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 조선 중종 36년(1541)에 왕명으로 편찬된 축산 수의서. 1541년 평안도 지역에 우역(牛疫)이 크게 발생하고 다른 지역으로 전염까지 되자 이에 조정에서 각종 가축의 치료법을 편찬, 각 지방에 내려보낼 때 함께 간행된 책이다. 줄여서 '우역방'(牛疫方)이라고도 한다.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 소장 중이다.
제목은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으로 분석된다. 소, 말, 양, 돼지의 전염병을 치료하는 처방이라는 뜻이다. 다만 실제 분량은 '우역방'이라고 줄여부르는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에 대한 처방이 압도적으로 많다.
2. 구성 및 특징
대체로 갑작스러운 가축의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필요한 응급조치들을 설명했다.서문에 따르면 본초,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 산거사요 등의 내용을 인용했으며, 이 책과 같은 내용이 실려 있음을 주기한 책으로는 농상집요,[1] 사시찬요, 거가필용이 있다. 또한 책에서 인용, 초록한 것 외에 당대 민간에서 쓰이던 치료법과 일반인이 쉽게 얻을 수 있는 약재 등이 함께 수록되었다.
다른 수의서와는 달리 서목 아래에 처방을 적고 그것을 다시 이두로 풀이하였으며 그 아래에 또 다시 한글 표기를 싣는 형식으로 만들었다. 중국어의 한 형태인 한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이를 이두, 한글이라는 두 가지 표기법으로 서술한 것이다. 한문을 모르는 일반 백성들도 처방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이 덕에 국어사 연구, 특히 이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두문/언해문은 한문보다 1칸 더 밑에 들여쓰기 되어있다.
우리나라 가축의 전염병에 관한 역사적 연구자료라고 할 수 있다. 1500년대 국내 수의술의 발달과 한방 수의술 연구에 참고가 된다.
3. 본문
본문은 약 30면 정도이며 글자 수는 약 2000자 정도(언해문 기준)로 그렇게 길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홍문각 영인본 역시 이 책만 싣기엔 분량이 안 나와서인지 유사 내용의 책인 간이벽온방언해, 분문온역이해방(分門瘟疫易解方), 벽온신방(辟瘟新方)과 함께 싣고 있다.대체로 "소에 어떠어떠한 병이 나면 뭘 달여서 소의 입에 부어라"(灌之 / 牛口良中 灌注爲乎事 / 이베 브으라) 식의 처방이 많다.
언해문은 이두문을 따라가는 감이 있다. 가령 모음 종결 체언이든 그렇지 않든 '- 과'( 果)를 쓰는 이두의 관습을[2] 그대로 따라간 부분이 보인다. 마지막 28항의 '使之血出'를 '피를 내다'가 아닌 'ᄇᆞ려( 시켜) 피 나다'로 언해한 것 역시 이두문의 문장 구조를 따라간 것으로 생각된다.
각 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본초(本草) 항에는 15종류 내용이 있는데 너구리의 간이나 고기, 그리고 오줌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 여우의 배와 머리, 꼬리를 이용하는 방법, 양제근, 천금목(千金木), 유엽, 청양혹두, 사향, 조중황토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 우마의방(牛馬醫方) 항에는 백목, 여노, 궁궁, 세신, 귀구, 창포 등의 가루를 이용하는 방법과 뜸질 등 2가지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 신은(神隱) 항에서는 석창포, 담죽엽, 갈분, 울금, 녹두, 창목, 파초 등을 이용하는 방법, 안식향을 이용하는 방법, 토두, 진다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 6가지 치료법이 있다.
- 산거사요(山居四要) 항에는 양 외양간을 관리하는 법, 노초를 먹이지 말라는 것 등이 기록되어있다.
- 사림광기(事林廣記) 항에서는 저장병의 치료법으로 무우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 편민도찬(便民圖纂) 항에서는 돼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들이 있다.
- 범례
- 본문은 중간본(을해자본, 1578)의 복각본(1636)의 홍문각 영인본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 아래 [글^자]는 쪽이 넘어가는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띄어쓰기 절에 맞춰 쪽이 넘어간 때에는 표시하지 않았다.
- 한자는 표준 자형 위주로 입력하였다.
- 번역은 최대한 원문 표현의 후대형을 반영하였다.
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3]
ᄉᆈ며 ᄆᆞᆯ이며 양이며 도티며 서ᄅᆞ 뎐염ᄒᆞᄂᆞᆫ 병 고티ᄂᆞᆫ 방문이라
(소며 말이며 양이며 돼지며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치는 처방이다.)
染疫病은 ᄒᆞ나 알코 둘 세 앏파 서ᄅᆞ 뎐염ᄒᆞᄂᆞᆫ 병이라
(전염병이란 하나 앓고 둘셋 아파 서로 전염되는 병이다.)
本草
1[4]
* 治牛馬 時疫病
獺肉屎 煮汁 停冷 灌之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交相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獺肉(汝古里肉 너고릐 고기)[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獺糞(汝古里叱同 너고릐 ᄯᅩᆼ)[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煎煮 待冷[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馬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1b>
* ᄉᆈ며 ᄆᆞ리며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너고릐 고기나 너고릐 ᄯᅩᆼ이나 므레 글혀 그 즙을 머믈워 ᄎᆞ거든 이베 브으라
* (소며 말이며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너구리[5] 고기나 너구리 똥을 물에 끓여 그 즙을 두었다가 차가워지거든 입에 부어라.)
2
* 治牛疫
狐膓 燒灰 和水 灌之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狐膓(汝兒昌子 여ᄋᆡ 챵ᄌᆞ) 火燒成灰 和水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여ᄋᆡ 챵ᄌᆞ ᄉᆞ론 ᄌᆡᄅᆞᆯ 므레 프러 이베 브으라
* (소가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여우 창자를 불사른 재를 물에 풀어 입에 부어라.)
3
* 牛疫疾
獺屎 二升 湯淋 取汁 灌之 <2a>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獺糞(汝古里叱同 너고릐 ᄯᅩᆼ) 二升[ruby(乙,ruby=을)] 湯水[ruby(矣,ruby=의)] 淋浸 其 汁[ruby(乙,ruby=을)]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너고릐 ᄯᅩᆼ 두 되ᄅᆞᆯ 더운 므레 저쳐 그 즙을 가져다가 이베 브으라
* (소가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너구리 똥 두 되를 뜨거운 물에 담그고 그 즙을 가져다가 입에 부어라.)
4
* 治療疫
狐頭尾 燒灰 以水 飮之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狐頭(如兒昌子 여ᄋᆡ 머리)[ruby(果,ruby=과)] 尾[ruby(乙,ruby=을)] 火燒 成灰 和水 飮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2b>
* ᄉᆈ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여ᄋᆡ 머리와 ᄭᅩ리와 ᄉᆞ라 므레 프러 머기라
* (소가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여우 머리와 꼬리를 불살라 물에 풀어 먹여라.)
5
* 又 方 獺肉肝肚 以水 煮汁 灌之 不用屎
* 又 方 獺(汝古里 너고릐)肉[ruby(果,ruby=과)] 肝[ruby(果,ruby=과)] 肚(昌子 챵ᄌᆞ)[ruby(乙,ruby=을)] 水煮[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糞(叱同 ᄯᅩᆼ)[ruby(乙,ruby=을)][ruby(良,ruby=랑)] 勿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너고릐 고기와 간과 챵ᄌᆞ와 므레 글혀 그 즙을 이베 브오ᄃᆡ ᄯᅩᆼ으란 ᄡᅳ디 말라 <3a>
* (또 한 처방으로 너구리 고기, 간, 창자를 물에 끓여 그 즙을 입에 붓되 똥은 쓰지 말아라.)
6
* 又 方 始發
羊蹄 汁 二三升 灌口
未發者 預灌
* 又 方 病[ruby(乙,ruby=을)] 始作[ruby(爲,ruby=ᄒᆞ)][ruby(有,ruby=잇)][ruby(去,ruby=거)][ruby(等,ruby=든)]
羊蹄(所乙古叱 솔옷)[ruby(乙,ruby=을)] 搗汁 二升[ruby(是,ruby=이)][ruby(乃,ruby=나)] 或 三升[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當時 病 始作[ruby(不,ruby=안)][ruby(冬,ruby=ᄃᆞᆯ)] 者[ruby(乙,ruby=을)][ruby(良,ruby=라)][ruby(置,ruby=두)]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ᄉᆈ 병 처엄 시작ᄒᆞᆯ 제
솔오ᄌᆞᆯ 디허 즙을 내여 두 되어나 서 되어나 이베 브오ᄃᆡ
당시예 병이 시작디 아니ᄒᆞ얏ᄂᆞ니라도 미리 이베 브으라 <3b>
* (또 한 처방으로 소의 병이 처음 시작될 때
소루쟁이를 찧어 즙을 내고 두세 되를 입에 붓는다. 그때 병이 시작되지 않았더라도 이미 입에 부어라.)
7
* 又 方 有氣 則 千金木 斫取 擁廐
* 又 方 病氣 [ruby(始,ruby=비릇)] 有[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千金木(火乙叱羅毛 븕나모)[ruby(乙,ruby=을)] 斫伐[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馬廐[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積置[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ᄂᆞᆫ 병긔운 ᄀᆞᆺ 잇거ᄃᆞᆫ 븕나모ᄅᆞᆯ 버혀다가 오양의 ᄢᅳ려 두라
* (또 한 처방으로 병기운 막 생기거든 붉나무를 베어다가 외양간에 꾸려 두어라.)
8
* 又 方 水煑 千金木 與葉 待冷 灌口
* 又 方 千金木(火乙叱羅毛 븕나모)[ruby(果,ruby=과)] 葉[ruby(果,ruby=과)][ruby(乙,ruby=을)] 以水 煎煮 待冷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븕나모와 닙과ᄅᆞᆯ 므레 글혀 <4a> ᄎᆞ거ᄃᆞᆫ 이베 브으라
* (또 한 처방으로 붉나무와 잎을 물에 끓였다가 차가워지거든 입에 부어라.)
9
* 又 方 千金木葉 剉 和草 飼之
* 又 方 千金木葉(火乙叱羅毛葉 븕나모 닙)[ruby(乙,ruby=을)] 細剉[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草[ruby(果,ruby=과)] 相雜[6] 養飼[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븕나모 닙플 ᄀᆞᄂᆞ리 사ᄒᆞ라 여므레 섯거 머기라
* (또 한 방문으로 붉나무 잎을 가늘게 썰어 여물에 섞어 먹여라.)
10
* 治牛馬 百病
柳葉 生牛乳 同 搗令爛丸 如彈子
晒乾 用時 搗爲細末 仍和 生牛乳 灌之 神效 <4b>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百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柳葉(버들 닙)[ruby(果,ruby=과)] 生牛乳(ᄉᆈ날졋)[ruby(果,ruby=과)][ruby(乙,ruby=을)] 相雜 搗之 彈子 樣[ruby(以,ruby=ᄋᆞ로)] 作丸
日中 晒乾[ruby(爲,ruby=ᄒᆞ)][ruby(有,ruby=잇)][ruby(如,ruby=다)][ruby(可,ruby=가)] 用時[ruby(是,ruby=이)][ruby(去,ruby=거)][ruby(等,ruby=든)] [ruby(更,ruby=가새)][ruby(良,ruby=아)] 搗末 生牛乳(ᄉᆈ날졋)[ruby(果,ruby=과)] 相和[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쇼와 ᄆᆞᄅᆡ 온가짓 병을 고툐ᄃᆡ
버들닙과 ᄉᆈᄂᆞᆯ졋과 ᄒᆞᆫᄃᆡ 섯거 허여디게 디허 도려 디탄ᄌᆞᄀᆞ티 비저
벼ᄐᆡ ᄆᆞᆯ의여 둣다가 ᄡᅳᆯ 제 다시 디허 ᄀᆞᄅᆞ ᄆᆡᆼᄀᆞ라 ᄯᅩ ᄉᆈᄂᆞᆯ져ᄌᆡ 프러[프^러] <5a> 이베 브으면 효허미 뎍 인ᄂᆞ니라
* (소와 말의 온가지 병을 고칠 때
버들잎과 생 우유를 한데 섞고 부서지도록 찧은 후 도려내 탄환같이 빚고
볕에 말려 뒀다가 쓸 때 다시 찧어 가루로 만들어 다시 생 우유에 풀어 입에 부으면 효험이 아주 좋다.)
11
* 治牛 湯熱
靑蘘 煎水 灌之
* 牛[ruby(矣,ruby=의)] 熱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靑蘘(眞荏子葉 ᄎᆞᆷᄢᅢ 닙) 水煎[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덥단 병을 고툐ᄃᆡ
ᄎᆞᆷᄢᅢᆫ 닙플 므레 글혀 이베 브으라
* (소의 열병을 고칠 때
참깻잎을 물에 끓여 입에 부어라.)
12
* 又 方 治牛馬 溫毒
黑豆 煎水 灌之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黑豆(거믄콩)[ruby(乙,ruby=을)] 水煎[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5b>
* 쇼와 ᄆᆞᄅᆡ 뎐염병을 고툐ᄃᆡ
거믄 콩을 므레 ᄉᆞᆯ마 이베 브으라
* (소와 말의 전염병을 고칠 때
검은콩을 물에 삶아 입에 부어라.)
13
* 又 方 牛馬 六畜 疫病
酒和 麝香 少許 灌之
* 牛[ruby(果,ruby=과)] 馬[ruby(果,ruby=과)] 羊[ruby(果,ruby=과)] 猪[ruby(果,ruby=과)] 犬[ruby(果,ruby=과)] 等[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麝香 少許[ruby(乙,ruby=을)] 酒[ruby(矣,ruby=의)] 調和[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쇼과 ᄆᆞᆯ과 양과 돋과 개과 서ᄅᆞ 뎐염병을 고툐ᄃᆡ
술의 샤향을 죠고매 프러 이베 브으라 <6a>
* (소, 말, 양, 돼지, 개의[8]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술에 사향을 조금 풀어 입에 부어라.)
14
* 又方 赭塗 於牛角 辟惡
* 赭(朱土 쥬토)[ruby(乙,ruby=을)] 牛角 上[ruby(矣,ruby=의)] 塗之[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惡病 氣運 傳染病 [ruby(不,ruby=안)][ruby(冬,ruby=ᄃᆞᆯ)][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블근 ᄒᆞᆰ을 ᄉᆈᄲᅳ레 ᄇᆞᄅᆞ면 모딘 병긔우니 드디 몯ᄒᆞᄂᆞ니라
* (또 한 방문으로 붉은 흙을 쇠뿔에 바르면 나쁜 병기운이 들지 못한다.)
15
* 治牛 糞血者
取竈[ruby(中,ruby=긔)] 黃土 二兩 酒 一升 煎 候冷 灌之
* 黃土(가마 아래 ᄒᆞᆰ) 二兩[ruby(乙,ruby=을)] 酒 一升[ruby(果,ruby=과)] 相和 煎煮 <6b> 待冷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ᄯᅩᆼ의 피 조차 나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가마 아래 ᄒᆞᆰ 두 냥을 술 ᄒᆞᆫ 되와 섯거 글혀 ᄎᆞ거ᄃᆞᆫ 이베 브으라
* (소똥에 피가 섞여 나오는 병을 고칠 때
가마 아래의 흙 두 냥을 술 한 되와 섞어 끓였다가 차가워지거든 입에 부어라.)
牛馬醫方
16
* 治牛馬 時疫
白朮 藜蘆 穹窮 細辛 鬼臼 菖蒲 右等
分粗末 燒熏 兩鼻 令烟 入腹 則 愈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白朮(삽둇 불휘) 藜蘆(朴沙伊 박새) 穹窮(궁궁이) 細辛(셰심) 鬼臼(豆也亇注作只 두야머조자기) 菖蒲(松衣亇叱根 숑의맛 불휘) 等[ruby(乙,ruby=을)]
兩數[ruby(乙,ruby=을)] 如一[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稍 麄[ruby(爲,ruby=ᄒᆞ)][ruby(只,ruby=기)][ruby(爲,ruby=삼)] 作末 火[ruby(矣,ruby=의)] 燒之 烟氣[ruby(乙,ruby=을)] 鼻內 熏入[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即時 差愈[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며 ᄆᆞ리며 서ᄅᆞ 뎐염병을 고툐ᄃᆡ
삽둇 불휘와 박새와 궁궁이와 셰심과 두야머조자기과 숑의맛 불휘와ᄅᆞᆯ
냥수ᄅᆞᆯ ᄀᆞᆮ게 ᄃᆞ라 ᄒᆞᆫᄃᆡ 뫼화 잠ᄭᅡᆫ ᄀᆞ라 브레 퓌워 그 ᄂᆡᄅᆞᆯ[ᄂᆡ^ᄅᆞᆯ] <7b> 두 고해 마텨 그 긔우니 ᄇᆡ예 들면 즉재 됸ᄂᆞ니라
* (소며 말이며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삽주 뿌리(白朮), 박새(藜蘆), 궁궁이(芎藭), 세신(細辛), 귀구(鬼臼), 창포(菖蒲)의 무게를 같게 달아 한데 모으고 잠깐 갈아 불 피우고 그 연기를 두 코로 맡게 해 그 기운이 배에 들어가면 즉시 좋아진다.)
17
* 灸法 牛馬 疫初發時
身體中 有少腫仔 細審之 腫處 以燒鐵條 烙之 又 冷水浸竪 令體寒 爲度
又 以艾炷 如小指大灸神 闕穴三十壯神闕 即臍中也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身躰[ruby(衣,ruby=의)][ruby(中,ruby=긔)] 腫處[ruby(有,ruby=잇)][ruby(去,ruby=거)][ruby(等,ruby=든)] 仔細 審見 鉄條[ruby(乙,ruby=을)] [ruby(用,ruby=ᄡᅳ)][ruby(良,ruby=아)] 火燒烙之[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又 冷水[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身 寒[ruby(爲,ruby=ᄒᆞᆯ)][ruby(限,ruby=ᄭᆞ장)] 立置[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又 臍中(ᄇᆡᆺ복 가운ᄃᆡ) 三十壯[ruby(乙,ruby=을)] 灸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艾炷(ᄡᅮᆨ 붓글)[ruby(乙,ruby=을)] 如手小指頭[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ᅳᆯ 버베 쇼와 ᄆᆞᄅᆡ 뎐염병 처엄 시작ᄒᆞᆯ 제
모매 죠고매나 브으미 잇거ᄃᆞᆫ ᄌᆞ셔히 ᄉᆞᆯ펴 브은 ᄃᆡᄅᆞᆯ 쇠올ᄅᆞᆯ 브레 달와 지지라
ᄯᅩ ᄎᆞᆫ 므레 ᄃᆞᆷ가 셰여 모미 ᄎᆞᄆᆞᆯ 그음ᄒᆞ라 ᄯᅩ ᄡᅮ글 삿기손ᄀᆞ락만 크게 ᄒᆞ야 ᄇᆡᆺ보글 셜흔 붓글 ᄯᅳ라
* (뜸법에 소와 말의 전염병이 처음 시작될 때
몸에 조그만 종기가 있거든 자세히 살펴보고 종기가 난 곳에 쇠꼬챙이를 불에 달구어 지져라.
또 찬 물에 담가 세우고 몸이 차갑게끔 하라. 또 뜸을 새끼손가락만큼 해서 배꼽에 뜸을 서른 개 떠라.)
神隠 <8b>
18
* 牛瘴疫
用石菖蒲 淡竹葉 葛粉 鬱金[10] 菉豆 蒼朮 右等
分爲末 每用 一兩 芭蕉 自然汁 三升 入密 一兩 黃蠟 二錢 調和 灌之
末解 再灌極 加大黃
鼻頭 無汗 加 麻黃
鼻口出血 加蒲黃(事林廣記 山居四要 並同)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石菖蒲(松衣亇叱根 숑의맛 불휘) 淡竹葉(댄닙) 葛粉(츩 불휘 ᄀᆞᄅᆞ) 鬱金(深黃 심황) 菉豆(녹두) 蒼朮(두 ᄒᆡ 무근 삽둇 블휘) 等[ruby(乙,ruby=을)]
兩數 如一[ruby(爲,ruby=ᄒᆞ)][ruby(只,ruby=기)][ruby(爲,ruby=삼)] 均分作末 用時 一兩[ruby(乙,ruby=을)] 芭蕉(盤蕉 반쵸) 搗汁[搗^汁] <9a> 三升 淸蜜(ᄢᅮᆯ) 一兩 黃蠟(蜜乙 밀) 二錢 同處 相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差愈[ruby(不,ruby=안)][ruby(冬,ruby=ᄃᆞᆯ)][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再灌[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熱氣 極盛[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加大黃(대황)[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鼻頭 無汗[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加麻黃(唐藥 마황)[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鼻口中 出血[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加蒲黃(부도조잿 ᄀᆞᄅᆞ)[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병 ᄒᆞ얏거ᄃᆞᆫ
숑의맛 불휘와 댄닙과 츩불휫 ᄀᆞᄅᆞ과 심황과 녹두와 두 ᄒᆡ 무근 삽둇 불휘와
량수ᄅᆞᆯ ᄀᆞ티ᄒᆞ야 ᄀᆞ라[ᄀᆞ^라] <9b> ᄆᆡ양 ᄒᆞᆫ 냥식[13] ᄡᅮᄃᆡ 반쵸ᄅᆞᆯ 디허 ᄌᆞ연니 난 즙 서 되와 ᄢᅮᆯ ᄒᆞᆫ 냥과 밀 두 돈과ᄅᆞᆯ ᄒᆞᆫᄃᆡ 섯거 이베 브오ᄃᆡ
됴티 아니커ᄃᆞᆫ ᄯᅩ ᄒᆞ야 브으라 ᄀᆞ장 덥달어ᄃᆞᆫ 대황을 더 녀코
곳 그테 ᄯᆞ미 업거든 마황을 더 녀코
고히며 이베 피 나거ᄃᆞᆫ 부도조잿 ᄀᆞᆯᄅᆞᆯ 더 녀흐라
* (소가 서로 전염병이 걸렸거든
석창포(石菖蒲), 대나무잎, 갈분(葛粉), 울금(鬱金), 녹두(菉豆), 창출(蒼朮) 등을
똑같은 무게로 갈아 매번 한 냥씩 쓰는데 파초(芭蕉)를 찧어 자연히 흘러나온 즙 세 되와 꿀 한 냥, 밀 두 돈을 한데 섞어 입에 붓는다.
낫지 않거든 또 만들어 부어라. 매우 열병이 심하거든 대황(大黃)을 더 넣는다.
코 끝에 땀이 나지 않거든 마황(麻黃)을 더 넣는다.
코며 입에 피가 나거든 창포(蒲黃) 가루를 더 넣어라.) (《사림광기》(事林廣記), 《산거사요》(山居四要)도 같다.)
19
* 又 方 於牛 欄中 燒安息香 及 蒼朮
以鼻吸香 立止(農桑輯要 四時纂要 居家必用 並同)
* 又 方 牛欄(ᄉᆈ멀험)[ruby(良,ruby=아)][ruby(中,ruby=긔)]
安息香(産齊州者 名曰[名^曰] <10a> 黃漆 産此土者 名曰 火乙叱羅毛津 졔ᄌᆔ셔 나ᄂᆞ니란 일후ᄆᆞᆯ 황칠이라 ᄒᆞ고 이 ᄯᅡᄒᆡ셔 나ᄂᆞ니ᄂᆞᆫ 븕나모 진이라)[15][ruby(是,ruby=이)][ruby(乃,ruby=나)]
或 蒼朮(두 ᄒᆡ 무근 삽둇 불휘)[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火中 燒之 烟氣[ruby(乙,ruby=을)] 牛鼻[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薰入[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病 愈[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ᄒᆞᆫ 방문네 ᄉᆈ 오희양의 황칠리어나 두 ᄒᆡ 무근 삽둇 불휘어나
브레 퓌워 그 ᄂᆡᄅᆞᆯ 고해 들에 ᄒᆞ면 즉재 됴ᄒᆞ리라
* (한 처방으로 소 외양간에 황칠이나[16] 두 해 묵은 삽주 뿌리에
불 피워 그 냄새를 코에 들어가게 하면 즉시 낫는다.) (《농상집요》(農桑輯要), 《사시찬요》(四時纂要), 《거가필용》(居家必用)도 같다.)
20
* 又 方 臘月 兎頭 燒灰 和水 五升 灌之
* 又 方 十二月[ruby(良,ruby=아)][ruby(中,ruby=긔)] 捉得[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 兎頭(톳긔 머리)[ruby(乙,ruby=을)] <10b> 火[ruby(矣,ruby=의)] 燒之 作灰水 五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調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ᄒᆞᆫ 방문네ᄂᆞᆫ 섯ᄃᆞ래 자븐 톳긔머리ᄅᆞᆯ 브레 ᄉᆞ라 ᄌᆡ ᄆᆡᆼᄀᆞ라 므레 프러 닷 되ᄅᆞᆯ 이베 브으라
* (한 처방으로 12월에 잡은 토끼 머리를 불에 살라 재로 만들고 물에 푼 것 다섯 되를 입에 부어라.)
21
* 又 方 用眞茶 二兩 爲末 和水 五升 灌之
* 又 方 眞茶(됴ᄒᆞᆫ 쟉셜차) 二兩[ruby(乙,ruby=을)] 作末 水 五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調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ᄒᆞᆫ 방문녜ᄂᆞᆫ 됴ᄒᆞᆫ 쟉셜차 두 냥을 ᄀᆞ라 므레[므^레] <11a> 프로니 닷 되ᄅᆞᆯ 이베 브으라
* (한 처방으로 좋은 작설차[18] 두 냥을 갈아 물에 푼 것 다섯 되를 입에 부어라.)
22
* 人参 細切 煮 五升 灌口中 立差(農桑緝要 四時纂要 山居四要 並同)
* 人参(심)[ruby(乙,ruby=을)] 細剉 水 五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煎煮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심을 ᄀᆞᄂᆞ리 사ᄒᆞ라 므레 달혀 닷 되ᄅᆞᆯ 이베 브ᅀᅳ면[19] 즉재 됸ᄂᆞ니라
* (인삼을 가늘게 썰어 물에 달여 다섯 되를 입에 부으면 즉시 낫는다.) (《농상집요》(農桑輯要), 《사시찬요》(四時纂要), 《거가필용》(居家必用)도 같다.)
23
* 治牛 瘴方
用 石南藤 和 芭蕉 搗之 自然 汁 五升 灌之(居家必用 同)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石南藤(唐藥 셕남등)[ruby(果,ruby=과)] 芭蕉(盤蕉 반쵸)[ruby(果,ruby=과)] 相雜 搗之 出汁 五升 [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병 ᄒᆞ얏거ᄃᆞᆫ 고툐ᄃᆡ
셕남등과 반쵸와 ᄒᆞᆫᄃᆡ 섯거 디허 ᄌᆞ연니 난 즙 닷 되ᄅᆞᆯ 이베 브으라
* (소가 서로 전염병에 걸린 것을 고칠 때
석남등(石南藤)과 파초(芭蕉)를 한데 섞어 찧고 자연히 흘러나온 즙 다섯 되를 입에 부어라.) (《거가필용》(居家必用)도 같다.)
24
* 治水牛 溫疫方
用 人蔘 芍藥 黃柏(各 二兩 半) <12a>
貝母 知母 白磻 黃連 防風(各 二兩 三錢)
山梔子 鬱金 黃芩(各 二兩 四錢)
括樓 桔梗(各 二兩) 大黃(一兩 九錢) 共 爲末
每服 二兩 以蜜 二兩 沙糖 一兩 生薑 一錢 水 二升 同調 灌之
* 水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人蔘(심) 芍藥(함박곳 불휘) 黃柏(황벽피) 各 二兩 五錢
貝母(唐藥 패모) 知母(디모) 白磻(ᄇᆡᆨ번) 黃連(唐藥 황년) 防風(평풍 ᄂᆞ믈 불휘) 各 二兩 三錢
山梔子(지지) 鬱金(深黃 심황) 黃芩(속 서근 플) 各 二兩 四錢
栝蔞(하ᄂᆞ타리 불휘) 桔梗(돌앗) 各 二兩[二^兩] <12b> 大黃(대황) 一兩 九錢 等[ruby(乙,ruby=을)] 一處 作末[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二兩[ruby(式,ruby=식)] 作一服[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淸蜜(ᄢᅮᆯ) 二兩 沙糖(唐藥 사탕) 一兩 生薑(ᄉᆡᆼ강) 一錢 等[ruby(果,ruby=과)] 水 二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調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므ᄉᆈ 서ᄅᆞ 뎐염병 ᄒᆞ거ᄃᆞᆫ 고툐ᄃᆡ
심과 함박곳 불휘과 황벽피 각 두 냥 다ᄉᆞᆺ 돈과
패모과 디모과 ᄇᆡᆨ번과 황년과 평풍 ᄂᆞ믈 불휘 각 두 냥 세 돈과
지지과 심황과 속 서근 플 각 두 냥 네 돈과
하ᄂᆞ타리 불휘과 돌앗 <13a> 각 두 냥과 대황 ᄒᆞᆫ 냥 아홉 돈ᄂᆞᆯ ᄒᆞᆫᄃᆡ ᄀᆞ라
ᄒᆞᆫ 버ᄂᆡ 두 냥식 ᄡᅳᄃᆡ ᄢᅮᆯ 두 냥과 사탕 ᄒᆞᆫ 냥과 ᄉᆡᆼ강 ᄒᆞᆫ 냥과[21] 믈 두 되예 ᄒᆞᆫᄃᆡ 프러 이베 브으라
* (물소가 서로 전염병에 걸린 것을 고칠 때
인삼, 함박꽃 뿌리, 황벽피 각 두 냥 다섯 돈,
패모, 지모, 백반, 황련, 방풍 각 두 냥 세 돈,
산 치자, 울금, 황금 각 두 냥 사 돈, 괄루, 도라지 각 두 냥, 대황 한 냥 구 돈 등을 한데 갈아
한 번에 두 냥씩 쓰는데 꿀 두 냥, 설탕 한 냥, 생강 한 돈, 물 두 되에 한데 풀어 입에 부어라.)
25
* 治牛 卒疫方 牛頭 打脇
巴豆(七介) 去殼 搗爛 以生麻油 和 灌之
仍用 皀萊末 一撮 吸入 鼻中
更用 鞋底 於尾 停骨 不拍之(事林廣記 本草 並同)
* 牛[ruby(矣,ruby=의)] 急卒 傳染[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以頭 打脇 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巴豆(唐藥 파두) 七介[ruby(乙,ruby=을)] 去皮搗之 生眞油[生眞^油](ᄂᆞᆯ ᄎᆞᆷ기름)[ruby(果,ruby=과)] <13b> 相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遣,ruby=고)]
仍用 皀萊(주엽)[23]末 一撮[ruby(乙,ruby=을)] 鼻中[ruby(良,ruby=아)][ruby(中,ruby=긔)] 吸入[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ruby(更,ruby=가새)][ruby(良,ruby=아)] 鞋底[ruby(乙,ruby=을)] [ruby(用,ruby=ᄡᅳ)][ruby(良,ruby=아)] 尾骨[ruby(良,ruby=아)][ruby(中,ruby=긔)] 打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믄득 서ᄅᆞ 뎐염병 ᄒᆞ야 머리로 녑블 티거ᄃᆞᆫ 고툐ᄃᆡ[24]
파두 닐굽 나ᄎᆞᆯ 겁질 벗기고 므르디허ᄂᆞᆯ ᄎᆞᆷ기름애 프러 이베 븟고
다시 주엽 ᄀᆞ론 ᄀᆞᆯᄋᆞᆯ ᄒᆞᆫ 쟈보ᄆᆞᆯ 고해 부러 드리고
ᄯᅩ 신ᄲᅡ당으로 ᄭᅩ리 브튼 ᄲᅧ 아래ᄅᆞᆯ 티라 <14a>
* (소가 갑자기 서로 전염병에 걸려 머리로 옆구리를 치는 것을 고칠 때
파두(巴豆) 일곱 낱알을 껍질 벗겨 물러지도록 찧은 것을 참기름에 풀어 입에 붓고
다시 주엽을 간 가루 한 움큼을 코에 흡입시키고
또 신발 바닥으로 꼬리에 붙은 뼈 아래를 쳐라.) (《사림광기》(事林廣記), 《본초》(本草)도 같다.)
山居四要
26
* 羊廄 高作 日日 淨掃
巳時 放養 未時 還入
不令食露草 若 食露草 則 生病
* 羊廄[ruby(乙,ruby=을)] 高作[ruby(爲,ruby=ᄒᆞ)][ruby(遣,ruby=고)] 每日 淨掃[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巳時量[ruby(良,ruby=아)][ruby(中,ruby=긔)] 放養[ruby(爲,ruby=ᄒᆞ)][ruby(如,ruby=다)][ruby(可,ruby=가)] 未時量[ruby(良,ruby=아)][ruby(中,ruby=긔)] 驅入[ruby(爲,ruby=ᄒᆞ)][ruby(旀,ruby=며)]
着露草[ruby(乙,ruby=을)][ruby(良,ruby=랑)] 養飼 [ruby(安,ruby=아)][ruby(徐,ruby=서)][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萬一 飼之[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生病[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양의 오희양을 놉ᄌᆞ시 ᄆᆡᆼᄀᆞᆯ오 날마다 조히 ᄡᅳᆯ며
ᄉᆞ지예 내여 노하 머기다가 미시예[미시^예] <14b> 도로 드리고
이ᄉᆞᆯ 마ᄌᆞᆫ 프ᄅᆞᆯ 머기디 말라 ᄒᆞ다가 머기면 병 드ᄂᆞ니라
* (양의 외양간을 높게 만들어 날마나 깨끗하게 쓸고
사시(巳時, 9~11시)에 내어 놓고 {먹이를} 먹이다가 미시(未時, 13~15시)에 도로 들여놓는다.
이슬 맞은 풀을 먹이지 말라. 만일 {이슬 맞은 풀을} 먹는다면 {양이} 병에 든다.
事林廣記
27
* 治猪 瘴病方
或 以蘿蔔 或 葉與之此物 猪所好食 性凉 能愈 其 熱毒 又 能 宣轉 其 腸胃 使之 流通 若 不食 則 難救(山居四要 同)
* 猪[ruby(矣,ruby=의)] 瘴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或 以蘿蔔(댄무ᄋᆞ 믿) 或 以葉(댄무ᄋᆞ 닙)[ruby(乙,ruby=을)] 與而食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26] 萬一 不食[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救之[ruby(爲,ruby=ᄒᆞ디)] 難[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15a>
* 도티 서ᄅᆞ 뎐염병 ᄒᆞ얏거ᄃᆞᆫ 고툐ᄃᆡ
댄무ᄋᆞ 미티어나 닙피어나 주어 머기라 이 거ᄉᆞᆫ 도티 즐겨 먹ᄂᆞ니라 제 셩이 서ᄂᆞᆯᄒᆞ니 덥단 도ᄐᆞᆯ 고티며 ᄯᅩ 그 챵ᄌᆞᄅᆞᆯ 두로 힐훠 훤츨케 ᄒᆞᄂᆞ니 ᄒᆞ다가 도티 먹디 몯ᄒᆞ면 구티 몯ᄒᆞᄂᆞ니라
* (돼지가 서로 전염병에 걸린 것을 고칠 때
무 뿌리나 잎을 주어 먹여라. 이것은 돼지가 즐겨 먹는다. 성질이 서늘하여 열병에 걸린 돼지를 고치며, 또 창자에 두루 작용하여 시원하게 한다. 만일 돼지가 {무를} 먹지 않는다면 {돼지를} 구할 수 없다.) (《산거사요》(山居四要)도 같다.)
便民圖纂
28
* 治猪 病
割去尾尖 出血 卽 愈(山居四要 同)
* 猪[ruby(矣,ruby=의)] 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尾端[ruby(乙,ruby=을)] 割去 使之 <15b> 血出[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中病[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도티 병 ᄒᆞ얏거ᄃᆞᆫ 고툐ᄃᆡ
ᄭᅩ리 ᄭᅳ틀 버혀 ᄇᆞ려 피 나면 즉재 됸ᄂᆞ니라
* (돼지에게 병이 생겼을 때
꼬리 끝을 베어내 피를 내면 즉시 낫는다.) (《산거사요》(山居四要)도 같다.)
牛馬羊猪染疫治療方[27]
崇禎 九年 丙子 八月 日 海州牧 開刊
숭정 9년(1636년) 병자년 8월 일 해주목 개간
ᄉᆈ며 ᄆᆞᆯ이며 양이며 도티며 서ᄅᆞ 뎐염ᄒᆞᄂᆞᆫ 병 고티ᄂᆞᆫ 방문이라
(소며 말이며 양이며 돼지며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치는 처방이다.)
染疫病은 ᄒᆞ나 알코 둘 세 앏파 서ᄅᆞ 뎐염ᄒᆞᄂᆞᆫ 병이라
(전염병이란 하나 앓고 둘셋 아파 서로 전염되는 병이다.)
本草
1[4]
* 治牛馬 時疫病
獺肉屎 煮汁 停冷 灌之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交相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獺肉(汝古里肉 너고릐 고기)[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獺糞(汝古里叱同 너고릐 ᄯᅩᆼ)[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煎煮 待冷[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馬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1b>
* ᄉᆈ며 ᄆᆞ리며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너고릐 고기나 너고릐 ᄯᅩᆼ이나 므레 글혀 그 즙을 머믈워 ᄎᆞ거든 이베 브으라
* (소며 말이며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너구리[5] 고기나 너구리 똥을 물에 끓여 그 즙을 두었다가 차가워지거든 입에 부어라.)
2
* 治牛疫
狐膓 燒灰 和水 灌之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狐膓(汝兒昌子 여ᄋᆡ 챵ᄌᆞ) 火燒成灰 和水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여ᄋᆡ 챵ᄌᆞ ᄉᆞ론 ᄌᆡᄅᆞᆯ 므레 프러 이베 브으라
* (소가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여우 창자를 불사른 재를 물에 풀어 입에 부어라.)
3
* 牛疫疾
獺屎 二升 湯淋 取汁 灌之 <2a>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獺糞(汝古里叱同 너고릐 ᄯᅩᆼ) 二升[ruby(乙,ruby=을)] 湯水[ruby(矣,ruby=의)] 淋浸 其 汁[ruby(乙,ruby=을)]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너고릐 ᄯᅩᆼ 두 되ᄅᆞᆯ 더운 므레 저쳐 그 즙을 가져다가 이베 브으라
* (소가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너구리 똥 두 되를 뜨거운 물에 담그고 그 즙을 가져다가 입에 부어라.)
4
* 治療疫
狐頭尾 燒灰 以水 飮之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狐頭(如兒昌子 여ᄋᆡ 머리)[ruby(果,ruby=과)] 尾[ruby(乙,ruby=을)] 火燒 成灰 和水 飮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2b>
* ᄉᆈ 서ᄅᆞ 뎐염ᄒᆞ얏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여ᄋᆡ 머리와 ᄭᅩ리와 ᄉᆞ라 므레 프러 머기라
* (소가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여우 머리와 꼬리를 불살라 물에 풀어 먹여라.)
5
* 又 方 獺肉肝肚 以水 煮汁 灌之 不用屎
* 又 方 獺(汝古里 너고릐)肉[ruby(果,ruby=과)] 肝[ruby(果,ruby=과)] 肚(昌子 챵ᄌᆞ)[ruby(乙,ruby=을)] 水煮[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糞(叱同 ᄯᅩᆼ)[ruby(乙,ruby=을)][ruby(良,ruby=랑)] 勿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너고릐 고기와 간과 챵ᄌᆞ와 므레 글혀 그 즙을 이베 브오ᄃᆡ ᄯᅩᆼ으란 ᄡᅳ디 말라 <3a>
* (또 한 처방으로 너구리 고기, 간, 창자를 물에 끓여 그 즙을 입에 붓되 똥은 쓰지 말아라.)
6
* 又 方 始發
羊蹄 汁 二三升 灌口
未發者 預灌
* 又 方 病[ruby(乙,ruby=을)] 始作[ruby(爲,ruby=ᄒᆞ)][ruby(有,ruby=잇)][ruby(去,ruby=거)][ruby(等,ruby=든)]
羊蹄(所乙古叱 솔옷)[ruby(乙,ruby=을)] 搗汁 二升[ruby(是,ruby=이)][ruby(乃,ruby=나)] 或 三升[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當時 病 始作[ruby(不,ruby=안)][ruby(冬,ruby=ᄃᆞᆯ)] 者[ruby(乙,ruby=을)][ruby(良,ruby=라)][ruby(置,ruby=두)]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ᄉᆈ 병 처엄 시작ᄒᆞᆯ 제
솔오ᄌᆞᆯ 디허 즙을 내여 두 되어나 서 되어나 이베 브오ᄃᆡ
당시예 병이 시작디 아니ᄒᆞ얏ᄂᆞ니라도 미리 이베 브으라 <3b>
* (또 한 처방으로 소의 병이 처음 시작될 때
소루쟁이를 찧어 즙을 내고 두세 되를 입에 붓는다. 그때 병이 시작되지 않았더라도 이미 입에 부어라.)
7
* 又 方 有氣 則 千金木 斫取 擁廐
* 又 方 病氣 [ruby(始,ruby=비릇)] 有[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千金木(火乙叱羅毛 븕나모)[ruby(乙,ruby=을)] 斫伐[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馬廐[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積置[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ᄂᆞᆫ 병긔운 ᄀᆞᆺ 잇거ᄃᆞᆫ 븕나모ᄅᆞᆯ 버혀다가 오양의 ᄢᅳ려 두라
* (또 한 처방으로 병기운 막 생기거든 붉나무를 베어다가 외양간에 꾸려 두어라.)
8
* 又 方 水煑 千金木 與葉 待冷 灌口
* 又 方 千金木(火乙叱羅毛 븕나모)[ruby(果,ruby=과)] 葉[ruby(果,ruby=과)][ruby(乙,ruby=을)] 以水 煎煮 待冷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븕나모와 닙과ᄅᆞᆯ 므레 글혀 <4a> ᄎᆞ거ᄃᆞᆫ 이베 브으라
* (또 한 처방으로 붉나무와 잎을 물에 끓였다가 차가워지거든 입에 부어라.)
9
* 又 方 千金木葉 剉 和草 飼之
* 又 方 千金木葉(火乙叱羅毛葉 븕나모 닙)[ruby(乙,ruby=을)] 細剉[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草[ruby(果,ruby=과)] 相雜[6] 養飼[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븕나모 닙플 ᄀᆞᄂᆞ리 사ᄒᆞ라 여므레 섯거 머기라
* (또 한 방문으로 붉나무 잎을 가늘게 썰어 여물에 섞어 먹여라.)
10
* 治牛馬 百病
柳葉 生牛乳 同 搗令爛丸 如彈子
晒乾 用時 搗爲細末 仍和 生牛乳 灌之 神效 <4b>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百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柳葉(버들 닙)[ruby(果,ruby=과)] 生牛乳(ᄉᆈ날졋)[ruby(果,ruby=과)][ruby(乙,ruby=을)] 相雜 搗之 彈子 樣[ruby(以,ruby=ᄋᆞ로)] 作丸
日中 晒乾[ruby(爲,ruby=ᄒᆞ)][ruby(有,ruby=잇)][ruby(如,ruby=다)][ruby(可,ruby=가)] 用時[ruby(是,ruby=이)][ruby(去,ruby=거)][ruby(等,ruby=든)] [ruby(更,ruby=가새)][ruby(良,ruby=아)] 搗末 生牛乳(ᄉᆈ날졋)[ruby(果,ruby=과)] 相和[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쇼와 ᄆᆞᄅᆡ 온가짓 병을 고툐ᄃᆡ
버들닙과 ᄉᆈᄂᆞᆯ졋과 ᄒᆞᆫᄃᆡ 섯거 허여디게 디허 도려 디탄ᄌᆞᄀᆞ티 비저
벼ᄐᆡ ᄆᆞᆯ의여 둣다가 ᄡᅳᆯ 제 다시 디허 ᄀᆞᄅᆞ ᄆᆡᆼᄀᆞ라 ᄯᅩ ᄉᆈᄂᆞᆯ져ᄌᆡ 프러[프^러] <5a> 이베 브으면 효허미 뎍 인ᄂᆞ니라
* (소와 말의 온가지 병을 고칠 때
버들잎과 생 우유를 한데 섞고 부서지도록 찧은 후 도려내 탄환같이 빚고
볕에 말려 뒀다가 쓸 때 다시 찧어 가루로 만들어 다시 생 우유에 풀어 입에 부으면 효험이 아주 좋다.)
11
* 治牛 湯熱
靑蘘 煎水 灌之
* 牛[ruby(矣,ruby=의)] 熱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靑蘘(眞荏子葉 ᄎᆞᆷᄢᅢ 닙) 水煎[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덥단 병을 고툐ᄃᆡ
ᄎᆞᆷᄢᅢᆫ 닙플 므레 글혀 이베 브으라
* (소의 열병을 고칠 때
참깻잎을 물에 끓여 입에 부어라.)
12
* 又 方 治牛馬 溫毒
黑豆 煎水 灌之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黑豆(거믄콩)[ruby(乙,ruby=을)] 水煎[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5b>
* 쇼와 ᄆᆞᄅᆡ 뎐염병을 고툐ᄃᆡ
거믄 콩을 므레 ᄉᆞᆯ마 이베 브으라
* (소와 말의 전염병을 고칠 때
검은콩을 물에 삶아 입에 부어라.)
13
* 又 方 牛馬 六畜 疫病
酒和 麝香 少許 灌之
* 牛[ruby(果,ruby=과)] 馬[ruby(果,ruby=과)] 羊[ruby(果,ruby=과)] 猪[ruby(果,ruby=과)] 犬[ruby(果,ruby=과)] 等[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麝香 少許[ruby(乙,ruby=을)] 酒[ruby(矣,ruby=의)] 調和[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쇼과 ᄆᆞᆯ과 양과 돋과 개과 서ᄅᆞ 뎐염병을 고툐ᄃᆡ
술의 샤향을 죠고매 프러 이베 브으라 <6a>
* (소, 말, 양, 돼지, 개의[8]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술에 사향을 조금 풀어 입에 부어라.)
14
* 又方 赭塗 於牛角 辟惡
* 赭(朱土 쥬토)[ruby(乙,ruby=을)] 牛角 上[ruby(矣,ruby=의)] 塗之[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惡病 氣運 傳染病 [ruby(不,ruby=안)][ruby(冬,ruby=ᄃᆞᆯ)][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ᅩ ᄒᆞᆫ 방문네 블근 ᄒᆞᆰ을 ᄉᆈᄲᅳ레 ᄇᆞᄅᆞ면 모딘 병긔우니 드디 몯ᄒᆞᄂᆞ니라
* (또 한 방문으로 붉은 흙을 쇠뿔에 바르면 나쁜 병기운이 들지 못한다.)
15
* 治牛 糞血者
取竈[ruby(中,ruby=긔)] 黃土 二兩 酒 一升 煎 候冷 灌之
* 黃土(가마 아래 ᄒᆞᆰ) 二兩[ruby(乙,ruby=을)] 酒 一升[ruby(果,ruby=과)] 相和 煎煮 <6b> 待冷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ᄯᅩᆼ의 피 조차 나ᄂᆞᆫ 병을 고툐ᄃᆡ
가마 아래 ᄒᆞᆰ 두 냥을 술 ᄒᆞᆫ 되와 섯거 글혀 ᄎᆞ거ᄃᆞᆫ 이베 브으라
* (소똥에 피가 섞여 나오는 병을 고칠 때
가마 아래의 흙 두 냥을 술 한 되와 섞어 끓였다가 차가워지거든 입에 부어라.)
牛馬醫方
16
* 治牛馬 時疫
白朮 藜蘆 穹窮 細辛 鬼臼 菖蒲 右等
分粗末 燒熏 兩鼻 令烟 入腹 則 愈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白朮(삽둇 불휘) 藜蘆(朴沙伊 박새) 穹窮(궁궁이) 細辛(셰심) 鬼臼(豆也亇注作只 두야머조자기) 菖蒲(松衣亇叱根 숑의맛 불휘) 等[ruby(乙,ruby=을)]
兩數[ruby(乙,ruby=을)] 如一[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稍 麄[ruby(爲,ruby=ᄒᆞ)][ruby(只,ruby=기)][ruby(爲,ruby=삼)] 作末 火[ruby(矣,ruby=의)] 燒之 烟氣[ruby(乙,ruby=을)] 鼻內 熏入[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即時 差愈[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며 ᄆᆞ리며 서ᄅᆞ 뎐염병을 고툐ᄃᆡ
삽둇 불휘와 박새와 궁궁이와 셰심과 두야머조자기과 숑의맛 불휘와ᄅᆞᆯ
냥수ᄅᆞᆯ ᄀᆞᆮ게 ᄃᆞ라 ᄒᆞᆫᄃᆡ 뫼화 잠ᄭᅡᆫ ᄀᆞ라 브레 퓌워 그 ᄂᆡᄅᆞᆯ[ᄂᆡ^ᄅᆞᆯ] <7b> 두 고해 마텨 그 긔우니 ᄇᆡ예 들면 즉재 됸ᄂᆞ니라
* (소며 말이며 서로 전염되는 병을 고칠 때
삽주 뿌리(白朮), 박새(藜蘆), 궁궁이(芎藭), 세신(細辛), 귀구(鬼臼), 창포(菖蒲)의 무게를 같게 달아 한데 모으고 잠깐 갈아 불 피우고 그 연기를 두 코로 맡게 해 그 기운이 배에 들어가면 즉시 좋아진다.)
17
* 灸法 牛馬 疫初發時
身體中 有少腫仔 細審之 腫處 以燒鐵條 烙之 又 冷水浸竪 令體寒 爲度
又 以艾炷 如小指大灸神 闕穴三十壯神闕 即臍中也
* 牛[ruby(果,ruby=과)] 馬[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身躰[ruby(衣,ruby=의)][ruby(中,ruby=긔)] 腫處[ruby(有,ruby=잇)][ruby(去,ruby=거)][ruby(等,ruby=든)] 仔細 審見 鉄條[ruby(乙,ruby=을)] [ruby(用,ruby=ᄡᅳ)][ruby(良,ruby=아)] 火燒烙之[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又 冷水[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身 寒[ruby(爲,ruby=ᄒᆞᆯ)][ruby(限,ruby=ᄭᆞ장)] 立置[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又 臍中(ᄇᆡᆺ복 가운ᄃᆡ) 三十壯[ruby(乙,ruby=을)] 灸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艾炷(ᄡᅮᆨ 붓글)[ruby(乙,ruby=을)] 如手小指頭[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ᄯᅳᆯ 버베 쇼와 ᄆᆞᄅᆡ 뎐염병 처엄 시작ᄒᆞᆯ 제
모매 죠고매나 브으미 잇거ᄃᆞᆫ ᄌᆞ셔히 ᄉᆞᆯ펴 브은 ᄃᆡᄅᆞᆯ 쇠올ᄅᆞᆯ 브레 달와 지지라
ᄯᅩ ᄎᆞᆫ 므레 ᄃᆞᆷ가 셰여 모미 ᄎᆞᄆᆞᆯ 그음ᄒᆞ라 ᄯᅩ ᄡᅮ글 삿기손ᄀᆞ락만 크게 ᄒᆞ야 ᄇᆡᆺ보글 셜흔 붓글 ᄯᅳ라
* (뜸법에 소와 말의 전염병이 처음 시작될 때
몸에 조그만 종기가 있거든 자세히 살펴보고 종기가 난 곳에 쇠꼬챙이를 불에 달구어 지져라.
또 찬 물에 담가 세우고 몸이 차갑게끔 하라. 또 뜸을 새끼손가락만큼 해서 배꼽에 뜸을 서른 개 떠라.)
神隠 <8b>
18
* 牛瘴疫
用石菖蒲 淡竹葉 葛粉 鬱金[10] 菉豆 蒼朮 右等
分爲末 每用 一兩 芭蕉 自然汁 三升 入密 一兩 黃蠟 二錢 調和 灌之
末解 再灌極 加大黃
鼻頭 無汗 加 麻黃
鼻口出血 加蒲黃(事林廣記 山居四要 並同)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石菖蒲(松衣亇叱根 숑의맛 불휘) 淡竹葉(댄닙) 葛粉(츩 불휘 ᄀᆞᄅᆞ) 鬱金(深黃 심황) 菉豆(녹두) 蒼朮(두 ᄒᆡ 무근 삽둇 블휘) 等[ruby(乙,ruby=을)]
兩數 如一[ruby(爲,ruby=ᄒᆞ)][ruby(只,ruby=기)][ruby(爲,ruby=삼)] 均分作末 用時 一兩[ruby(乙,ruby=을)] 芭蕉(盤蕉 반쵸) 搗汁[搗^汁] <9a> 三升 淸蜜(ᄢᅮᆯ) 一兩 黃蠟(蜜乙 밀) 二錢 同處 相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差愈[ruby(不,ruby=안)][ruby(冬,ruby=ᄃᆞᆯ)][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再灌[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熱氣 極盛[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加大黃(대황)[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鼻頭 無汗[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加麻黃(唐藥 마황)[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鼻口中 出血[ruby(爲,ruby=ᄒᆞ)][ruby(去,ruby=거)][ruby(等,ruby=든)] 加蒲黃(부도조잿 ᄀᆞᄅᆞ)[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병 ᄒᆞ얏거ᄃᆞᆫ
숑의맛 불휘와 댄닙과 츩불휫 ᄀᆞᄅᆞ과 심황과 녹두와 두 ᄒᆡ 무근 삽둇 불휘와
량수ᄅᆞᆯ ᄀᆞ티ᄒᆞ야 ᄀᆞ라[ᄀᆞ^라] <9b> ᄆᆡ양 ᄒᆞᆫ 냥식[13] ᄡᅮᄃᆡ 반쵸ᄅᆞᆯ 디허 ᄌᆞ연니 난 즙 서 되와 ᄢᅮᆯ ᄒᆞᆫ 냥과 밀 두 돈과ᄅᆞᆯ ᄒᆞᆫᄃᆡ 섯거 이베 브오ᄃᆡ
됴티 아니커ᄃᆞᆫ ᄯᅩ ᄒᆞ야 브으라 ᄀᆞ장 덥달어ᄃᆞᆫ 대황을 더 녀코
곳 그테 ᄯᆞ미 업거든 마황을 더 녀코
고히며 이베 피 나거ᄃᆞᆫ 부도조잿 ᄀᆞᆯᄅᆞᆯ 더 녀흐라
* (소가 서로 전염병이 걸렸거든
석창포(石菖蒲), 대나무잎, 갈분(葛粉), 울금(鬱金), 녹두(菉豆), 창출(蒼朮) 등을
똑같은 무게로 갈아 매번 한 냥씩 쓰는데 파초(芭蕉)를 찧어 자연히 흘러나온 즙 세 되와 꿀 한 냥, 밀 두 돈을 한데 섞어 입에 붓는다.
낫지 않거든 또 만들어 부어라. 매우 열병이 심하거든 대황(大黃)을 더 넣는다.
코 끝에 땀이 나지 않거든 마황(麻黃)을 더 넣는다.
코며 입에 피가 나거든 창포(蒲黃) 가루를 더 넣어라.) (《사림광기》(事林廣記), 《산거사요》(山居四要)도 같다.)
19
* 又 方 於牛 欄中 燒安息香 及 蒼朮
以鼻吸香 立止(農桑輯要 四時纂要 居家必用 並同)
* 又 方 牛欄(ᄉᆈ멀험)[ruby(良,ruby=아)][ruby(中,ruby=긔)]
安息香(産齊州者 名曰[名^曰] <10a> 黃漆 産此土者 名曰 火乙叱羅毛津 졔ᄌᆔ셔 나ᄂᆞ니란 일후ᄆᆞᆯ 황칠이라 ᄒᆞ고 이 ᄯᅡᄒᆡ셔 나ᄂᆞ니ᄂᆞᆫ 븕나모 진이라)[15][ruby(是,ruby=이)][ruby(乃,ruby=나)]
或 蒼朮(두 ᄒᆡ 무근 삽둇 불휘)[ruby(是,ruby=이)][ruby(乃,ruby=나)]
火中 燒之 烟氣[ruby(乙,ruby=을)] 牛鼻[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薰入[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病 愈[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ᄒᆞᆫ 방문네 ᄉᆈ 오희양의 황칠리어나 두 ᄒᆡ 무근 삽둇 불휘어나
브레 퓌워 그 ᄂᆡᄅᆞᆯ 고해 들에 ᄒᆞ면 즉재 됴ᄒᆞ리라
* (한 처방으로 소 외양간에 황칠이나[16] 두 해 묵은 삽주 뿌리에
불 피워 그 냄새를 코에 들어가게 하면 즉시 낫는다.) (《농상집요》(農桑輯要), 《사시찬요》(四時纂要), 《거가필용》(居家必用)도 같다.)
20
* 又 方 臘月 兎頭 燒灰 和水 五升 灌之
* 又 方 十二月[ruby(良,ruby=아)][ruby(中,ruby=긔)] 捉得[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 兎頭(톳긔 머리)[ruby(乙,ruby=을)] <10b> 火[ruby(矣,ruby=의)] 燒之 作灰水 五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調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ᄒᆞᆫ 방문네ᄂᆞᆫ 섯ᄃᆞ래 자븐 톳긔머리ᄅᆞᆯ 브레 ᄉᆞ라 ᄌᆡ ᄆᆡᆼᄀᆞ라 므레 프러 닷 되ᄅᆞᆯ 이베 브으라
* (한 처방으로 12월에 잡은 토끼 머리를 불에 살라 재로 만들고 물에 푼 것 다섯 되를 입에 부어라.)
21
* 又 方 用眞茶 二兩 爲末 和水 五升 灌之
* 又 方 眞茶(됴ᄒᆞᆫ 쟉셜차) 二兩[ruby(乙,ruby=을)] 作末 水 五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調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ᄒᆞᆫ 방문녜ᄂᆞᆫ 됴ᄒᆞᆫ 쟉셜차 두 냥을 ᄀᆞ라 므레[므^레] <11a> 프로니 닷 되ᄅᆞᆯ 이베 브으라
* (한 처방으로 좋은 작설차[18] 두 냥을 갈아 물에 푼 것 다섯 되를 입에 부어라.)
22
* 人参 細切 煮 五升 灌口中 立差(農桑緝要 四時纂要 山居四要 並同)
* 人参(심)[ruby(乙,ruby=을)] 細剉 水 五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煎煮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심을 ᄀᆞᄂᆞ리 사ᄒᆞ라 므레 달혀 닷 되ᄅᆞᆯ 이베 브ᅀᅳ면[19] 즉재 됸ᄂᆞ니라
* (인삼을 가늘게 썰어 물에 달여 다섯 되를 입에 부으면 즉시 낫는다.) (《농상집요》(農桑輯要), 《사시찬요》(四時纂要), 《거가필용》(居家必用)도 같다.)
23
* 治牛 瘴方
用 石南藤 和 芭蕉 搗之 自然 汁 五升 灌之(居家必用 同)
* 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石南藤(唐藥 셕남등)[ruby(果,ruby=과)] 芭蕉(盤蕉 반쵸)[ruby(果,ruby=과)] 相雜 搗之 出汁 五升 [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서ᄅᆞ 뎐염병 ᄒᆞ얏거ᄃᆞᆫ 고툐ᄃᆡ
셕남등과 반쵸와 ᄒᆞᆫᄃᆡ 섯거 디허 ᄌᆞ연니 난 즙 닷 되ᄅᆞᆯ 이베 브으라
* (소가 서로 전염병에 걸린 것을 고칠 때
석남등(石南藤)과 파초(芭蕉)를 한데 섞어 찧고 자연히 흘러나온 즙 다섯 되를 입에 부어라.) (《거가필용》(居家必用)도 같다.)
24
* 治水牛 溫疫方
用 人蔘 芍藥 黃柏(各 二兩 半) <12a>
貝母 知母 白磻 黃連 防風(各 二兩 三錢)
山梔子 鬱金 黃芩(各 二兩 四錢)
括樓 桔梗(各 二兩) 大黃(一兩 九錢) 共 爲末
每服 二兩 以蜜 二兩 沙糖 一兩 生薑 一錢 水 二升 同調 灌之
* 水牛[ruby(矣,ruby=의)] 傳染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人蔘(심) 芍藥(함박곳 불휘) 黃柏(황벽피) 各 二兩 五錢
貝母(唐藥 패모) 知母(디모) 白磻(ᄇᆡᆨ번) 黃連(唐藥 황년) 防風(평풍 ᄂᆞ믈 불휘) 各 二兩 三錢
山梔子(지지) 鬱金(深黃 심황) 黃芩(속 서근 플) 各 二兩 四錢
栝蔞(하ᄂᆞ타리 불휘) 桔梗(돌앗) 各 二兩[二^兩] <12b> 大黃(대황) 一兩 九錢 等[ruby(乙,ruby=을)] 一處 作末[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二兩[ruby(式,ruby=식)] 作一服[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淸蜜(ᄢᅮᆯ) 二兩 沙糖(唐藥 사탕) 一兩 生薑(ᄉᆡᆼ강) 一錢 等[ruby(果,ruby=과)] 水 二升[ruby(良,ruby=아)][ruby(中,ruby=긔)] 調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므ᄉᆈ 서ᄅᆞ 뎐염병 ᄒᆞ거ᄃᆞᆫ 고툐ᄃᆡ
심과 함박곳 불휘과 황벽피 각 두 냥 다ᄉᆞᆺ 돈과
패모과 디모과 ᄇᆡᆨ번과 황년과 평풍 ᄂᆞ믈 불휘 각 두 냥 세 돈과
지지과 심황과 속 서근 플 각 두 냥 네 돈과
하ᄂᆞ타리 불휘과 돌앗 <13a> 각 두 냥과 대황 ᄒᆞᆫ 냥 아홉 돈ᄂᆞᆯ ᄒᆞᆫᄃᆡ ᄀᆞ라
ᄒᆞᆫ 버ᄂᆡ 두 냥식 ᄡᅳᄃᆡ ᄢᅮᆯ 두 냥과 사탕 ᄒᆞᆫ 냥과 ᄉᆡᆼ강 ᄒᆞᆫ 냥과[21] 믈 두 되예 ᄒᆞᆫᄃᆡ 프러 이베 브으라
* (물소가 서로 전염병에 걸린 것을 고칠 때
인삼, 함박꽃 뿌리, 황벽피 각 두 냥 다섯 돈,
패모, 지모, 백반, 황련, 방풍 각 두 냥 세 돈,
산 치자, 울금, 황금 각 두 냥 사 돈, 괄루, 도라지 각 두 냥, 대황 한 냥 구 돈 등을 한데 갈아
한 번에 두 냥씩 쓰는데 꿀 두 냥, 설탕 한 냥, 생강 한 돈, 물 두 되에 한데 풀어 입에 부어라.)
25
* 治牛 卒疫方 牛頭 打脇
巴豆(七介) 去殼 搗爛 以生麻油 和 灌之
仍用 皀萊末 一撮 吸入 鼻中
更用 鞋底 於尾 停骨 不拍之(事林廣記 本草 並同)
* 牛[ruby(矣,ruby=의)] 急卒 傳染[ruby(爲,ruby=ᄒᆞ)][ruby(良,ruby=야)] 以頭 打脇 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巴豆(唐藥 파두) 七介[ruby(乙,ruby=을)] 去皮搗之 生眞油[生眞^油](ᄂᆞᆯ ᄎᆞᆷ기름)[ruby(果,ruby=과)] <13b> 相和 牛口[ruby(良,ruby=아)][ruby(中,ruby=긔)] 灌注[ruby(爲,ruby=ᄒᆞ)][ruby(遣,ruby=고)]
仍用 皀萊(주엽)[23]末 一撮[ruby(乙,ruby=을)] 鼻中[ruby(良,ruby=아)][ruby(中,ruby=긔)] 吸入[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ruby(更,ruby=가새)][ruby(良,ruby=아)] 鞋底[ruby(乙,ruby=을)] [ruby(用,ruby=ᄡᅳ)][ruby(良,ruby=아)] 尾骨[ruby(良,ruby=아)][ruby(中,ruby=긔)] 打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ᄉᆈ 믄득 서ᄅᆞ 뎐염병 ᄒᆞ야 머리로 녑블 티거ᄃᆞᆫ 고툐ᄃᆡ[24]
파두 닐굽 나ᄎᆞᆯ 겁질 벗기고 므르디허ᄂᆞᆯ ᄎᆞᆷ기름애 프러 이베 븟고
다시 주엽 ᄀᆞ론 ᄀᆞᆯᄋᆞᆯ ᄒᆞᆫ 쟈보ᄆᆞᆯ 고해 부러 드리고
ᄯᅩ 신ᄲᅡ당으로 ᄭᅩ리 브튼 ᄲᅧ 아래ᄅᆞᆯ 티라 <14a>
* (소가 갑자기 서로 전염병에 걸려 머리로 옆구리를 치는 것을 고칠 때
파두(巴豆) 일곱 낱알을 껍질 벗겨 물러지도록 찧은 것을 참기름에 풀어 입에 붓고
다시 주엽을 간 가루 한 움큼을 코에 흡입시키고
또 신발 바닥으로 꼬리에 붙은 뼈 아래를 쳐라.) (《사림광기》(事林廣記), 《본초》(本草)도 같다.)
山居四要
26
* 羊廄 高作 日日 淨掃
巳時 放養 未時 還入
不令食露草 若 食露草 則 生病
* 羊廄[ruby(乙,ruby=을)] 高作[ruby(爲,ruby=ᄒᆞ)][ruby(遣,ruby=고)] 每日 淨掃[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巳時量[ruby(良,ruby=아)][ruby(中,ruby=긔)] 放養[ruby(爲,ruby=ᄒᆞ)][ruby(如,ruby=다)][ruby(可,ruby=가)] 未時量[ruby(良,ruby=아)][ruby(中,ruby=긔)] 驅入[ruby(爲,ruby=ᄒᆞ)][ruby(旀,ruby=며)]
着露草[ruby(乙,ruby=을)][ruby(良,ruby=랑)] 養飼 [ruby(安,ruby=아)][ruby(徐,ruby=서)][ruby(爲,ruby=ᄒᆞ)][ruby(齊,ruby=져)] 萬一 飼之[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生病[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양의 오희양을 놉ᄌᆞ시 ᄆᆡᆼᄀᆞᆯ오 날마다 조히 ᄡᅳᆯ며
ᄉᆞ지예 내여 노하 머기다가 미시예[미시^예] <14b> 도로 드리고
이ᄉᆞᆯ 마ᄌᆞᆫ 프ᄅᆞᆯ 머기디 말라 ᄒᆞ다가 머기면 병 드ᄂᆞ니라
* (양의 외양간을 높게 만들어 날마나 깨끗하게 쓸고
사시(巳時, 9~11시)에 내어 놓고 {먹이를} 먹이다가 미시(未時, 13~15시)에 도로 들여놓는다.
이슬 맞은 풀을 먹이지 말라. 만일 {이슬 맞은 풀을} 먹는다면 {양이} 병에 든다.
事林廣記
27
* 治猪 瘴病方
或 以蘿蔔 或 葉與之此物 猪所好食 性凉 能愈 其 熱毒 又 能 宣轉 其 腸胃 使之 流通 若 不食 則 難救(山居四要 同)
* 猪[ruby(矣,ruby=의)] 瘴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或 以蘿蔔(댄무ᄋᆞ 믿) 或 以葉(댄무ᄋᆞ 닙)[ruby(乙,ruby=을)] 與而食之[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26] 萬一 不食[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救之[ruby(爲,ruby=ᄒᆞ디)] 難[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15a>
* 도티 서ᄅᆞ 뎐염병 ᄒᆞ얏거ᄃᆞᆫ 고툐ᄃᆡ
댄무ᄋᆞ 미티어나 닙피어나 주어 머기라 이 거ᄉᆞᆫ 도티 즐겨 먹ᄂᆞ니라 제 셩이 서ᄂᆞᆯᄒᆞ니 덥단 도ᄐᆞᆯ 고티며 ᄯᅩ 그 챵ᄌᆞᄅᆞᆯ 두로 힐훠 훤츨케 ᄒᆞᄂᆞ니 ᄒᆞ다가 도티 먹디 몯ᄒᆞ면 구티 몯ᄒᆞᄂᆞ니라
* (돼지가 서로 전염병에 걸린 것을 고칠 때
무 뿌리나 잎을 주어 먹여라. 이것은 돼지가 즐겨 먹는다. 성질이 서늘하여 열병에 걸린 돼지를 고치며, 또 창자에 두루 작용하여 시원하게 한다. 만일 돼지가 {무를} 먹지 않는다면 {돼지를} 구할 수 없다.) (《산거사요》(山居四要)도 같다.)
便民圖纂
28
* 治猪 病
割去尾尖 出血 卽 愈(山居四要 同)
* 猪[ruby(矣,ruby=의)] 病[ruby(乙,ruby=을)] 治療[ruby(爲,ruby=ᄒᆞ)][ruby(乎,ruby=오)][ruby(矣,ruby=ᄃᆡ)]
尾端[ruby(乙,ruby=을)] 割去 使之 <15b> 血出[ruby(爲,ruby=ᄒᆞ)][ruby(在,ruby=견)][ruby(如,ruby=다)][ruby(中,ruby=긔)] 中病[ruby(爲,ruby=ᄒᆞ)][ruby(臥,ruby=누)][ruby(乎,ruby=온)][ruby(事,ruby=일)]
* 도티 병 ᄒᆞ얏거ᄃᆞᆫ 고툐ᄃᆡ
ᄭᅩ리 ᄭᅳ틀 버혀 ᄇᆞ려 피 나면 즉재 됸ᄂᆞ니라
* (돼지에게 병이 생겼을 때
꼬리 끝을 베어내 피를 내면 즉시 낫는다.) (《산거사요》(山居四要)도 같다.)
牛馬羊猪染疫治療方[27]
崇禎 九年 丙子 八月 日 海州牧 開刊
숭정 9년(1636년) 병자년 8월 일 해주목 개간
4. 외부 링크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항목
- 규장각 원문 보기 서비스 - 일사문고본 #
-
오구라 신페이 필사본 해제
#: 오카다 노부토시(岡田信利) 소장 활자본을 오구라 신페이가 1929년 등사한 것이다. 복각본에는 나타나지 않는 ㅿ, 방점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원간본을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중간중간 빨갛게 수정한 부분이 있는데 이는 이본을 대조하여 표기해둔 것이라고 한다.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에서 열람할 수 있다. #
[1]
농상집요는 본 서적과 유사한 시기의
이두 자료 중 하나인
양잠경험촬요의 저본이기도 하다. 양잠경험촬요는 농상집요 권4 "양잠" 편을 발췌하여 이두로 번역한 것이다.
[2]
이두에서 '-
와'는
臥로 표기하곤 하지만 이를 쓰지 않고 그냥 果만 쓰는 문헌이 많다.
[3]
제목에는 이두문이 부기되어있지 않다. 대개 본문이 이두문인 문헌도 제목은 이두로 풀어쓰지 않는 편이다. 언해는 《
훈민정음》에서처럼 권수제 뒤에 주석의 형태로 제목까지 언해하는 때가 종종 있다.
[4]
이 처방 번호는 원문에는 없고 이 문서에서 임의로 추가한 것이다.
[5]
'너고릐'라는 원문 표현을 반영한 것이지만 이 시기의 '너고릐'는 오늘날 우리가 아는
너구리가 아니라
수달일 가능성이 높다.
[6]
원문의 자형은 𮦀(⿰亲隹)과 유사하다.
[프^러]
[8]
제목의 '우마양저'(소, 말, 양, 돼지)가 모두 포함되는 처방은 본문에서 이것이 유일하다. 여기서는 '우마양저'에 '개'까지 추가로 들어갔다. 한문 원문의 육축(六畜)은 보통 여기에
닭이 더 들어간다.
[ᄂᆡ^ᄅᆞᆯ]
[10]
원문의 자형은 동자 𣡸이다.
[搗^汁]
[ᄀᆞ^라]
[13]
이두/목록 式 항목에서 다룬 대로 15세기 한국어에서 이런 배분적 의미로는 '-곰'이 주로 쓰였고 현대어의 '-씩'의 선대형 '-식'은 이 문헌에서의 출현이 제일 이르다(안병희 1977:11)[28]. 뒤의 '두 냥식'은 이두문에 '式'이 등장하나 여기서는 이두문에 '式'이 없다.
[名^曰]
[15]
오늘날에도
제주도는
황칠나무 자생지로 유명하다.
[16]
원문과 이두문으로는
안식향(安息香)으로 되어있다. 이두문에는 이에 대해 본 문헌에서 가장 긴 주석이 달려있는데, 그 내용인즉 "제주도에서 나는 것을 황칠, 이 땅(조선 본토로 추정)에서 나는 것을 붉나무 진액이라고 한다"이다. 언해문에서는 이런 명칭의 차이를 언급하지 않고 황칠이라고만 하였다.
[므^레]
[18]
차나무의 어린 새싹을 따서 만든 차. 찻잎이 참새의 혓바닥 크기만 할 때 따서 만든다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표준국어대사전)
[19]
언해문 이 부분에만 ㅿ가 있는데, 아마 원간본에는 모든 '브으라', '브으면'이 '브ᅀᅳ라', '브ᅀᅳ면'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중간본에서는 이들 ㅿ가 모두 'ㅇ'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본 문서 입력의 저본이 된 중간본은 11a, 11b가 낙장(파손되어 사라짐)이기에 이 부분은 원간본의 오구라 필사본을 참고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二^兩]
[21]
한문과 이두문은 一錢(한 돈)인데 언해문에서는 한 냥으로 10배가 되었다. 원문의 문장 경향상 양이 같은 것은 일단 재료를 나열한 뒤 '각 ~ 냥' 식으로 쓰므로 앞선 설탕과 양이 같은 한 냥이라면 '사탕과 생강 각 한 냥'이라고 썼을 것이다. 언뜻 생각하기에도 생강은 향이 무척 세서 한 냥(37.5g)씩이나 넣었다간 생강맛밖에 나지 않을 것이다. 현대에 가루로 파는 생강가루 1통이 120g으로, 거의 1/4통을 들이붓는 셈이 된다. 번역문에서는 한 돈으로 고쳐서 썼다.
[生眞^油]
[23]
木변이 붙은 梍가 쥐엄나무를 의미한다.
[24]
'디'로 되어 있으나 'ᄃᆡ'의 탈각으로 추정된다.
[미시^예]
[26]
돼지가 무를 좋아하고 무의 성질이 냉하여 열병이 좋다는 대목(猪所好食 性凉 能愈 其 熱毒)이 빠져있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한문에 비해 1.5~2배 긴 이두문인데도 이 부분은 한문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27]
복각본을 기준으로 권말 제목에는 '染疫' 뒤에 '病' 자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