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808080,#7f7f7f> 대한민국의 주화 | ||||||
액면가 | 1원 | 5원 | 10원 | 50원 | 100원 | 500원 |
도안 | 무궁화 | 거북선 | 다보탑 | 벼 이삭 | 이순신 | 학 |
권종 | <colbgcolor=#FFF,#222>(가) 오원화 | 최초 발행 | <colbgcolor=#FFF,#222>1966. 8. 16. | 소재 | <colbgcolor=#FFF,#222>구리(88%), 아연(12%) | 도안 | <colbgcolor=#FFF,#222>거북선(앞면), 액면(뒷면) |
지름 | 20.40mm | 무게 | 3.09g | 제조처 | 한국조폐공사 | 발행 중지 | 1970년 추정 |
권종 | (나) 오원화 | 최초 발행 | 1970. 7. 16. | 소재 | 구리(65%), 아연(35%)[1] | 도안 | 거북선(앞면), 액면(뒷면) |
지름 | 20.40mm | 무게 | 2.95g | 제조처 | 한국조폐공사 | 발행 중지 | 1982년 추정 |
권종 | (다) 오원화 | 최초 발행 | 1983. 1. 15.[2] | 소재 | 구리(65%), 아연(35%) | 도안 | 거북선(앞면), 액면(뒷면) |
지름 | 20.40mm | 무게 | 2.95g | 제조처 | 한국조폐공사 | 발행 중지 | - |
1. 개요
대한민국 원에 포함된 5원짜리 동전. 이미 일원 주화처럼 실거래에서는 멸종되었고, 연 43,000개씩 발행하여 은행 간 잔돈처리 지급거래에만 쓰인다. 일원 주화와 마찬가지로 1992년 이후 발행이 중지되었다가 1995년부터 민트세트에만 포함되어 발행. 그런고로 발매 중지가 선언된 1992년을 포함해 1993년에서 1994년 사이에 발행된 5원 주화는 없다.2. 상세
1983년 버전 기준 재질은 구리 65%에 아연 35%. 지름은 20.40mm, 무게는 2.95g. 도안은 거북선.[3] 2006년 새로 나온 십원 주화보다 무게가 많이 나가고 크기도 더 크다. 그리고 새로 나온 10원 주화보다 더 비싼 제조원가가 들어가는 중. 아무래도 시중발행이 아니다 보니까 2006년의 도안 변경같은 일이 필요없기 때문. 원래는 10원 주화와 같은 재질에 크기와 무게를 좀 더 낮춰서 만들었었지만 2006년에 10원 주화의 크기와 재질을 변경할 때 5원 주화는 크기·무게와 재질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이렇게 된 것이다.1원과 함께 1966년에 지폐에서 동전으로 전환되어 정부가 세금 징수 용도로 마지막으로 사용된 1983년까지는 잔돈으로 사용되었었다.[4] 이후엔 1원 동전과 마찬가지로 민트세트에서나 만날 수 있는 권종으로 보기 힘들어졌지만.
1960~70년대에는 공중전화 요금이 도수 당 5원이라서 외출중이거나 업무(주로 외근) 중에 전화를 사용할 일이 있을 때 1976년 12월 31일까지는 이 5원 동전으로 전화를 사용하였다고 한다.[5]
1960년대 후반에는 이 동전으로 아이스께끼 하나 사 먹을 수 있었다고 한다.
참고로, 한국에서 법적으로 통용 중인 주화 중 가장 적은 년도[6], 적은 양이 발행된 주화이다. 1원도 초반에 잠깐 대량 제조한 시기가 있어도 이후 꾸준히 많이 만들었지만 5원 주화는 그런거 없다. 그런 이유로 한국에서 가장 존재감이 없는 주화이기도 하나, 역으로 생각하면 미사용품이나 롤을 수집할 때, 가장 비용을 많이 잡아먹는 권종이기도 하다.
1995~2000년 발행분은 증정용 민트세트에만 들어 있고(1998년분 미발행), 2001년 민트세트의 일반판매가 시작되면서 매년 50,000~60,000개 생산이 된다. 단, 2018년 민트에 들어 간 5원 주화는 102,500개 발행되었다. 일원권 동전도 마찬가지.
가장 적게 발행된 연도는 1999년으로 10,000개만이 발행되어 1999년 민트에만 들어 있으며, 민트에서 나온 1999년 5원 주화도 35만원 이상을 호가하지만, 1998년 500원 주화에 가려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통용 목적으로 발행된 연도 중 가장 적게 발행된 해는 1980, 1981, 1982년 5원 주화이다. 3년 동안에는 연도별로 100,000개밖에 발행되지 않았다. 아이러니하게도 민트 전용으로 발행된 일부 연도의 5원[7]보다도 발행량이 적다.
2018년, 2019년 민트 세트에 들어있는 5원 주화는 2018년 102,500개, 2019년 152,500개 발행되었다.
현재 해당 사용제 동전을 보유하고 있다면 회현동이나 인사동 방면 화폐상에 팔던가 아니면 10원어치를 모아서 은행이나 사설환전소, 중앙은행 본지점에서 교환 요청하면 된다. 하지만 후자의 방법보다 전자의 방법이 더 이득이다.
3. 구하는 방법
5원 동전을 소유하고 싶다면 민트세트를 구한다던가 아니면 회현지하상가에 위치한 옛날돈 가게에 가서 구입 할 수 있다. 가격은 2022년 8월 기준, 5원짜리 하나에 2,000원 정도. 연도에 따라서 가격이 다르다.4. 희귀 주화
처음 발행된 1966년도 5원의 경우 미사용인 경우에는 20~30만원 선으로 받을수 있지만, 유통된 주화일 경우 3만원 정도에 거래된다. 1966년부터 1969년까지, 1995년부터 현재까지의 5원주화가 1만원~40만원까지 거래되며, 유통된 주화는 1000원~20만원선까지만 거래된다. 1971년부터 1991년까지의 유통되지 않은 주화라도 1000원~5000원까지만 거래된다.1999년 5원은 발행량이 1만개로 모두 증정용으로 발행됐지만 1998년 500원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가장 적게 발행된 주화다. 이 또한 희귀한 주화이기 때문에 유통되지 않은 새 주화는 무려 50만원에 거래되고, 유통된 주화라 하더라도 35만원 이상으로 거래된다. (2021년 기준)
5. 5원 주화 발행량
화폐세트 전용 주화는 볼드처리.많이 발행된 시기는 1971년 6천 4백만개이며 미발행 제외하고 적게 발행된 시기는 1999년 1만개
1966년 | 4,500,000 |
1967년 | 18,000,000 |
1968년 | 20,500,000 |
1969년 | 25,000,000 |
1970년 (적동+황동) |
50,000,000 |
1971년 | 64,000,000 |
1972년 | 60,000,000 |
1973년 | 미발행 |
1974년 | 미발행 |
1975년 | 미발행 |
1976년 | 미발행 |
1977년 | 1,000,000 |
1978년 | 1,000,000 |
1979년 | 1,000,000 |
1980년 | 100,000 |
1981년 | 100,000 |
1982년 | 100,000 |
1983년 | 6,000,000 |
1984년 | 미발행 |
1985년 | 미발행 |
1986년 | 미발행 |
1987년 | 1,000,000 |
1988년 | 500,000 |
1989년 | 500,000 |
1990년 | 500,000 |
1991년 | 500,000 |
1992년 | 미발행 |
1993년 | 미발행 |
1994년 | 미발행 |
1995년 | 15,000 |
1996년 | 15,000 |
1997년 | 15,000 |
1998년 | 미발행 |
1999년 | 10,000 |
2000년 | 30,000 |
2001년 | 130,000 |
2002년 | 122,000 |
2003년 | 20,000 |
2004년 | 25,500 |
2005년 | 38,000 |
2006년 | 53,000 |
2007년 | 53,000 |
2008년 | 53,000 |
2009년 | 53,000 |
2010년 | 53,000 |
2011년 | 53,000 |
2012년 | 53,000 |
2013년 | 54,000 |
2014년 | 54,000 |
2015년 | 64,000 |
2016년 | 64,000 |
2017년 | 74,000 |
2018년 | 104,000 |
2019년 | 152,000 |
2020년 | 207,000 |
2021년 | 100,000 |
2022년 | 90,000 |
2023년 | 210,020 |
2024년 | 160,000 |
- 1995년 이후 발행한 5원 주화는 화폐세트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1]
10원 주화와 똑같은 연도에 똑같이 재질 성분이 바뀌었다. 따라서 5원 주화도 적동과 황동 주화가 따로 있다.
[2]
역시 10원 주화와 같은 연도에 교체되었다.
[3]
우연히도
북한 원의 5원 주화 중에서도 거북선 도안이 있는 주화가 있다. 다만, 북한에서는 5원을 지폐로 유통하고 있기 때문에 아마도 기념주화 용도인 것으로 보인다.
[4]
1원 및 5원 주화 실제 사용의 끝물이었던 1983년 당시
부산 시내버스는 청소년 요금이 85원이어서 마지막까지 거스름돈 역할을 다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 영상, 1분 50초 부분에 확인 가능하다.
[5]
1977년 1월 1일부로 공중전화 도수 당 요금이 10원으로 오르게 되어서 공중전화기에서 5원 동전의 역할은 여기까지였다.
[6]
1970~1972년 사이에만 반짝 많이 발행되었고 이 시기 전후로는 발행량이 바닥을 긴다. 그나마도 몇몇년도는 발행조차 하지 않았다. (1973~1976/1984~1986/1993~1994/1998년).
[7]
2001년, 2002년, 2018년~2021년, 2023년,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