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21:59:16

유니버설 픽처스/작품/201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니버설 픽처스/작품

1. 주요 배급 작품별 성과

10억 달러 돌파 영화가 없어서 고전하던[1] 유니버설에게 10억 달러 돌파 영화를 무려 3 선물해준 유니버설의 최고의 해.

1월 시작은 오히려 불안했다. 마이클 만 감독의 신작 블랙코드가 처참한 실패를 했기 때문. 영화의 평이 갈리기도 했지만, 데드라인에서는 마케팅이 안일했다는 극딜을 했다. 주인공 크리스 헴스워스의 스타 파워를 기대던가 마이클 만 감독의 특징을 어필하던가 뭔가를 했어야했는데 아무것도 안했다고. 게다가 상대가 하필 1월 최고 스코어에 장기 흥행을 이어간 아메리칸 스나이퍼 였다.

하지만 2월 부터는〈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의 성공을 시작으로 연이은 대박을 기록하며 흥행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015년 4월에 개봉한 〈 분노의 질주: 더 세븐〉이 제목을 따라 흥행 질주를 달려서 유니버설 영화 중 사상 두 번째로 높은 흥행 기록을 썼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수익 15억 달러를 돌파하고 전 세계 역대 흥행 4위를 기록하며 그동안의 설움을 씻어냈다. 또 5월에 개봉한 〈 피치 퍼펙트 : 언프리티 걸즈〉는 개봉 첫 주만에 전편의 최종 성적을 뛰어넘는 기대 이상의 깜짝 흥행을 하며 쏠쏠한 재미를 봤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6월에 개봉한 쥬라기 월드[2]가 또 시리즈 사상 최고의 흥행 성적을 경신할 뿐만 아니라 아예 흥행 역사를 새로 쓰며 그동안 다른 스튜디오에 비해 흥행작이 부족했던 유니버설의 대반격을 보여주고 있다. 또 북미에서 역대 R등급 코미디 최고 히트작인 전편의 속편인 〈 19곰 테드2[3], 〈 슈퍼배드〉의 스핀오프인 〈 미니언즈〉 등 라인업이 풍성하여 더욱 흥행 전망이 밝은 상태이다. 2015년 전 세계 박스오피스 상위 5위권 영화 중 네 편이 유니버설 영화인 상태이다. 잇따른 배급 영화들의 흥행 성공으로 2015년 6월까지 2015년에만 개봉 영화들로 얻은 해외 수익만 벌써 2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2010년에 〈 아바타〉 등으로 20세기 폭스사가 얻은 수익보다 훨씬 좋은 기록이다. 그리고 2015년에는 다른 스튜디오인 디즈니와 박스오피스에서 흥행 양강 구도를 이루고 있는데 유니버설이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7월 기준으로 1위가 본사의 〈 쥬라기 월드〉인데, 2위 역시 본사의 〈분노의 질주7〉이며 3위는 디즈니의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이고 4위는 본사의 〈 미니언즈〉인 형식으로 사실상 박스오피스에서 독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디즈니가 2014년엔 마블을 필두로 흥행작들을 대거 배출한 반면, 2015년에는 유니버설의 영화들이 기존 흥행 기록을 전부 갈아치우면서 본사가 우세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런 성공에 발맞춰 역대 가장 짧은 기간(165일)에 10억 달러를 넘은 흥행작을 배출한 배급사가 되었다.

2015년은 사실상 유니버설의 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닌 게 본사가 연이은 개봉작들의 흥행으로 전 세계에서 38억 1900만 달러를 벌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이전 최고 기록인 2013년에 36억 9100만 달러를 경신한 스튜디오 설립 103년 만에 최고 매출액이다. 그리고 역대 가장 빨리 누적 매출액이 20억 달러와 30억 달러를 돌파한 배급사가 되었다. 또 2015년에만 유니버설 영화들은 전 세계에서 8주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다른 배급사들은 달성하지 못한 일이다. 그리고〈 미니언즈〉의 흥행 성공으로 인해 2014년 10월에 20세기 폭스가 세웠던 기록을 갱신하며 역대 제작사들 중 가장 빨리 국제 박스오피스 시장에서 매출액이 30억 달러를 돌파한 제작사가 되었다. 그리고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미국 수입: 1억 6,610만 달러, 해외 수입: 4억 340만 달러), 〈분노의 질주: 더 세븐〉(미국 수입: 3억 5,100만 달러, 해외 수입: 11억 6,000만 달러), 〈피치 퍼펙트2〉(미국 수입: 1억 8,370만 달러, 해외 수입: 1억 130만 달러), 〈쥬라기 월드〉(미국 수입: 6억 5,150만 달러, 해외 수입: 10억 140만 달러), 〈미니언즈〉(미국 수입: 3억 3;450만 달러, 해외 수입: 8억 1,850만 달러) 등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덕분에 여태까지 다른 배급사들보다 가장 빨리 전 세계 수익이 50억 달러를 돌파한 배급사가 되었다. 할리우드 리포터에 따르면 유니버설은 이 5편의 흥행 성공 때문에 미국에서만 17억 9천만 달러를 벌었고, 해외에서는 32억 9,200만 달러를 벌었다. 그리고 8월 25일, 유니버설 픽처스 배급사의 회장인 덩컨 클라크가 직접 발표한 바에 따르면 34주차 박스오피스 기록까지 포함해 유니버설 영화가 해외에서 총 37억 8천만 달러를 벌었는데, 이는 역대 배급사 1년 매출액 중 가장 많은 금액이라고 한다. 이전 최고 기록이었던 2014년에 20세기 폭스사가 1년에 걸쳐 누적한 37억 3천억 달러의 기록을 4달 이상 앞당겨 쌓아 경신한 것이다.

특이할 만한 점으로는 뮤지컬을 영화화하는 데에 관심이 많다는 점. 유명 뮤지컬 중 〈 레 미제라블〉을 영화화했으며〈 미스 사이공〉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그 밖에 ABBA의 노래를 재해석한 뮤지컬 〈 맘마 미아!〉를 2008년에 개봉시켜 전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다. 현재 또 다른 유명 뮤지컬인 〈 위키드〉를 영화로 제작 중이다.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분노의 질주: 더 세븐〉, 〈나를 미치게 하는 여자〉, 〈미니언즈〉, 〈쥬라기 월드〉, 〈피치 퍼펙트2〉에다 8월 14일에 새로 개봉한 N.W.A의 전기 영화인 〈 스트레이트 아웃 오브 컴턴〉의 흥행 선전으로 4달 만에 2015년 북미 누적 매출액이 20억 달러를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지난 2009년 12월 25일에 워너 브라더스가 북미 매출액이 20억 달러를 넘기는 데 꼬박 1년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단기간에 엄청난 매출액을 쌓은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 작품 목록

<rowcolor=#fff> 제목 미국 상영 대한민국 상영
개봉일 배급사 제공사 제작사 개봉일 수입사 배급사
사랑에 대한 모든 것 2015.1.1
(영국)
유니버설 픽처스
(United Kingdom)
워킹 타이틀 필름스 2014.12.10 UPI 코리아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2015.2.13 유니버설 픽처스
(International)
2015.2.25 UPI 코리아
포커스 피처스
(North America)
분노의 질주: 더 세븐 2015.4.3 유니버설 픽처스 2015.4.1 UPI 코리아
Media Right Capital
(In Association With)
피치 퍼펙트: 언프리티 걸즈 2015.5.15 유니버설 픽처스 2015.5.28 UPI 코리아
쥬라기 월드 2015.6.12 유니버설 픽처스 2015.6.11 UPI 코리아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레전더리 픽처스
(In Association With)
19곰 테드 2 2015.6.17 유니버설 픽처스 2015.6.25 UIP 코리아
Media Rights Capital
(In Association With)
미니언즈
[애니메이션]
2015.7.10 유니버설 픽처스 Chris Meledandri 2015.7.29 UPI 코리아
레전드 2015.9.9 유니버설 픽처스
(North America)
워킹 타이틀 필름스
스튜디오 카날
(International)
2015.12.10 퍼스트런 이수C&E
Cross Creek Picture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13년에 쥬라기 공원이 재개봉 하면서 10억 달러를 돌파하긴 했다. [2] 쥬라기 월드: 폴른킹덤도 그럴 것 같다 [3] 그러나 예상외로 흥행도, 평가도 전편보다 떨어져 생각보다 신통치 못한 성적을 거뒀다.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