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1984년 제1대 총학생회4.2. 1985년 제2대 총학생회4.3. 1986년 제3대 총학생회4.4. 1987년 제4대 총학생회4.5. 1988년 제5대 총학생회4.6. 1989년 제6대 총학생회4.7. 1990년 제7대 총학생회4.8. 1991년 제8대 총학생회4.9. 1992년 제9대 총학생회4.10. 1993년 제10대 총학생회4.11. 1994년 제11대 총학생회4.12. 1995년 제12대 총학생회4.13. 1996년 제13대 총학생회4.14. 1997년 제14대 총학생회4.15. 1998년 제15대 총학생회4.16. 1999년 제16대 총학생회4.17. 2000년 제17대 총학생회4.18. 2001년 제18대 총학생회4.19. 2002년 제19대 총학생회4.20. 2003년 제20대 총학생회4.21. 2004년 제21대 총학생회4.22. 2005년 제22대 총학생회4.23. 2006년 제23대 총학생회4.24. 2007년 제24대 총학생회4.25. 2008년 제25대 총학생회4.26. 2009년 제26대 총학생회4.27. 2010년 제27대 총학생회4.28. 2011년 제28대 총학생회4.29. 2012년 제29대 총학생회4.30. 2013년 제30대 총학생회 <희망이음>4.31. 2014년 제31대 총학생회 <새로고침>4.32. 2015년 제32대 총학생회 <채움더하기>4.33. 2016년 제33대 총학생회 <당신곁에>4.34. 2017년 제34대 총학생회 <FIRE>4.35. 2018년 제35대 총학생회 <새봄>4.36. 2019년 제36대 총학생회 <NEW BOUNCE>4.37. 2020년 제37대 총학생회 <BE:ONE>4.38. 2021년 제38대 총학생회 <JOIN>4.39. 2022년 제39대 총학생회 <ALL IN ONE>4.40. 2023년 제40대 총학생회 <INSIDE>4.41. 2024년 제41대 총학생회 <UNITY>
인천대학교 총학생회는 인천대학교 학생을 대표하여 학생자치활동을 통해 민주시민으로서의 능력을 함양하고, 창조적인 진리탐구와 올바른 실천을 통해 학교자주와와 민주사회를 실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총학생회 회원은 인천대학교 휴학생[1]을 제외한 재학생으로 한다.
전국 유일하게 사학비리를 넘어 시립대를 거치고 국립대가 되기까지 인천대학교 총학생회의 힘이 컸다.
또한 한국 고등교육 역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학원민주화 운동에 인천시민과 정치권 등이 힘을 보태 사적 영역에 있던 교육을 공적 영역으로 편입시킨 최초 사례로 기록된다.
가장 높은 수준의 의결기구(최고의결기구)로 총학생회 회원 전부를 대상으로 한다. 총학생회 회원 전부라 함은 인천대학교 휴학생을 제외한 재학생으로 인천대학교 학생 전부를 의미한다. 총학생회의 운영 전반에 걸친 중요사항을 의결하기 때문에 회원 1/10 이상의 참석으로 개회하고 참석 인원의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한다. 학생총회가 열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갖춰야 한다.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이하 ‘전학대회’)는 학생총회 다음의 의결기구로 상설기관으로 총운영위원회를 둔다. 총학생회, 단과대학 학생회, 학과(부) 및 전공학생회, 총동아리연합회의 정·부회장과 각 학과(부) 및 전공 1학년 과대표를 당연직 대의원으로 하며 회원은 참관 및 발언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전학대회는 매 학기 1회 실시하며, 긴급한 경우나 대의원 1/5 이상의 요구, 회원 300명 이상의 요구가 있을 경우 의장이 소집할 수 있다.
총운영위원회(이하 ‘총운위’)는 총학생회의 운영과 집행에 관한 상설 심의 및 의결기구이다. 총학생회 회장단, 단과대학 및 총동아리연합회 학생회장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은 총학생회장으로 한다. 총운위 정기회의는 매주 1회로 하며 위원장의 요구나 구성위원 1/3 이상의 요구로 임시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의결기구로서는 가장 낮은 수준의 의결기구이기는 하지만 매주 열리는 정기 회의로 인해 가장 많은 안건을 처리하는 기구이기도 하다.
학과(부) 및 전공 학생회는 각 과 학생으로 구성한다. 학과(부) 및 전공 정·부회장은 각 과 학생들의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해당 학생회를 대표하여 소속 단과대학 학생회의 운영위원이 되며 학생 대표자 회의에 참석한다. 학회비와 기타 보조금 등으로 재정을 충당하며 학생회칙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율적인 회칙과 조직을 가지며 자치활동을 수행한다.
총동아리연합회는 인천대학교에 등록된 모든 중앙동아리로 구성한다. 동아리의 자율적인 자치활동을 위해 학생회칙 범위 내에서 독자적인 회칙과 조직을 가진다. 총동아리연합회를 대표하여 총학생회 운영위원이 되며 임기는 선거 실시 차기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으로 한다. 선출시기 및 방법과 자격, 권한 등에 관한 사항은 별도의 총동아리연합회 회칙을 따른다.
학생복지위원회는 학생복지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며 전체 업무를 총괄하는 위원장 1인과 부위원장 3인 그리고 집행부로 구성된다. 학생복지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총학생회 집행부와 긴밀한 협조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위원장은 총학생회장이 호선하고 총운영위원회가 인준한다. 위원장은 부위원장 및 집행부의 임명권을 가진다. 추석 때 고향에 내려가는 학우들을 위한 귀향버스 사업이나 대여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문화자치위원회는 학생 자치로 운영되는 학생 문화 공동체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문화자치위원회는 문화자치위원회에 가입·등록한 모든 회원으로 구성한다. 인문학도서관과 문화카페 관리 운영을 기본적인 업무로 하며, 학생회칙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율적인 회칙과 조직을 가지며 자치활동을 수행한다. 문화자치위원장은 문화자치위원회에 소속된 회원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선거 실시 차기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으로 한다. 선출시기 및 방법과 자격, 권한 등에 관한 사항은 별도의 문화자치위원회 회칙을 따른다.
12월 초 당선 확정공고 시점부터 활동을 시작하며 총선거를 통해 당선된 단과대학 학생회장들을 대상으로 임시 총운영위원회(이하 '총운위')를 소집한다. 1월 1일 임기 시작과 동시에 해야할 일이 많기 때문에 임시 총운위를 진행하며 주로 등록금심의위원회에 제출할 학생복지요구안과 새내기 새로배움터(OT)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1월에는 등록금 책정을 위한 등록금심의위원회가 진행된다. 당연직인 부총학생회장과 총운위에서 2명을 추가로 선임하여 학생측 대표로 참여한다. 이 시기에 등록금과 장학금, 복지예산 등과 관련된 활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5월 대동제를 위한 준비와 인천대학교 모든 학생회를 대상으로 확대간부수련회(이하 '확간수')를 진행한다. 확간수는 앞으로의 정책 방향에 대한 설명과 새내기 새로배움터(OT)에 대한 답사가 이루어지며, 새내기 새로배움터 장소로 선정된 곳에서 2박3일간 진행한다. 이때, 3월 보궐선거를 위해 임시 확대운영위원회를 개회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선출한다.
2월에는 새내기 새로배움터(OT)를 통해 신입생들에게 학생대표자들을 소개하고, 친목을 도모하는 행사이다. 총학생회 주최로 외부에서 2박3일씩 3차수[2]에 걸쳐 진행되며 총운위 논의를 통해 차수별 진행 단과대학을 나누어 진행된다.
3월 개강과 동시에 총학생회는 겨울방학 기간의 사업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정기 확대운영위원회를 개회한다. 이후, 보궐선거와 학생총회를 진행하며 간식나눔, 1학년 과대표모임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보통 3월에 대동제를 위한 입찰이 진행된다.[3][4]
5월 대동제를 진행하며 캠퍼스 내에서 무대 공연과 주점, 각종 부스들이 들어선다. 2017년까지만해도 주점 및 학생들 부스, 중앙무대로 축제를 진행했지만, 2018년 교육부의 주류판매금지조치로 인해 주점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총학생회와 생협의 협상을 통해 일시적으로 생협에서 운영하는 편의점에서 주류를 판매하고 있다. 또한, 대체 프로그램으로 포토존, 체험부스, 푸드트럭, 오락 등 비주점문화를 위한 부스들이 자리잡았다.
6월 기말고사 간식나눔을 통해 1학기 행사를 마무리하며 여름방학기간에는 농민-학생연대활동(이하 '농활')을 제외하면 학생회 활동이 수그러든다. 대부분 이때 매주 진행했던 총운위가 필요할때에만 개회되며, 총학생회 집행부에서도 활동을 그만두는 사람들이 속출한다. 농활은 9박10일간 진행되며 총학생회와 동아리, 소모임 등의 단위로 나누어져 각 마을에 지원된다.
9월 개강 후 들썩임제를 진행한다. 들썩임제는 축구, 야구, 발야구, 마라톤 등 다양한 종목들로 진행하는 스포츠 대회이다.
또한, 2018년 새봄 총학생회의 공약사항으로 처음으로 가을미니대동제 <Fall IN U : 가을 너에게 빠지다>가 진행되었다. 처음 시도한 미니축제였지만 꽤나 성공적으로 끝나며 2019년에도 진행되었다가 2020년 코로나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다.
[1]
휴학생은 자격 정지된다.
[2]
총학생회는 행사진행장소에서 6박7일동안 생활한다.
[3]
늦으면 늦을수록 섭외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진행한다.
[4]
하지만 타대학의 경우 10월부터 진행되는 곳이 많기때문에 3월에도 섭외가 어렵다.
[5]
#
[6]
첫 여성 총학생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