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4 21:52:07

신다린/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신다린
1. 개요2. 관사
2.1. 정관사 자음 변동
3. 대명사
3.1. 인칭대명사
3.1.1. 주격 및 강조형3.1.2. 소유격 3.1.3. 목적격3.1.4. 전치사 an과의 융합 형태3.1.5. 소유격 어미
4. 명사
4.1. 수
4.1.1. 복수형 파생 규칙4.1.2. 불규칙 복수
4.1.2.1. o불규칙 복수4.1.2.2. ai 불규칙 복수4.1.2.3. u 불규칙 복수4.1.2.4. 그외의 불규칙 형태
4.1.3. 집합 복수
5. 동사
5.1. 현재형5.2. 미래형5.3. 과거형
5.3.1. I동사 강변화5.3.2. I동사 약변화5.3.3. A동사 약변화
5.4. 명령형5.5. 분사5.6. 부정사5.7. 동명사5.8. 수동태
6. 형용사

1. 개요

들어가기에 앞서, 완전한 신다린 문법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톨킨이 신다린 문법을 정리하여 출판한 적이 없기도 하거니와, 현존하는 신다린 자료들이 완전한 형태의 문법을 구축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신다린은 유형적으로 굴절어에 속하며, 음운과 문법적인 측면에서 현실의 켈트어, 게르만어와 상당히 유사하다. 그중에서도 웨일스어와의 연관성이 흔히 지적되곤 한다.

2. 관사

신다린에는 정관사만 있고 부정관사는 없다. 정관사의 단수형은 i, 복수형은 in인데, 집합복수 또한 복수로 취급하기 때문에 정관사는 in을 사용한다. 단복수 형태가 동일한 명사에서는 관사로 수를 파악해야 한다.
신다린 영어 한국어
edhel elf (= an elf) 요정
i edhel the elf 그 요정
in edhil the elves 그 요정들
in Edhelrim all elves 모든 요정들, 요정 일족 전체
i ithil the moon 그 달
in ithil the moons 그 달들

2.1. 정관사 자음 변동

관사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위치하게 되면, 관사는 자음변동을 유발한다. 이때, 단수 정관사 i와 복수 정관사 in은 각기 다른 변동을 유발한다.

단수 정관사 i는 대개 유성음화를 유발한다.[1]
변동 전 변동 후 예시
p b perian(반인족, 호빗)>i berian(그 반인족, 호빗)
t d tawar(숲)>i dawar(그 숲))
c g cabed(도약)>i gabed(그 도약)))
b v barad(탑)>i varad(그 탑)
d dh daw(어둠)>i dhaw(그 어둠)
m v minas(탑, 도시)>i vinas(그 탑, 도시)
h ch hammad(옷) >i chammad(그 옷)
s h salph(죽) > i halph(그 죽)
g ø galadh(나무)>i 'aladh(그 나무)[2]
hw chw hwest(산들바람)>i chwest(그 산들바람)

자음 n, r, l, f, th은 변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쉽게도, rh, lh에 대한 연음화는 알려지지 않았다. 톨키니스트들이 기존의 연음 현상과 고대 신다린을 통해 유추할 뿐.
변동 전 변동 후 예시
rh ?thr/?r rhaw(살, 육체)>i ?thraw, i ?raw
lh ?thl/?l lhûg(뱀, 벌레)>i ?lhûg, i ?lûg

복수 정관사 in은 비음화를 유발한다. 그러곤 -n은 자음 변동에 먹혀버린다! i barad(그 탑)을 복수로 표현한다면, *in beraid(그 탑들)>*in meraid>i meraid의 과정을 거치는 것. 결국 외관상으로는 단수 정관사 i와 다를 바가 없어지고 만다. 수식하는 명사가 복수활용 + 비음화로 단수형과 더 괴리감이 생기는 것은 덤.
변동 전 변동 후 예시
p ph perian(반인족, 호빗)>i pheriannath(반인족 전체)
t th tawar(숲)>i thewair(그 숲들)
c ch cabed(도약)>i chebid(그 도약들)
b m barad(탑)>i meraid(그 탑들)
d n daw(어둠)>i noe(그 어둠들)
h ch hammad(옷) >i chemmaid(그 옷들)
hw 'w hwest(산들바람)>i 'west(그 산들바람들)[3]
g ng galadh(나무)>i ngelaidh(그 나무들)

그러나 d-, g-가 dr-, gr-, gw-와 같은 어두 자음군에서 나타난다면, 비음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관사 in도 변형하지 않은 채 남아있게 된다.
변동 전 변동 후 예시
dr dr draug(늑대)>in droeg(그 늑대들)
gr gr grond(망치, 그론드)>in grond(그 망치들)

f, l, m, n, r, s, th는 비음화를 동반하지 않는다. 다만 정관사는 i로 축약된다.
변동 전 변동 후 예시
l l lam(혀)> i laim(그 혀들)
m m minas(탑)>i minais(그 탑들)
s s salph(죽)>i selph(그 죽들)

한편, r-로 시작하는 복수 명사는 idh라는 특수한 정관사를 동반하기도 한다. rh-가 idh를 동반할 수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자음 예시
r rem(그물)> idh rim(그 그물들)
rh rhaw(살, 육체)>?idh roe(그 살들, 그 육신들)

연음화에서와 마찬가지로, rh와 lh의 비음화는 확정된 내용이 거의 없다. 복수형의 경우 정관사의 변형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더욱 알 길이 없다.[4]
변동 전 변동 후 예시
lh- ?l-, ?lh-, ?thl- lhûg(뱀, 벌레)> i ?luig, i ?lhuig, i ?thluig
rh- ?r-, ?rh-, ?thr- rhaw(살, 육체)>i ?roe, i ?rhoe, i ?throe

3. 대명사

3.1. 인칭대명사

신다린의 인칭대명사는 성과 수에 따라 구분하며, 격에 따라 주격, 소유격, 목적격으로 활용한다. 주격은 강조형을 가진다. 신다린은 별도의 여격 인칭대명사를 두지는 않지만, 전치사 an과 융합된 형태의 대명사도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퀘냐에서 흔히 보이는 인칭어미는 신다린에서는 몇 가지 용례에서만 드물게 확인된다.

톨킨은 완성된 형태의 신다린 인칭대명사표를 저술하지 않았다. 다음에 명시된 내용 중 *는 후대의 톨키니스트들이 재구한 형태이다.

3.1.1. 주격 및 강조형

주격 인칭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ni
2인칭 격식 [5][6] le *le
비격식 ci *ci
3인칭 남성 ho *hy
여성 he *hi
사물 ha *hai

또한 주어의 의미를 보다 강조하는 강조형 인칭 대명사도 존재한다. 강조형 인칭 대명사 또한 단수형태밖에 알려지지 않았다.
인칭 단수
1인칭 im
2인칭 격식 -
비격식 ech
3인칭 e, est

3.1.2. 소유격

소유격 인칭대명사는 형용사처럼 피수식어의 뒤에 위치한다.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nîn mîn
2인칭 격식 lîn lîn
비격식 *cîn *cîn
3인칭 - tîn *tîn
재귀법 în *în

3.1.3. 목적격

목적격 인칭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nin men
2인칭 격식 le le
비격식 *cen *cen
3인칭 남성 *son *syn
여성 *sen *sin
사물 *san *sin
재귀법 *in *in

3.1.4. 전치사 an과의 융합 형태

본래 신다린에서 여격은 별도의 형태를 두지 않으며, 직접목적어와 동일한 형태로 표현한다. 하지만 전치사 an(~에 대해)을 이용하여 여격을 표현하는 용법이 널리 쓰이면서, an과 인칭대명사의 융합형태가 등장하였다. [7]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enni ammen
2인칭 격식 le le
비격식 *achen *achen
3인칭 남성 *asson *assyn
여성 *assen *essin
사물 *assan *esain
재귀법 *enin *enin

3.1.5. 소유격 어미

퀘냐와 마찬가지로, 신다린에도 소유격 어미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퀘냐와는 다르게, 신다린에서 소유격 어미는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그것도 상당히 고착화된 형태로 몇몇 단어에서만 발견된다. 단적인 예로 lammen(내 혀)와 같은 단어는 lam+en으로 단순히 해석되지 않으며, 고대 신다린 *lambë까지 들춰야 겨우 어형이 파악되는 케케묵은 단어이다.
이처럼 신다린에서 소유격 어미는 거의 생산성이 없는 문법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톨키니스트들이 정리한 형태는 존재한다.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e)n -m(ir)/*-nc
2인칭 격식 -l -lir
비격식 -g -gir
3인칭 -d -nt

4. 명사

퀘냐에서처럼, 신다린 명사는 자연성을 가지는 일부 명사를 제외하곤 문법적 성을 구분하지 않는다.

4.1.

신다린 명사에는 단수, 복수가 있고, 또한 일부 명사에 한하여 제2 복수(2nd plural), 혹은 집합형태(collective number)도 있다. 명사의 단수 형태는 다양한 활용규칙에 따라 복수 형태로 변형한다. 이 규칙에는 예외가 많기 때문에, 톨킨이 자료에서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은 이상, 명사의 단복수 형태를 완벽히 유추하기가 불가능하다.

4.1.1. 복수형 파생 규칙

신다린 명사의 복수형은 대체로 움라우트, 혹은 전설 모음화 현상에 기반한다. [8]
이 움라우트 현상은 신다린의 통시적 변화의 결과물이다. 고대 신다린에서 복수형 어미는 단순히 –i에 의해 실현되었다.(*aran+i>arani)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간 모음에서는 이 어미 –i에 의해 움라우트 현상이 일어났다.(*eraini) 후대에 들어서 이 어미 –i는 소실되고 말았는데, 어간 모음은 여전히 변형된 형태로 남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어간 모음의 변화만이 유일한 복수형 지표로 남게 된 것.(erain) [9]
어간 모음 교체 현상은 말음절과 비(非)말음절에서 모두 일어나며, 음운 환경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진다.

말음절에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변화 전 변화 후 예시 비고
a ai adan(사람) > edain(사람들, 에다인) a+자음
e narn(영웅담) > nern(영웅담들) a+유음과 마찰음을 포함하는 자음군
ei alph(백조) > eilph(백조들)
â ai tâl(발) > tail(발들)
e, ê i, î hên (아이) > hîn (아이들)
o y orch( 오르크) > yrch(오르크들)
e orod(산) > ered(산들, 산맥) [10] 몇몇 단어에 한한다.
ó, ô ý, ŷ thôn (소나무) > thŷn (소나무들)
u y urug(두려운 것) > yryg(두려운 것들)
û ui hûl(전투의 함성) > huil(전투의 함성들)
y y ylf(술잔) > ylf(술잔들) 변하지 않는다.
au, aw oe draug(늑대) > droeg(늑대들)
aea ei aear(바다) > eir(바다들)
ie i miniel( 바냐르의 신다린 명칭) > minil
io y thalion(영웅) > thelyn(영웅들)

비말음절에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변화 전 변화 후 예시 비고
a e barad(탑)) > beraid(탑들)
o e orod(산) > ered(산들, 산맥)
u y tulus(포플러나무) > tylys(포플러나무)
e e edhil(요정) > edhil(요정들) 변하지 않는다.
i i ithil(달) > ithil(달들)
y y

4.1.2. 불규칙 복수

당연하게도, 불규칙 복수 형태가 존재한다. 이들은 대부분 신다린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생겨난 형태들이다.
4.1.2.1. o불규칙 복수
복수파생 규칙에 따르면 말음절의 -o-는 -y-가 되어야 하지만, 그대로 o를 유지하는 복수형태들이 존재한다. 이 경우, 말음절에 적용되어야 할 복수파생 규칙은 대신 뒤에서부터 두 번째 음절에 적용된다. 즉, magor(검사)의 복수형은 *megyr가 아닌 meigor가 되어야 한다는 것.

대표적인 o불규칙 명사들은 다음과 같다.
단수 복수
badhor(판결) beidhor(판결들)
dagor(전투) deigor(전투들)
glomor(메아리) gleimor(메아리들)
hador(투수) heidor(투수들)
ivor(수정) ivor(수정들)
magol(칼) meigol(칼들)
nagol(이빨) neigol(이빨들)
naugol(난쟁이) noegol(난쟁이들)
nadhor(목초지) neidhor(목초지들)
tathor(버드나무) teithor(버드나무들)
tavor(딱따구리) teivor(딱따구리들)
tegol(펜) tigol(펜)
gollor(현자) gyllor(현자들)

말음절의 -o-를 마치 없는 것처럼 취급하고 파생규칙을 적용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고대 신다린에서는 정말 o가 없었기 때문. magor(검사)의 원시형은 *magr였는데(*magr>*meigr), 신다린의 음운구조에 변화가 일어나며 후대에 모음 o가 삽입된 것이다.(magor>meigor)
4.1.2.2. ai 불규칙 복수
본래 말음절의 ai는 변하지 않아야 하지만, -î-나 -y-으로 변하는 형태들이 존재한다. 이는 이 단어들이 과거에는 -e-나 -y-를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cair(배)의 형태가 원시 요정어에서는 *KIR, 고대 놀도린에서는 *ceir였기 때문에, [11] cîr(배들)이라는 형태가 등장하는 것.
단수 복수
cai(울타리) cî(울타리들)
cair(배) cîr(배들)
fair(필멸자) fîr(필멸자들)
fair(오른쪽, 오른손) fyr(오른손들)
paich(즙, 주스)) pich(주스들)
rain(발자국, 흔적) rýn(흔적들)
tellain(발바닥) tellyn(발바닥들)
4.1.2.3. u 불규칙 복수
o불규칙 복수와 마찬가지로 u불규칙 복수 또한 어미 -u를 그대로 보존하고 뒤에서부터 두 번째 음절부터 복수 파생 규칙을 적용한다. 이 -u 또한 고대 신다린에서 모음이 아닌 자음 -w였기 때문에, 파생 규칙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다.
단수 복수
anu(남성) einu(남성들)
celu(원천, 근원) cilu(원천들, 근원들)
coru(꾀, 교활함) cyru(꾀들, 교활함들)
gwanu(죽음) gweinu(죽음들)
hithu(안개) hithu(안개들)
pathu(초원, 벌판) peithu(초원들)
tinu(불꽃) tinu(불꽃들)
4.1.2.4. 그외의 불규칙 형태
움라우트로 복수형을 파생하지 않고, 어미를 통해 복수형을 만드는 단어들도 존재한다.
단수 복수
ael(호수) aelin(호수들)
el(별) elin(별들)
naugol(난쟁이) nauglin(난쟁이들)[12]
ôl(꿈) ely(꿈들)
thôr(독수리들) theryn(독수리들)

말음절이 o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조금 다르게 활용하는 몇몇 명사들도 있다. 이것 역시 신다린의 변천사에 기반한다.
단수 복수
maethor(전사) maethoer(전사들)
halthor(수호자) halthoer(수호자들)

또한 상기한 법칙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완전히 불규칙적인 복수형태도 존재한다.
단수 복수
fela(동굴) fili(동굴들)
thela(창끝) thili(창끝들)

한편 고전 신다린에는 포함되지 않는, 수많은 신다린 방언들에 의한 불규칙적인 형태도 다수 존재하였다. 특히 인간들이 사용하는 신다린에서 그 변화가 심했다고 한다. curu(기술)의 복수형은 u불규칙 복수 법칙에 의해 *cyru가 되어야 할 것 같지만, 인간들은 cyry(기술들)라는 형태를 대신 사용했다고 한다.

4.1.3. 집합 복수

집합 복수는 ‘어떤 대상 전체’를 의미한다. Naug(난쟁이)의 일반 복수형 Noeg는 난쟁이 두 명, 100명이 될 수도 있지만 집합 복수형 Naugrim은 난쟁이족 전체를 가리키는 명칭이 되는 것이다.

집합 복수은 어미에 의해 형성된다. 주요한 어미로는 –ath이 있고, 그 외에 –rim, -hoth, -lir 등이 제한적으로 쓰인다.
어미 예시 의미
-ath elenath(모든 별들), ionnath Elrond(엘론드의 모든 아들들) 가장 흔하게 쓰이는 어미.
-rim Rohirrim(로한 사람, 로히림
), hadhodrim, nogothrim(난쟁이족)
전체 중 특히 종족, 일족의 의미.
-hoth glamhoth(두려운 무리, 오르크 무리) 부정적인 의미의 무리.
-lir aeglir(산등성이, 산맥), Hithaeglir( 안개산맥) 줄지은 것.

5. 동사

신다린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 태, 상에 따라 활용되며, 형태 및 활용 양상에 따라 크게 I동사A동사로 구분한다.

I동사는 가장 원시적이고 기초적인 형태의 동사이며, 활용하는 과정에서 연결 모음 -i-가 삽입되기 때문에 I동사로 불린다. 한편 A동사는 파생형 동사들이다. 이들은 모두 -a로 끝나는 동사형 파생 어미를 가지기 때문에 A동사라고 불린다.
동사 유형 예시
I동사 cab-(뛰어오르다), ped-(말하다), tol-(오다)
A동사 linna-(노래하다), muda-(일하다), maetha-(싸우다)

5.1. 현재형

동사의 현재형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I동사 A동사
ped-(말하다) tol- (오다) linna- (노래하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1인칭 포함 pedin pedinc telin telinc linnon linnanc
배제 pedim telim linnam
2인칭 격식 *pedil *pedilir *telil *telilir *linnal *linnalir
비격식 pedig pedigir telig teligir linnog linnagir
3인칭 pêd pedir tôl telir linna linnar
무인칭 3인칭과 동일
동사의 현재형은 동사 어간 + (연결 모음 i) + 인칭 어미의 꼴을 갖는다. 비교적 규칙적인 변화를 보이지만, 다음과 같은 음운적 변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신다린 동사는 인칭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주어를 빈번하게 생략한다. 하지만 주어가 별도로 언급되었다면, 동사에서는 인칭정보가 생략되어야 한다. 즉, 무인칭 형태가 쓰인다. 무인칭 단수, 복수 형태는 3인칭 단수, 복수와 동일하다.

5.2. 미래형

동사의 미래형 어간은 미래형 어미 -tha-를 통해 파생한다. -tha-는 I동사의 부정사형과, A동사의 동사 어간과 결합하여 미래형 어간을 구성한다.
미래형 어간은 어미 -tha에 의해 무조건 -a로 끝나므로, 동사 미래형의 활용은 A동사의 활용과 동일하다.
ped-(말하다) linna- (노래하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1인칭 포함 pedithon pedithanc linnathon linnathanc
배제 peditham linnatham
2인칭 격식 pedithal pedithalir linnathal linnathalir
비격식 pedithog pedithagir linnathog linnathagir
3인칭 peditha pedithar linnatha linnathar

5.3. 과거형

동사의 과거형 어간은 현재형 어간에서 강변화 혹은 약변화로 파생한다. 강변화하는 동사들은 동사 어간에서 강한 굴절이 일어나며, 약변화하는 동사들은 동사 어간에 과거형 어미가 붙는다. 역사적으로 강변화는 더 오래되고 까다로운 방식으로 인식되었다. 그리하여 후대 신다린에서는 약변화가 강변화를 점차 대체하기 시작하였으며, 같은 동사에 강변화형과 약변화형이 공존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I동사는 강변화하거나 약변화하며, A동사는 오로지 약변화한다.

5.3.1. I동사 강변화

5.3.2. I동사 약변화

5.3.3. A동사 약변화

A동사는 오로지 약변화한다. A동사의 과거형을 파생할 때는 의미상의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해야 한다. 자동사 과거형 어미는 -s, 타동사 과거형 어미는 어미 -nt이다.
이 어미 -s, -nt는 이후 인칭 어미가 붙게 되면 그 형태가 변한다.
한편, 어간에 -nn-을 포함하는 타동사의 경우, 인칭 어미에 의한 과거형 어미의 변이가 발생할 때 발음 상의 편의를 위해 강한 축약이 일어난다.
A동사 약변화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원형 어간 muda-(일하다) maetha- (싸우다) linna-(노래하다)
과거형 어간 mudas-(일했다) maethant- (싸웠다) linnant-(노래했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1인칭 포함 mudassen mudassenc maethannen maethannenc linnnen linnenc
배제 mudassem maethannem linnem
2인칭 격식 mudassel mudasselir maethannel maethannelir linnel linnelir
비격식 mudasseg mudassegir maethanneg maethannegir linneg linnegir
3인칭 mudas mudasser maethant maethanner linnant linner

5.4. 명령형

I동사의 명령법은 동사 어간에 어미 -o를 붙여 형성한다.
동사 어간 ped- (말하다)
명령법 pedo
A동사의 명령법은 동사 어간의 -a를 -o로 바꾸어 형성한다.
동사 어간 linna- (노래하다)
명령법 linno

5.5. 분사

5.6. 부정사

i동사는 동사 어간에 어미 -i를 붙인다. 직설법과 마찬가지로 어간 모음은 전설화된다.
동사 어간 ped-(말하다) nor-(달리다)
부정사 pedi neri
a동사는 동사 어간의 -a를 -o로 바꾼다. 즉, 명령법의 형태와 동일하다.
동사 어간 linna- (노래하다)
부정사 linno

5.7. 동명사

i동사는 동사 어간에 어미 -ed를 붙인다.
동사 어간 ped-(말하다) nor-(달리다)
동명사 peded nared
a동사의 동명사형은 동사 어간에 어미 -d를 더하여 만든다.
동사 어간 linna- (노래하다)
동명사 linnad

5.8. 수동태

6. 형용사


[1] 엄밀히 말하여 유성음화는 아니다. 이미 유성음인 자음이 조음 위치만 바뀌거나,(m>v) 무성음에서 무성음으로 바뀌는 경우,(h>ch) 그리고 직관적으로 유성음화가 일어날 것 같은 자음이 멀쩡히 불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f>f) 어디까지나 자의적으로 이루어지는 불규칙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때문에 연음화라는 다소 모호한 표현이 선호되기도 한다. [2] 탈락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를 사용한다. 음가를 가지지는 않는다. [3] i aladh를 i 'aladh로 표기하는 이유와 동일. [4] 여담으로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의 언어 자문을 맡은 언어학자 데이비드 살로는 lh>*l, rh>*r설을 지지하였다. [5] 재미있게도, 상위어인 퀘냐와 유사하다. [6] 도리아스에서는 고어에 해당하는 단수형 de와 복수형 dhe가 널리 쓰였다고 한다. [7] 웨일스어 아일랜드어에서도 비슷한 융합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i(~에게) + ni(우리)) > inni(우리에게, 웨일스어) an(~에게) + men(우리) > ammen(우리에게, 아일랜드어) 심지어 ammen은 의미까지 완벽하게 일치한다! [8] 어학에 조예가 깊었던 놀도르 요정들 또한 이를 잘 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이 현상을 모음의 변화, 즉 프레스탄네스(prestanneth)라고 이름 붙였다. [9] 놀랍게도, 이는 영어, 독일어 등 현실의 게르만어군에서 돋보이는 움라우트 현상의 연원과 정확히 일치한다. mouse가 mice로, tooth가 teeth로, goose가 geese로 활용되는 원리가 바로 그것. 언어학자 톨킨의 면모가 돋보이는 대목이다. [10] eryd라는 규칙적인 복수형태도 존재하지만, 에레드 루인, 에레드 리수이 등 톨키니스트들에게는 ered형이 더 익숙할 것이다. [11] 참고로 고전 퀘냐에서는 cirya이다. [12] o불규칙 복수에서 보았듯이, naugol의 고형인 *naugl의 흔적이 남아있는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