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5-22 13:10:48

인지언어학

1. 개요2. 인지언어학의 언어관3. 의미론 및 어휘론4. 통사론
4.1. 인지문법(Cognitive Grammar)4.2. 구문문법(Construction Grammar)4.3. 단어문법(Word Grammar)
5. 음운론6. 인접학문과의 관계7. 비판 및 평가

1. 개요

인지언어학(, cognitive linguistics)은 언어 능력을 인간의 일반적 범용 인지 능력의 일부분으로 파악하는 언어학의 하위분야이다.

정규 교육과정 중 문학 수업에서는 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시어들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언어로 충분히 말할 수 있는 원관념(사물, 사고, 현상, 사태 등)을 호소력과 심미성을 얻기 위한 보조관념(시어, 메타포)을 동원해 꾸며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인지언어학에서는 이러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낱말로 말할 수 있는 원관념 vs 수사적인 목적에 불과한 보조관념'이라는 도식을 인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메타포를 활용하지 않고서는 특정한 원관념이 전달되는 일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는 것과, 왜 인간이 어떠한 발화를 그러한 메타포를 이용해서 말하게 되었는지의 사정과, 화자의 입에서 떠나간 메타포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떠한 인식 과정을 거치게 되는지를 규명하려고 한다. 이것은 단지 문학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며 일상 생활에서 등장하는 모든 언어 현상이 은유적인 메커니즘 없이는 설명될 수 없다고 말한다. 메타포는 단순히 미사여구나 에둘러 말하기나 음침한 의도를 감추거나 현학적인 목적만을 위한 부차적인 장치가 아니며, 화자의 멘털리즈(mentalese) 내지는 인지적 대상물을 구사하기 위하여서 더는 감축될 수가 없는 이미 최소한의 전략이 된다.

2. 인지언어학의 언어관

3. 의미론 및 어휘론

4. 통사론

4.1. 인지문법(Cognitive Grammar)

4.2. 구문문법(Construction Grammar)

4.3. 단어문법(Word Grammar)

5. 음운론

6. 인접학문과의 관계

7. 비판 및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