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逆形成 / backformation'역성법'이라고도 한다. 어원 의식이 옅어지는 등으로 말미암아 단어의 형태소 구성을 언중이 잘못 분석하고 특정 형태를 분리하여 본래 없던 기저 단어형을 새롭게 만드는 것을 뜻한다.
쉽게 말해서 어떤 단어의 구성이 ' 어근 + 접사'가 아님에도 언중이 '어근 + 접사'로 해석하는 바람에 새로운 '어근'형 단어가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2. 역형성의 예
역형성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언중이 무의식중에 일으키는 오류이며 자체적인 분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과도교정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현상이다.역형성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려면 '원형으로 (잘못) 인식된 어형'이 기존에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1] 어형 자료가 많이 남아있는 언어에서 역형성을 찾기 더 쉽다.[2] 예를 들어 영어는 고대 영어, 중세 영어 등의 자료가 상당히 많이 남아 있어서 예를 많이 찾을 수 있지만 한국어는 대부분의 문헌이 한문과 이두로 적힌 특성상 해당 어형이 없다가 역형성으로 생긴 것인지 단순히 기록되지 않은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2.1. 한국어
불규칙 활용형에서 나온 '푸르르다' 및 ' 달르다' ' 도우다', ' 실다' 따위가 있는데 이는 규칙 형태의 영향력이 적고 불규칙 형태의 영향력이 많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불규칙 활용
- 본래 '푸르르다'는 없었고, 단지 러 불규칙 활용 형용사인 '푸르다'뿐이었다. 그 활용의 특성상 '푸르러', '푸르렀다' 등으로 활용하는데, 언중이 이를 ㅡ 탈락 규칙 활용 형태인 '푸르르-어', '푸르르-었-다'로 잘못 분석한 바람에 어간이 '푸르르-'인 규칙 형용사로서 '푸르르다'가 탄생했고, 이것은 현재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다.
- '다다르다'는 원래 'ㄷ' 불규칙 동사인 '다닫다'였다는데, 연철된 '다다라', '다다름' 등에서 역형성한 듯하다.
- ' 도우다'는 '푸르르다'와 달리 사전에까지 등재되지는 않고 있으나 이 역시 ㅂ 불규칙 활용 동사인 '돕다'의 활용형인 '도우니', '도와' 등을 언중이 우 규칙 활용 형태인 '도우-니', '도우-아'[3]로 착각하고 '도우다'를 기본형으로 인식한 것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문법이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어린아이들에게서 나타난다.
- '달르다'와 '빨르다' 따위는 르 불규칙 활용 형용사인 ' 다르다'와 '빠르다' 따위의 활용형인 '달라', '빨라' 등을 ㅡ 탈락 활용 형태인 '달르-아', '빨르-아' 등으로 착각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개울이 불다' 따위의 '불다'는 '붇다'의 잘못된 표현으로서 기사문에는 대개 '불어나'가 쓰이는 등 규칙 어간 '붇-'이 그다지 안 쓰이다 보니 대개는 '불다'를 기본형으로 인식하고, 여기에는 ㄹ 탈락 규칙을 적용해 '퉁퉁 분 라면', '개울이 불면' 같은 표현들을 쓰게 되었다. 또는 '불은', '불으면'으로 쓰다가 ㄹ 탈락 규칙 때문에 이를 '붏은', '붏으면'으로 오해하고 '붏다'를 기본형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깨닫다'도 ㄷ 불규칙 활용 의식이 옅어져서인지 간혹 '깨닳다'로 오해하기도 한다.
- "꽃이나 잎이 시들다."의 뜻으로 쓰이는 '이우다'가 '이울다'의 잘못인 것도 이와 유관해 보인다.
- '복사'와 '-돌이'의 신조어 ' 복돌이'에서는 '복돌판', '복돌하다' 따위가 만들어졌다.
2.2. 영어
Stašková(2013), 영어 역성법의 시기와 유형 분류-
-er/-or의 탈락
대표적인 예가 edit이다. 본래 이 단어는 없었고, 다만 명사로서 editor만이 있었다. 그런데 언중은 이 단어를 worker, singer 등에서 볼 수 있는 -er/-or가 붙은 edit-or의 구성으로 착각한 바람에 뒤의 -or를 제거해 동사 edit를 새롭게 만들었다. 자세한 내용은 민간어원 문서로. - typewriter(명사) → typewrite(동사)
- butcher(도살자) → butch
- 복수형 → 단수형
- pease(완두콩들) → pea(완두콩)
- 접두사의 탈락
- 수학 용어 ratio(비)와 rational(유리수의), irrational(무리수의)은 irrational(1551) → rational(1570) → ratio(1660) 순으로 정의되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
2.3. 일본어
- 여성기를 뜻하는 まんこ/めこ는 おまんこ/おめこ가 원형이었다. 어두의 お를 접두사로 해석하여 역형성한 것이다.
- [ruby(大, ruby=おお)]まか(대략적)는 細か(こま+か[4])를 小まか(こ+まか)로 해석하여 역형성한 것이다.
3. 같이 보기
[1]
원형으로 인식된 어형이 있으면 그냥 보통의 파생일 수 있다.
[2]
'찾기가 쉽다'라는 것이고 '생기기 쉽다'라는 것은 아니다. 문헌으로 적히지 않은 시기에도 역형성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지만, 문헌적 증거가 없으니 역형성임을 입증할 수 없다는 것이다.
[3]
이때는 '도우-어'로 활용된다.
[4]
静か, 遥か, 温か 등의 어근에 붙는 접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