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9-03-18 17:24:48

일본식 한자어/오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일본식 한자어
1. 개요2. 해당 용례

1. 개요

한국어 일본어의 근간에는 수많은 한자 어휘가 있으며, 실제로 같은 뜻으로 쓰이는 한자도 상당히 많다. 또한 일본에서 쓰는 뜻과 한국에서 쓰는 뜻이 정확히 같지는 않더라도, 한자 한 글자 한 글자의 뜻을 때려맞추는 식으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양국 국민들은 상대방의 언어를 배울 때 비교적 수월하다.

그러나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등을 통해 한국에서 일본어의 대중적 영향력이 커지고, 결정적으로 인터넷 시대가 개막되면서 (1) 한국어에 원래 없거나 (2)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뜻이 다른 낱말을, 특히 그러면서 한국어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낱말을 일본식 그대로 들여와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주의할 것은 한국어 사용자들에게 이전에 없거나 낯선 개념과 함께 들어 온 일본어 기원 한자어와 원래 한국어에 대응되는 개념과 표현들이 있는데도 이와는 무관하게 사용하는 한자를 사용하는 일본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한 언어사회에 없었던 새로운 개념과 함께 그 개념을 지시하는 어휘가 같이 수입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한자어라도 한국어의 한자어 사용 관습과 충돌하지 않으면 한국어에서도 충분히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또 애초에 한국어 화자에게는 낯선 일본식 한자 사용방식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면 귀화한 한국어로 인정할 수밖에 없다.

한국어 사전에 실려 있지 않으므로 한국어가 아니라고 하는 것도 지나친 생각이다. 사회가 변화하고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고 기존 어휘의 개념이 변화하는 과정은 살아 있는 언어에서 늘 나타난다. 이런 새로운 단어들은 아직 사전에 실리지 않은 상태일 뿐이며, 일시의 유행인지 한국어 사용자들의 사이에 새롭게 받아들여진 신어(新語)인지 확인이 되는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게 되면 한국어 언어 화자들의 사용여부를 통해 검증된 어휘들은 결국에는 공식적인 한국어 어휘목록(=사전)에 편입되게 된다.

하지만 단지 한국어에 이미 해당하는 개념과 그것을 나타내기 위한 어휘와 표현이 존재하는데 이와는 별도로 어색하고 낯선 일본어식 표현이나 일본식 한자어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언어는 그 사회의 일종의 약속이며 새로운 단어나 표현을 도입하는 것은 그때그때의 현실에 맞추어서 기존의 약속을 수정하고 변경하고 이를 사회 일반에서 승인받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는 원래 변하는 것이라고 해서 사회 일반에서 통용되지 않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사회 전체를 무시한 일방적인 계약의 수정이며 해당 인물의 한국어 표현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드러내 보이는 행위일 뿐이다.

아래 항목의 대부분은 일본에서 기원한 한자어. 오용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일본 기원의 한자어임은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이들 단어들이 한국어 언중에 없었던 새로운 개념에 대응되는 '신어'로 한국어에 받아들여질지, 기존에 있는 표현들을 고려하지 않은 불필요한 표현인지에 대해서도 한 번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2. 해당 용례

일본 계열 서브컬쳐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우리가 사는 세계(우주)와 완전히 다른 세계에서 온 존재를 뜻한다.[4] 그러나 이는 일본식 조어법으로부터 나온 단어로, 한국어 사전에는 당연히 저런 말이 없다. "다른 세계에서 온 존재" 정도로 풀어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법이다. 이(異)가 붙는 다른 용어, 예컨대 이능력이나 이공간, 위에 언급된 이성인 역시 일본식 한자어로 한국어에는 그러한 표현이 없다. 더구나 띄어쓰기를 틀리게 하면 이/그/저의 이와 햇갈리기 쉽다. 다른 세계란 뜻을 가진 현재 한국어에 존재하는 한자어로는 '별세계(別世界), 별계(別界), 타계(他界)[5]'가 있다.


[1] ' 스펙'이 바로 이 Specification의 준말. [2] 한국어로는 외계인(外界人)이란 뜻. [3] 정확히는 세자(世子)도 그냥 왕자와 다르다. 다음 대를 이어갈 왕자로, 책봉이라는 단계를 거쳐 왕의 자식이나 친족 중에 정하는 것이다. 원칙은 왕의 적장자가 1순위이나, 조선 시대 내내 적장자가 세자가 되는 일이 드물었고 결국 왕위까지 오른 경우는 6번에 불과하다. [4] 미래인은 미래에서 오긴 했지만 우리와 같은 세계의 사람이고, 우주인 역시 다른 별에서 왔을 뿐 우리와 같은 우주에 사는 존재이므로 이세계인과 다르다. [5] 타계는 사람이 죽다라는 의미의 墮界와 혼동에 주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