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2:04:57

역형성

역성법에서 넘어옴

1. 개요2. 역형성의 예3. 같이 보기

1. 개요

逆形成 / backformation

'역성법'이라고도 한다. 어원 의식이 옅어지는 등으로 말미암아 단어의 형태소 구성을 언중이 잘못 분석하고 특정 형태를 분리하여 본래 없던 기저 단어형을 새롭게 만드는 것을 뜻한다.

쉽게 말해서 어떤 단어의 구성이 ' 어근 + 접사'가 아님에도 언중이 '어근 + 접사'로 해석하는 바람에 새로운 '어근'형 단어가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2. 역형성의 예

역형성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언중이 무의식중에 일으키는 오류이며 자체적인 분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과도교정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현상이다.

역형성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려면 '원형으로 (잘못) 인식된 어형'이 기존에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1] 어형 자료가 많이 남아있는 언어에서 역형성을 찾기 더 쉽다.[2] 예를 들어 영어 고대 영어, 중세 영어 등의 자료가 상당히 많이 남아 있어서 예를 많이 찾을 수 있지만 한국어는 대부분의 문헌이 한문 이두로 적힌 특성상 해당 어형이 없다가 역형성으로 생긴 것인지 단순히 기록되지 않은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2.1. 한국어

불규칙 활용형에서 나온 '푸르르다' 및 ' 달르다' ' 도우다', ' 실다' 따위가 있는데 이는 규칙 형태의 영향력이 적고 불규칙 형태의 영향력이 많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2.2. 영어

Stašková(2013), 영어 역성법의 시기와 유형 분류

2.3. 일본어

3. 같이 보기


[1] 원형으로 인식된 어형이 있으면 그냥 보통의 파생일 수 있다. [2] '찾기가 쉽다'라는 것이고 '생기기 쉽다'라는 것은 아니다. 문헌으로 적히지 않은 시기에도 역형성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지만, 문헌적 증거가 없으니 역형성임을 입증할 수 없다는 것이다. [3] 이때는 '도우-어'로 활용된다. [4] 静か, 遥か, 温か 등의 어근에 붙는 접미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