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7:14:24

역사는 흐른다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 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 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 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 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 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 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 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 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 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 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 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 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KBS 1TV 대하드라마
역사는 흐른다 (1989~1990)
And So Flows History
파일:역사는 흐른다 오프닝 FHD 리마스터축소.png
<colbgcolor=#476959><colcolor=white>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일요일 21:20
방송 기간 1989년 9월 3일 ~ 1990년 9월 9일
방송 횟수 54부작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채널 KBS 1TV


<colbgcolor=#476959><colcolor=white> 기획 황은진
연출 박병우
극본 이종수
조연출 김종선
기술감독 최명호
조명감독 임길신
분장감독 김유정
미술감독 오명현
카메라감독 장정길
야외촬영 심량섭, 김선갑 외
편집 김현우, 민병호
음악 서근식
고증 박정식
원작 한무숙 저,
소설 《역사는 흐른다》
출연 장미희, 유인촌, 서우림, 김을동, 태현실, 김병기, 태민영, 이신재, 김영철, 이덕희, 김갑수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

[clearfix]

1. 개요

1989년부터 1990년까지 방영한 9번째 KBS 대하드라마.

한무숙 작가가 지은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며, 해당 작품은 1949년 <국제신보(현 국제신문)> 문예공모에 당선되어 이듬해 <태양신문>에 연재되었다.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하여 KBS 대하드라마 사상 최초로 방영 6일 전에 전야제 특집을 방영했다.

2. 특징

캐스팅 면에서 주연급에 당대 톱스타들을 영입했다. MBC 전속 탤런트 유인촌은 이 드라마로 처음 KBS에 발을 담갔으며 전원일기의 순박한 양촌리 청년 김용식 역과는 다른 선 굵은 독립운동가 연기를 선보였고, KBS1 <뮤직박스> MC였던 이혜영은 일제 밀정인 '조민구' 역으로 발탁되어 영화에서 보여줬던 섹시 이미지를 벗고 순수 연기자로 변신코자 했다.

개화기 여성 '박금련' 역의 장미희는 주말연속극 타인 이후 2년만에 컴백했다. 그리고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식당을 경영했던 배우 선우용여 7년 만에 컴백하여 화제를 모았으며, 전작 <토지>의 서희 역 공모의 전례를 따라 1989년 5월부터 한달여 간 주연급 신인연기자(공채 13기) 공모도 열어 배우 지망생 2,400여명 중 정형기와 지경원[1]을 선발해내기도 했다.[2] 또한 731 부대도 이 드라마에서 처음 다뤄졌다.( 경향신문 기사)

기획 시부터 제작비 30억원에 엑스트라 500여명을 투입하고 충북 괴산군 괴산읍 검승리와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에 오픈 세트장을 차렸으며, 서영훈 당시 사장이 야외 촬영현장까지 참관할 정도로 공을 들였다. 방영 당시 나름대로 흥행해서 1990년 3월 11일에 1부를 마치고 18일 총집편을 거쳐 25일부터 2부로 돌입했으나, 1990년 4월 22일부터 5월 13일까지 KBS 사태로 인한 노조의 제작거부 투쟁으로 인해 휴방한 바 있고,[3][4] 조인구 역의 배우 이혜영이 영화 남부군 촬영 스케줄과 겹친 탓에 촬영을 많이 펑크내서 1990년 2월 25일 방영분을 끝으로 하차하는[5] 등의 우여곡절이 있었다.

종영 후 KBS위성1 등 일부 채널을 빼곤 재방영하지 않아 KBS 미디어를 통해 비싼 값을 내고 구매해야 했다가, 2023년 1월 11일부터 유튜브 KBS Drama Classic 채널을 통해 유료로 서비스했으나 2023년 6월 말 이후 전부 내려갔다.

3. 등장인물



[1] CF모델 출신. [2] <TV가이드> 1989년 9권 23호 p34~35 참고. [3] 1990년 5월 20일에 요약편을 방영했다가 27일 재개. [4] 그런고로 하야시 겐조 역의 김영철은 MBC 드라마 사랑해 당신을에 출연했다. [5] 그래서인지 1부 마지막회에서 대역을 투입해 독립군에게 암살당하는 걸로 처리했다. [6] 이미 그는 <TV문학관> '변명'에서도 탁인수 및 마르크 블로크 역을 동시에 맡았다. [7] 실제로는 이규직과 박금련 사이에 태어난 아들. 조민구가 자신이 낳은 죽은 아이와 바꿔치기했음. [8] 후에 야인시대에서 단게 현도스님 역으로 출연. [9] 후에 야인시대에서 김두한의 큰어머니 역으로 출연. 이미 그녀는 TV문학관 사람의 아들(1981)에서 김영철의 애인으로도 나왔다. [10] 후에 불멸의 이순신에서 구키 요시타카 역으로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