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2:37:51

인지 필터

인식 필터에서 넘어옴
파일:인식필터.webp
예시: 한 객체를 다른 객체로 보이게 만드는 인식 필터
언어별 명칭
영어 Perception Filter
한국어 인지 필터, 인식 필터, 자각 필터

1. 개요2. 개념3. 사례

[clearfix]

1. 개요

닥터후에서 등장한 예시. 인지 필터가 적용된 자는 타인에게 그곳에 '존재'하고 있다는 걸 인식하기를 '거부'하게 만든다.

창작물 속에서 종종 등장하는 SF적 설정이다. 존재하는 사물이나 형체를 다른 모습으로 인식되게 만들거나 혹은 아예 없는 것처럼 인식 시키지 못하게 만드는 기술.

2. 개념

실제 물체가 변형하는 변신 능력이나 투명화하는 광학위장( 클로킹) 등과는 다르다. 이러한 것들은 물체 자체가 직접 변형하여 정보의[1] 유출을 스스로 막는 방식이다. 반면, 인지 필터는 정보 자체는 대상으로부터 제대로 발신되지만, 그 정보가 대상과는 별개로 존재하는 필터를 거치면서 뇌에 그 정보가 들어갈 때 원래 정보와는 다른 것으로 인식하게 하거나 아예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방식이다.

필터를 거친 정보는 대상으로부터 발신되는 정보와 다르다고 하여 반드시 잘못된 정보인 것은 아니다. 만약 대상이 자기 정보를 숨기려고 한다면 관찰자가 필터로써 다르게 받아들인 정보는 곧 그 대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되고, 대상이 자기 정보를 정확히 드러내고자 하고 관찰자가 이를 원하지 않는다면 필터를 거쳐 손 본 정보는 그 대상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가 된다.

작품 설정에 따라서 최면술이나 환각 같은 정신계열 간섭 능력하고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기도 하고, 엄밀히 다른 원리로 작용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정신"에 간섭하는 방식은 인지 필터가 정보를 중간에 가로채거나 손질하거나 막는 것과는 달리 그보다는 아예 뇌 자체를 건드려서 제대로 들어온 정보를 올바른 방식으로 처리하지 못하게 하는 것에 가깝다.

크리처물이나 오브젝트물 등 실체를 지닌 사물이나 존재에 필터를 거는 것이 많으나, 작품에 따라서는 비실재적인 특정한 '정보'나 '개념' 그 자체에 필터를 거는 설정도 등장한다.

3. 사례


[1] 여기서 "정보"라고 함은 빛, 냄새, 소리 등 오감이나 각종 입력장치로 받아들일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리킨다. 예컨대 시각적 정보의 경우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부터 적외선, 전파 등을 모두 포함하며, 통신 상의 데이터 전달 등도 수신장치에 의하여 입력되므로 그러한 정보의 일종이다. [2] 반대로 정보를 보내려는 과정에서 변칙성이 발현되는 경우는 "정보재해"(Infohazard)로 분류된다. 어떠한 정보를 전달 할 때, 예컨대 오감을 사용하여 어떠한 대상(실물, 추상적 개념 포괄)을 설명할 때, 그것을 보거나 듣거나 만지려고 하는 것을 방해받는다면 인식재해이고 그것을 쓰거나 말하거나 만져지게 하려고 하는 것을 방해받는다면 정보재해이다. [3] 모든 밈이나 항밈이 인지필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인식체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넘어서 다른 변칙성이 발현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SCP-1839의 변칙성은 인식재해 외에도 "정신조작"(Mind-affecting)을 동반한다. [4] 가령, SCP-1504가 누군가를 때려 코피가 나게 만들면, 맞은 당사자는 SCP-1504가 때려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저 갑작스럽게 코피가 났다고 인식한다. [5] 뉴 시즌1 첫번째 에피소드에서 9대 닥터가 타디스를 타고 사라지는 순간을 로즈 타일러가 잠시 한눈을 판 사이 못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러한 것이 인지 필터의 영향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