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리를 낀 창
자세한 내용은 유리 문서 참고하십시오.말 그대로 유리를 낀 창문이다.
硝子窓
2. 노래
자세한 내용은 硝子窓 문서 참고하십시오.King Gnu의 정규 4집 THE GREATEST UNKNOWN에 수록된 극장판 미스터리라 하지 말지어다의 주제가이다.
3. 정지용의 시
1930년 1월에 『조선지광』 89호에 발표되었고 1935년 10월에 간행된 『정지용시집』에 재수록되었다.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유리창1이 실리기도 했으며, 2020학년도 수능특강 문학편의 첫 페이지를 장식한 작품이다.유리창1
유리(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열없이 붙어 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닥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물 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흔 폐혈관(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산(山)새처럼 날아갔구나!
유리(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열없이 붙어 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닥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물 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흔 폐혈관(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산(山)새처럼 날아갔구나!
유리창2
내어다 보니
아주 캄캄한 밤,
어험스런 뜰앞 잦나무가 자꼬 커올라간다.
돌아서서 자리로 갔다.
나는 목이 마르다.
또, 가까이 가
유리를 입으로 쫏다.
아아, 항 안에 든 금붕어처럼 갑갑하다.
별도 없다, 물도 없다, 쉬파람 부는 밤.
소증기선처럼 흔들리는 창.
투명한 보랏빛 누뤼알 아,
이 알몸을 끄집어내라, 때려라, 부릇내라.
나는 열이 오른다.
뺌은 차라리 연정스레히
유리에 부빈다. 차디찬 입맞춤을 마신다.
쓰라리, 알연히, 그싯는 음향-
머언 꽃!
도회에는 고운 화재가 오른다.
내어다 보니
아주 캄캄한 밤,
어험스런 뜰앞 잦나무가 자꼬 커올라간다.
돌아서서 자리로 갔다.
나는 목이 마르다.
또, 가까이 가
유리를 입으로 쫏다.
아아, 항 안에 든 금붕어처럼 갑갑하다.
별도 없다, 물도 없다, 쉬파람 부는 밤.
소증기선처럼 흔들리는 창.
투명한 보랏빛 누뤼알 아,
이 알몸을 끄집어내라, 때려라, 부릇내라.
나는 열이 오른다.
뺌은 차라리 연정스레히
유리에 부빈다. 차디찬 입맞춤을 마신다.
쓰라리, 알연히, 그싯는 음향-
머언 꽃!
도회에는 고운 화재가 오른다.
총 두 개의 시가 존재한다. 이중 《유리창 1》에서 '늬' 라고 불리는 존재가 어릴 적 병으로 죽은 그의 아이라는 말이 있다. 정확히는 그의 첫 딸 아이[1] 와 관련된 시인데, 보통 시에서 '늬' 는 아들로 해석되며 시가 말하는 건 아들을 잃은 슬픔이라 알려져 있지만 첫 딸 아이를 기리기 위한 시라는 설이 있다.[2] 아이가 어린 나이에 폐 결핵으로 죽었기 때문이라고.[3]
참고로 유리창 1에 산새라는 단어가 있는데, 가운데 ㅅ은 중세국어 관형격조사의 잔재다.
이 중에서 《유리창 1》의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부분은 역설법이 사용된 부분의 예시로 시험에 매우 자주 나온다.
4. Project Moon 세계관의 유리창
자세한 내용은 유리창(Project Moon 세계관)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이름은 '구원' 정지용의 첫 자식이다. 막내 딸이 태어났을 때 정지용이 죽은 딸 아이가 돌아왔다고 기뻐하며 막내딸의 이름을 '구원'으로 지었다는 일화가 있다. 불교신문 기사 참고
[2]
이는 연구자마다 견해가 다른 데, 발표시기를 보아《발열》이 죽은 딸 아이에 대한 시이며《유리창 1》죽은 둘째 아들에 대하여 썼다는 것이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첫 딸의 사망은 1927년인데, 둘째 아이의 사망은 1929년 12월로《유리창 1》의 창작시기인 1929년 12월과 같다.
[3]
그래서 시의 내용 중에 고운 폐혈관이 찢어진 채로~ 하는 말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