탁하여 감사 하연(河演) 등의 협조를 받고, 목사 이수(李穗)와 판관 반무량(潘茂良)의 감독하에 진주에서 간행하였다. 양촌의 문인 변계량(卞季良, 1369-1430)이 발문을 쓰고, 저본은 정척(鄭陟)이 필서하고, 정사겸(鄭思謙)이 교정을 담당하였다. 이 간표본에는 초간본에 수록된 26편 외에 십이월괘지도(十二月卦之圖) 등 14도(圖)에 대한 도설과 점치는 방법을 쓴 괘륵과설지법(掛扐過揲之法)이 추가되었다.

이 책의 권말에는 간행경위를 담은 변계량의 발문과 간행 참여자를 상세히 수록한 간행기록이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기 지정본에는 누락된 간행기록이 남아있어서 이 책의 간행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6.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394호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9번지 대성암 소장

7.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2호

울산광역시 남구 정토사 소장

입학도설은 권근이 사서오경과 태극도설 등에서 주요 개념어를 뽑아 글과 그림으로 풀이한 성리학 입문서이다. 전집(前集)과 후집(後集)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집은 전라도 익주(益州, 현 전북 익산시)에서 귀양살이 하던 시절인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저술하였으며, 후집은 전집을 저술한 후부터 사망 때 까지 사이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집만이 수록된 초간본은 도호부사 김이음에 의하여 1397년(태조 6년) 진양(晋陽, 현 경남 진주시)에서 간행되었으며 도합 26종의 도설이 실려 있다. 전․후집이 모두 실린 합간본은 1425년(세종 7)에 간행되었으며 기존 초간본에 14종의 도설을 첨가하였으며 변계량의 발문이 실려 있다.

1425년(세종 7)에 간행된 입학도설은 두 종류의 판본이 있다. 하나는 14행 22자본으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소형본이 있으며, 다른 하나는 13행 24자본으로 상대적으로 큰 중형본이 있다. 두 책은 수록된 내용은 같으나, 글씨의 품격, 판각의 솜씨, 구성 등은 중형본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하다. 중형본은 현재 보물 제1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울산 정토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입학도설은 1425년(세종 7)간기가 있는 목판본 소형본으로 표제지 1장, 서문 1장, 본문 54장, 발문 등 권말사항 4장, 합 60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닥종이에 인쇄되어 있다.

입학도설은 후락들에게 꾸준히 계승되어 조선 후기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8.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3호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개인 소장

『입학도설』은 권근(權近, 1352-1409)이 성리학의 기본원리를 도식화하여 설명한 성리학 입문서로, 그의 학문과 경세론, 유학의 중요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조선 초의 유학연구에 필수적인 자료가 되어 학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조선시대 5차례의 간행본 가운데 다른 판본은 다수의 전래본이 전해지지만, 유독 세 번째 간행본은 이 책 외에 국내외 전래본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세 번째 간행본인 이 책은 초간본을 바탕으로 채무일(蔡無逸, 1496-1556)이 발문을 넣어 1545년 전북 낭주(현 부안)에서 간행한 것으로, 후집이 없이 전집만 판각되어 두루 유통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책의 맨 앞장에는 장서인의 하나인 ‘仁川蔡氏’가 날인되어 있다. 서지학적으로 다른 간행본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판본 계통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9. 같이보기


[1] 이는 우리나라의 직지심체요절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시기적으로는 앞섰지만 세계사적 의미는 후자에 더 가치를 두고 실질적인 최초의 금속활자 서적으로 보는것과 고대 그리스에 이미 증기기관이 발명됐지만 진정한 의미의 증기기관은 제임스 와트의 발명으로 삼는것과 유사한 것으로 단순히 연대만 따지는것이 아닌 그 영향력까지 고려하여 가치를 평가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