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문하시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 ||
문벌귀족기 (981~1170) |
문하시중 | |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 ||
무신정권 (1170~1270) |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 |
원 간섭기 (1270~1356) |
김방경 | |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 ||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 ||
여말선초 (1356~1392) |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 ||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 좌우보 · 상좌평) 신라 (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 |
王冲
(1078 ~ 1159)
1. 개요
고려의 문신. 개주 사람인데, 고려 직계 왕족은 아니고 태조의 사촌동생 영해공 왕만세의 후손이다. 자는 천은(天隱), 시호는 강렬공(剛烈公)이다.2. 생애
왕충은 어린 시절 개주의 지방관으로 부임한 시중 김공( 김부식?)으로부터 학문의 길로 나아갈 것을 권유받는다. 왕충은 과거 시험을 준비해 좌주 유재(劉載)의 문하에서 성균시에 급제하고, 예종 원년(1106) 임의와 박인량의 문하에서 28세의 나이에 동진사로 급제한다. 관례에 따라 양온승동정에 임명되고 예종 7년(1112) 진양사록 겸 장서기로 발령돼 임기를 마친다.예종 13년(1118) 제안부녹사에 임명되고 이후 대원부전첨 국자박사를 거쳐 권찰원에 임명되는데, 그 뒤에는 보성군의 지방관으로 발령된다. 당시 보성군에 호랑이 무리가 경내로 들어와 사람과 재물을 해치고 백성들은 두려움에 떨었는데 왕충이 함정을 설치해 호랑이를 모두 잡는다. 같은 해에 진양(晉陽, 경상남도 진주시)의 통판(通判)으로 부임한다. 진양 인근 거제군 경계에서 해적 8백여명이 소란을 피웠는데, 인종 6년(1128) 안찰사 이중, 선무사 정응문의 설득에도 무력 시위가 계속된다. 왕충은 해적들의 본거지로 홀로 말을 달려 가서는 수일간 설득한 끝에 해적들을 해산시키는데 성공한다.
거제군에서 공을 세운 왕충은 인종에게 불려가 예부원외랑에 임명된다. 이후 비서승, 공부낭중, 비서소감, 병부시랑, 추밀원좌승선, 이부시랑, 지주사, 추밀원부사(1139), 이부상서(1142) 등을 역임한다. 인종 20년(1142) 추밀원사로서 지공거가 돼 형부시랑 권적과 함께 진사시를 주관해 고주(高儔) 등 37명을 선발한다. 그중 수년 뒤 한림원에 출입하거나 정치를 잘 해 높은 벼슬에 오른 사람이 20여명에 이른다.
인종 22년(1144) 추밀원사 판삼사사, 인종 23년(1145) 상서좌복야[1]에 임명된다. 왕충은 인종에게 표장을 올리며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여러 번 청하는데, 인종이 왕충을 설득한 끝에 왕충은 은퇴할 마음을 접는다. 의종이 즉위한 1146년 11월에도 은퇴를 청하는데 궤장을 받고 평장사 관직을 받아 계속 사무를 보게 된다. 그래도 왕충은 계속해서 은퇴를 청했고 표를 올린 것이 다섯 번에 이른 뒤에야 윤허를 받고 물러난다. 수년 뒤 의종으로부터 금자광록대부 검교태사 수태위 문하시중에 임명된다.
왕충은 가벼운 병으로 의종 13년(1159) 3월 초2일 82세의 나이로 정침(正寢)[2]에서 죽는다. 시호를 받고 승천부(承天府) 양성동(羊城洞) 서쪽 기슭에서 장사된다.
3. 가족관계
- 증조부: 왕형유
- 조부: 왕채
- 부: 왕리민
- 모: 김씨
- 본인: 왕충
- 본인: 왕충
- 전처: 김씨
- 후처: 최씨
- 아들: 왕규
- 처: 인천 이씨
- 처: 해주 정씨
주리 김대경의 딸인 전처 김씨와 사이에서 1남 1녀를 뒀는데 셋 모두 일찍 죽는다. 태복경 최도(崔渡)의 딸과 재혼해 아들 둘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