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20:56:46

악샤이 벤카테슈

아크샤이 벤카테시에서 넘어옴
<rowcolor=#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1936 파일:핀란드 국기.svg 라르스 알포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더글러스
195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랑 슈바르츠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틀레 셀베르그
1954 파일:일본 국기.svg 고다이라 구니히코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세르
1958 파일:영국 국기.svg 클라우스 로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네 톰
1962 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회르만데르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밀너
1966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 파일:미국 국기.svg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메일
1970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베이커 |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나카 헤이스케 |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 파일:미국 국기.svg 존 톰슨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리코 봄비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멈퍼드
1978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피에르 들리뉴 |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페퍼먼 | 파일:소련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퀼런
1982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콘 |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서스턴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야우싱퉁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도널드슨 | 파일:독일 국기.svg 게르트 팔팅스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프리드먼
1990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본 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시게후미
1994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핌 젤마노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 리옹 |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장 부르갱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리처드 보처즈 |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콘체비치 |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맥멀런 |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 (특별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포르그 |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2006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오쿤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리고리 페렐만 | 파일:호주 국기.svg 테렌스 타오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벤델린 베르너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파일:베트남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응오바오쩌우 |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리크 빌라니
2014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아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만줄 바르가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마르틴 하이러 | 파일:이란 국기.svg 마리암 미르자하니
2018 파일:이란 국기.svg 코체르 비르카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피갈리 |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숄체 | 파일:호주 국기.svg 악샤이 벤카테슈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뒤미닐코팽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메이나드 | 파일:미국 국기.svg 준 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
}}}

<colbgcolor=#000><colcolor=#fff,#dddddd> Akshay Venkatesh
악샤이 벤카테슈
파일:Akshay_Venkatesh.png
출생 1981년 11월 21일 ([age(1981-11-21)]세)
인도 뉴델리
국적
[[호주|]][[틀:국기|]][[틀:국기|]]
학력 스카치 칼리지 ( 졸업) (1994년)
서호주 대학교 ( 수학 / B.Sc.) (1997년)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 수학 / Ph.D.) (2002년)
수상 국제물리올림피아드 동메달(1993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동메달(1994년)
클레이 수학연구소 회원(2004년)
살렘상(2007년)
J.A.우즈상(1997년)
SASTRA 라마누잔상(2008년)
인포시스상(2016년)
오스트로브스키상(2017년)
필즈상(2018년)
업적 정수론, 동역학, 표현론, 산술기하학 등
소속 뉴욕 대학교 쿠란트 수학연구소 교수[1] (2004년 – 2006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2005년 – 2006년, 2018 –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Stanford University (2008 – 2018)

1. 개요2. 생애
2.1. 가족사
3.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호주의 수학자로, 2018년 필즈상을 수상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2]

2. 생애

2.1. 가족사

뉴델리에서 컴퓨터공학 교수였던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2살 무렵에 호주 퍼스로 가족들과 이민을 갔다.

이후 일찍이 영재 기질을 발휘하여 11-12세 무렵 이미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서 메달을 수상했고[3] 1994년 스카치 컬리지를 졸업하여 이른 나이로 서호주 대학교에 입학했다. 여기서도 4년 과정을 3년 만에 졸업하여 1997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에 진학했고 2002년 21세에 피터 사르낙[4] 지도교수 아래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MIT의 C. L. E. Moore instructor에서 연구와 교육을 모두 수행하는 강사 직위로 임용되어 활동했다. 이후 2004년에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연구 교수, 2005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 2006년 스탠포드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2018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임용되어 현재(2021년 10월 28일 기준)까지 재직 중이다.
동역학 정수론을 포함하여 여러 분야에서 광활하게 활동하는 학자이다.

3. 같이보기



[1] Courant Institute of Mathematics Sciences [2] 악샤이 벤카테슈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 https://horizon.kias.re.kr/7579/ [3] 같은 호주 국적 필즈상 수상자이자 대표적인 천재 수학자로 불리는 테렌스 타오 교수도 10살에 메달을 수상했다. [4] 사르낙은 정수론의 대가이며 지도교수는 필즈상을 수상한 폴 코헨이다. 벤카테슈가 수상했으니 일종의 격세유전이라 할 수 있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