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8263e><colcolor=#fff> 이옥천
李玉千 | Ok-Chun, Lee |
|
|
|
출생 | 1946년 3월 9일 ([age(1946-03-09)]세)[1] |
경상북도 경주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스승 | 박록주[2] ㅣ 박봉술[3]ㅣ 정광수[4] |
약력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2호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 |
학력 |
포항국민학교 포항여자중학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5](판소리 전공) |
소속 | 사단법인 옥당국극보존회 |
아호 | 옥당(玉堂) |
예명 | 이등우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국악인,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2호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
이옥천 명창은 판소리, 창극, 국극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고 이에 따라 판소리 명창으로 기억하는 이도 있고 국극의 스타로 알고 있는 이도 있고 여러 시각이 공존한다. 하지만 이옥천 본인은 무엇보다 판소리에 가장 주력하였고 국악계에서 가장 존중받고 있는 것은 그가 박록주 명창의 수제자라는 점이며 흥보가와 적벽가를 특기로 하는 보기 드문 정통 동편제 명창이라는 점이다. -저서 '판소리 명창 이옥천' 中
|
2. 생애
2.1. 판소리
"이옥천 명창의 소리는 중하성이 매력적인 남저음(男低音)이다.
나직하지만 우람하고도 넓은 이 소리는 그의 스승인 박록주 명창의 성음과 거의 일치해 성황이다. 평온하게 소리를 들고 나가다가 한 번 벼락을 쳐서 집중시키는 호방한 대목이 있으니 목소리가 약한 사람은 당해낼 수가 없다." |
|
<흥보가> 흥보 박 타는 대목 (2022) |
|
<적벽가> 조자룡 활 쏘는 대목 일부 (2008)[6] |
아홉살 무렵, 국악 애호가인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판소리에 입문하게 된다. 첫 스승은 송만갑과 정정렬에게서 소리를 배운 대구권번 출신의 판소리 명창 김향란(金香蘭)[7]이었는데, 당시 시대 분위기상 판소리는 기생이나 하는 것으로 여겨졌기에 아버지의 반대가 심하였지만 이미 소리에 마음을 빼앗겨 단식 투쟁을 감행하였고, 결국 허락을 받아내었다.[8]
포항여중 졸업 후, 서울 관훈동의 국악예술학교 고등과로 진학하여[9] 박녹주[10]·정권진· 김소희·박초월·성금연 ·박귀희·홍원기·전사섭에게 수학하였으며, 17세부터 12년간 박록주를 스승으로 모시고 〈백발가〉〈진국명산〉〈운담풍경〉〈초한가〉〈적벽부〉등의 단가, 〈춘향가〉와〈흥보가〉두 바탕, 〈심청가〉일부를 전수 받았다.
20세에 정권진에게〈수궁가〉일부를 배웠으며, 25세부터 7년간 박봉술(朴鳳述, 1922-1989)에게〈적벽가〉〈수궁가〉두 바탕을 학습했다. 30세에 정광수(丁珖秀, 1909-2003)에게〈적벽가〉중 '삼고초려'를 익혔다.
44세에 박록주 바디〈흥보가〉완창, 45세에 박록주 바디〈춘향가〉를 완창했다. 55세에 장흥 전통가무악전국제전 종합대상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했으며, 56세에 박봉술 바디〈적벽가〉 완창을 발표했다. 서울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등에서 강사로 활동했으며, 2004년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판소리〈흥보가〉보유자로 인정 되었다.
2.2. 여성국극
"여성국극에서 현존하는 가장 탁월한 남역 배우."
|
중학생 때 임춘앵이 출연하는 여성국극을 접하고, 남역 배우로서의 꿈을 가지게 되었는데, 그 꿈을 가지고 진학한 국악예술학교에 창극과가 없자 예술제에 춘향전을 올려 방자역으로 교내 스타가 된 일화가 있다.[11]
대학 졸업 후, 스승의 반대를 무릅쓰고[12] 1968년부터 2년간 국극 활동을 하였으나[13]기획사에서 돈을 빼돌려 고향의 집과 전답으로 빚을 갚는 어려움을 겪었다.
93년 여성예술국극협회 권유로 '춘향전'의 방자역을 맡았던게 흥행을 일으키며, 현재까지 주요 남역을 맡고 있다.[14]
<rowcolor=#fff>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1993년 | 춘향전 | 방자 |
1994년 |
살고지고 살고지고 -안평대군 |
선비 |
1995년 | 별 헤는 밤 | 윤동주 |
1996년 | 호동왕자 | 개로장군 |
1996년 | 황진이 | 벽계수 |
1998년 | 진진의 사랑 | 임춘앵 |
2000년 | 춘향전 | 이몽룡 |
2001년 | 은하수 | 견우 |
2002년 | 자유부인 | 장태준 |
2002년 | 홍길동전 | 홍길동 |
2002년 | 서동과 선화공주 | 서동 |
2002년 | 수령과 배꽃아기 | 수령 |
2003년 | 견우와 직녀 | 견우 |
2003년 | 콩쥐팥쥐 | 왕자 |
2004년 | 월인천강지곡 | 양녕대군 |
2007년 | 성왕의 낙원 | 양녕 |
2008년 | 햇님달님 | 햇님왕자 |
2008년 | 연산홍 | 임방울 |
2009년 | 풍류화객 신윤복 | 신윤복 |
3. 스승 박록주
국악예술학교서 나는 성음(聲音)이 아주 좋은 여학생을 발견했습니다. 이름이 이옥천이었습니다. 교감한테 이야기해서 나의 집에 와서 직접 배우라고 했습니다. -1974년 2월 27일자 한국일보. 박록주 기고문 "나의 이력서 37" 中[15]
|
|
1967년 박록주 자택에서 |
|
1972년 중요무형문화재 전수생 발표회 2등 기념 |
|
<인생백년> 박록주의 글을 바탕으로 한 스승을 기리는 자작곡 (2004) |
4. 상훈내역
1957 경주 성악 콩쿨 1등1965 국악예술 중,고등학교 교내 국악 경연대회 1등
1965 전국학생 예술 경연대회 1등
1968 전국학생 교육 예술 경연대회 작품지도상
1972 중요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평가 발표회 판소리 2등
1994 대한민국 국회 문화 체육 공보 위원장 공로상
2000 장흥 전통가무악전국제전 종합대상 대통령상
2003 한국국악협회 국악대상 공로상
2004 한국예술총연합회 예술문화상
2007 서울문화재 전통문화 예술인상
2008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장
2016 한국국악협회 제33회 한국국악대상
2018 제8회 기산 박헌봉 국악상
5. 기타활동
-
무용극
소복(작곡,안무지도상) ㅣ 진주배따라기(작곡,안무지도-단체국무총리상)
-
국극
의적의흰나비(작곡,예술총감독) ㅣ 임춘앵일대기(작곡,편곡) ㅣ 무영탑(작곡,편곡) ㅣ 사도세자(작곡) ㅣ 언약(작곡) ㅣ 바보온달(창작,연출 편곡) ㅣ 햇님달님(창작,연출,작곡) ㅣ 가야산 연가 (남자주연 수리역,연출,작곡)
-
창극
설화(작곡) ㅣ 세종대왕(작곡) ㅣ 김좌진 장군(작곡) ㅣ 택견아리랑(작곡) ㅣ 방자전 (작곡) ㅣ 눈꽃나비(작곡) ㅣ 백야 김좌진(예술감독,작곡) 등
-
영화
왕자가 된 소녀들((The Girl Princes, 2013 )
-
전시
<섬광,잔상,속도와 소음의 공연(A Performing by Flaxh, Afterimage, Velocity and Noise)> (2019, 정은영 作)
<(Off)Stage/Masterclass> (2013, 정은영 作)
[1]
호적등재일, 음력 12월 9일 출생.
[2]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박록주 전수장학생(흥보가, 춘향가) 12년 사사
[3]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박봉술 문하(적벽가,수궁가,춘향가) 7년 사사
[4]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정광수 문하(이동백제, 적벽가삼고초려) 사사
[5]
現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6]
출처
[영희야놀자] 다큐멘터리 영화 '왕자가 된 소녀들' 제작사
[7]
6년간 〈춘향가〉,〈심청가〉 사사
[8]
#3:45
[9]
포항여중 시절 접한 여성국극에 매료되어 있던 중 신문에 국극,판소리,무용,기악을 배울 수 있다는 내용이 실려있어 상경한 것. 실제는 국극이 없어 잠시 실망했다고 한다.
[10]
'박록주제' '박록주로'와 같이 '박록주'라고 기재하는 것이 맞다.
[11]
#1:39
[12]
박록주는 여성으로만 구성된 국악동아리를 최초로 조직했던 사람이었던만큼 어린 제자가 단체를 이끌어 가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것.
[13]
여성국극단 '이귀랑과 그 일행'. 이귀랑은 이옥천 본인의 아명이다
[14]
#3:25
[15]
출처 : 저서 '판소리 명창 이옥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