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3 16:47:03

심경철

1. 개요2. 상세


1. 개요

1975년 7월 15일 ~ 2001년 1월 15일 (향년 25세)

심경철 의사자는 1998년 목포해양대학교를 졸업하고 2등항해사로 승선 중이던 2001년 1월 15일 거제 남녀도 해상에서 유조선(SK해운) P-하모니의 알 수 없는 폭발사고를 당했다.

2. 상세

2001년 1월 15일 오전 10시경 선원 16명을 태우고 거제남여도 부근 바다를 항해하던 필오션해운 소속 유조선 피하모니(5,500톤)호 는 선수 중앙부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 발생당시 승선하고 있던 선원중 1항사등 4명은 현장에서 사망하고 나머지 12명은 선장의 지시에 따라 구명정을 내렸으나 곧바로 화재로 소멸되버렸다.
불길은 더욱 거세어지고 구명복을 착용한 선원들이 먼저 바다로 뛰어내려야 했으며, 수영도 못하는 여자 실습생 2명과 선장은 구명조끼도 착용하지 못하고 불길은 점점 더 다가와 바다로 뛰어 내려야만 했다.
이 때 심경철 2항사는 자신이 가지고 있던 자기 목숨과도 같은 개인구명장비인 구명부환을 여자 실습생들에게 던져주었고, 여자 실습생들과 선장은 이 구명부환에 의존 40여분 동안 바다에 떠있다 (구조 당시 선장은 실종) 구조되었다. 심경철 2항사는 구명부환을 건네주고 맨 몸으로 바다에 뛰어내려 수영하다가 차디찬 해수에 탈진하여
결국 사망하게 되었다. 이 사고로 16명의 승선원중 9명이 사망하고, 7명이 생존하였다. 2001년 9월 3일 국무총리실 행정심판에서 확정 보건복지부로 부터 해양인으로서는 처음 의사자 확정 인정서를 받았다.

에세이 '1분후의 삶 - 성에에 새긴 이름'에 피하모니 사고 생존자인 여학생 실습생의 에세이가 실렸으며, 고 심경철 2항사자 의사자로 지정받기 에는 생존자들의 증언이 필요했고 아래 당시 생존 실습생 김학실 님의 수기를 발췌하였다.

그해 겨울에는 10년만의 한파가 찾아왔다. 그 무렵 내 소망은 여성 선장이었다. 여성들을 선원으로 태우는 일을 금기시해 온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해운사들에 실습 항해를 익히고 싶다는 지원서를 내던 2000년 여름 무렵에는 이런 금기가 깨지고 있었다. 필오션사가 내 지원을 받아줬다. 행운이 찾아온 것 같았다. 내가 타게 된 배는 유조선인 P-하모니였다. 나는 이제 겨우 스물한 살, 젊디젊은 나이였다. 같은 배에는 다른 여학생(김영은)도 실습 기관사로 타게 되었다. 우리는 8월부터 반 년간 울산과 인천을 오가며 석유를 싣고 부리는 일을 배웠다.

1월 13일은 이창무 선장님이 우리 배를 맡게 된 첫날이었다. 1월 15일이 되자 영하 10도까지 내려갔다. 브리지 유리창에 성에가 끼어 켜를 이루고 있었다. 너무 얼어 손가락으로 그림도 그릴 수 없었다. 배는 순항중이었다. 거제도 해상이 다가왔다. 나는 성에를 다 벗겨내자 해도와 레이더를 번갈아 읽으면서 선장님께 좌표를 불러드렸다. 그러면서 10시가 되고 있었다. 한숨 돌리고 커피를 마셔도 좋을 시간. 그런데 굉음이 터져 나왔다. 고막이 얼얼했고 유조선이 크게 흔들려 몸을 가눌 수 없었다. 다시금 콰쾅! 2차 폭발이 격렬하게 터져 나왔다. 우리 배에 폭발이 일어나다니.

오른쪽 윙 브리지로 나갔더니 선원들이 뛰어 올라오고 있었다. 선장님은 차분하다 못해 냉정할 정도였다. 빠르게 인원 점검을 마치고 나자 주의부터 주었다. “모두들 옷 찾아 입어. 옷 제대로 안 입으면 얼어 죽어.” 급한 게 구명정 내리는 일이었다. 하지만 벌써 바람을 타고 불길이 구명정으로 몰아닥치고 있었다. 다음은 플라스틱 ‘구명 뗏목’이 있었다. 선원들이 금세 안전장치를 풀고 배 뒤의 난간 너머로 던졌다. 구명 뗏목은 활짝 펴졌다. 그런데 파도가 솟구치자, 불길이 물살을 타고 구명 뗏목을 때렸다. 뗏목은 수면에서 쪼개지며 녹아내리더니 형체를 잃어갔다. 모두들 탄식할 힘조차 잃어버렸다. 오로지 선장님만이 자제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모두 물에 뜰 수 있는 건 전부 찾아 띄워!”

수면의 불길은 기름띠를 타고 거침없이 퍼져나갔다. 얼음 같은 바다에 불지옥까지 있다니. “뛰어!” 사람들이 하나둘 바다로 뛰어들었다. 하지만 나와 선장님, 영은이는 구명재킷을 입지 않고 있었다. “헤엄을 못 쳐요. 어떻게 해요.” 선장님은 “나도 못해!” 하고 외쳤다. 그때였다. 둥근 튜브가 바다로 던져졌다. 고개를 들어보니, 심경철 2항해사였다. 나는 아직도 그 얼굴이 잊히지 않는다. 그 역시 구명재킷을 입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튜브를 우리 쪽으로 던져주고는 곧바로 물속으로 뛰어들었다. 그 짧은 시간 양보의 결단을 내리기까지 그의 속에서 도대체 무슨 생각들이 오갔을까.

내 속에서 누군가가 말했다. 이제는 운항 실습이 아니라고. 연습 없이 태어나듯 생존에는 실습이 없다고. 나는 몸을 내던졌다. 영은이가 먼저 튜브를 잡았고, 나를 끌어당겼다. 그리고 선장님이 튜브로 다가왔다. 그날 바닷물은 섭씨 7도. 15분 이상 살아남을 가능성은 희박했다. 그 안에 배가 올까. “아아, 뜨거워, 뜨거워 죽겠어.” “저쪽으로 옮겨 가자.” 영은이가 말했다. 팔이 수면으로 들어가면 한기에 적셔지고, 수면에서 나오면 열기에 달궈졌다. 선장님은 날숨이 길었다. 힘이 드시는 거야. 선원들을 위해 얼마나 신경을 썼던가. 그는 지쳐가면서도 기품을 잃지 않았다. “자, 조금만 더 참자. 저기 배가 우리를 향해 올 거야.” 사고 소식을 듣고 정지하고 있는 배들이 멀리 눈에 들어왔다.

“자, 실항사, 이제는, 얼마 남았나?” 선장님이 숨을 몰아쉬며 말했다. “5마일 남았습니다.” 우리는 언제 생명이 끝나더라도 의무를 다하려고 했던 것 같다. 선장님이 잠시 후 다시 묻자 나는 3마일 남았다고 했다. 그러나 사실은 배는 오지 않고 있었다. 우리 튜브가 거기로 아주 조금씩 밀려가고 있을 뿐. “아아.” 선장님이 신음을 내뱉듯이 말했다. “나는 이제 안 될 것 같다. 정말 힘이 다한 것 같아.” 영은이의 목소리가 높아진 건 그때였다. “앗, 저기 왔어요. 구명정이에요.” 우리는 생존자 가운데 마지막으로 구명정을 맞았다. 물에 뛰어들고 40분이 지나고 있었다.

배는 손닿는 대로 영은이부터 건져 올렸다. 그리고 5분쯤 지나 다시 와 나를 끌어올렸다. 구명정은 한 바퀴 선회해서 우리 자리로 다시 헤쳐갔다. 그러나 선장님이 떠 있어야 할 그곳에는 튜브만 남아 있었다. 불길한 생각에 머릿속이 새까맣게 되었다. 우리는 고개를 흔들었다. 그럴 리가 없어. “선장님!” 잠시 물에 잠기셨을 거야. 우리는 몇 번이고 근처 바다를 돌면서 선장님을 불렀다. 떠오르실 줄 알았는데. 가라앉는 배와 운명을 함께 하시다니. 조금 전까지 내 곁에서 해준 말씀이 귀울림이 되어 맴돌았다. ‘자, 조금만 더 참자. 저기 배가 우리를 향해 올 거야.’ ‘실항사, 이제 얼마 남았나?’

병원에서 나는 다시 가슴 아픈 전갈을 받아야 했다. 우리에게 튜브를 던져주었던 2항사님이 끝내 숨지고 말았다고. 이제 겨우 스물여섯일 뿐인데. 그래도 나는 울지는 않으려고 했다. 그러면 정신을 잃고 무너져버릴 것 같았다. 주위에는 슬픈 일들이 너무 많았다. 16명의 선원 가운데 9명이 돌아가시고, 7명만이 살아남았다. 눈물이 내 뺨을 타고 주르륵 흘러내렸다. 나는 그 뜨거운 것을 손으로 닦아냈다. 삶에는 실습이 없었다.

병실의 유리에는 아침마다 성에가 무서리 내린 잎사귀처럼 피어났다. 나는 성에 낀 유리창에 손가락을 갖다 댔다. 하늘나라의 아버지는 그분들을 만나고 계시겠지. 감사합니다. 우리 딸을 구해주셔서. 나 대신 인사드리고 계시겠지. 나는 어느 결엔가 성에 위에 이름들을 새기고 있었다. 이창무. 그리고 심경철. 그분들은 아버지와 함께 나를 내려다보고 있을 거야. 그분들을 대신해서라도 값지게 잘살아야 해. 나는 병실 벽의 달력을 쳐다보았다. 사고가 난 날. 1월 15일. 그 숫자 아래에는 음력 12월 31일이라고 쓰여 있었다. 내 음력 생일이었다. 스물한 해 전에 내가 태어났던 날. 그리고 이제 나는 다시 태어났다. 성에에 새겨진 투명한 이름 너머로 봄의 희미한 기운이 찾아오고 있었다.

2006.10. 31 해운산업신문 의사자 심경철 추모비 제막식
2006.11.06 해사신문 "아들은 가슴에 묻었지만 숭고한 뜻은 영원할 것"
2017.11.30 중앙보훈방송 심경철 의사자, 국립대전현충원 12월의 현충인물
2017.12.12 해사신문 해양인 최초 의사자 심경철 “이달의 현충인물”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