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23:43:32

수학자/목록/1981-1990년 출생

1. 개요

수학자중 1981-1990년에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

2. 목록

<rowcolor=white> 이름 출생 년도 주요 업적 주요 수상 내역[1]
콘스탄티노스 다스칼라키스 1981 내시 균형의 계산 복잡성, 최소 3명의 플레이어가 있는 게임에서 내시 균형을 찾는 것이 복잡도 종류 PPAD에 대해 완전하다는 것을 보임 2018년 IMU 주판 메달
스콧 조엘 아론슨 1981 PostBQP[2] = PP[3]임을 증명, 보손 샘플링(Boson sampling), Algebrizing proof로는 P-NP 문제를 증명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증명
악샤이 벤카테시 1981 5 이상의 여차원에 대해서 ℤ 위의 이차 형식을 이차 형식으로 표현하는 문제에 대해 하세 원리(국소-대역 원리)가 적용됨을 증명, SL(3, Z)\\SL(3, R)에서 주기적 토러스 궤도의 고른 분포(equidistribution)를 증명[4], 일반적인 수체 위에 GL(1) 및 GL(2) L-함수에 대한 subconvexity 문제 해결 2007년 살렘상, 201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8년 필즈상
니틴 삭세나 1981 AKS 소수판별법 2006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시몬 브렌들 1981 모든 등각 클레스와 임의의 초기 계량에 대한 야마베 흐름의 수렴을 증명, 미분 가능한 구(Sphere) 정리, 강성에 대한 Min-Oo의 추측에 반례 제시, 로손 추측 증명 2014년 보셰 기념상, 2017년 페르마상, 2024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장웨이[5] 1981 대역(global)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에 대한 심층 연구 및 함수체 사례에서 L- 함수의 더 높은 도함수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의 발견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9년 클레이 연구상
쉬천양[6] 1981 K-안정 파노 다양체의 모듈라이에 대한 대수 이론과 K-안정성을 사용하여 최소 모델 프로그램의 특이점에 관한 접근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게오르디 윌리엄슨 1981 루스티그 추측의 반례 발견, 대칭군에 대한 고든 제임스의 추측에 대한 반례 발견, 소르겔 쌍가군(Soergel bimodules)에 대한 호지 이론의 개발과 일반 콕서터 군에 대한 카즈단-루스티그 추측의 증명을 포함한 기하학적 표현론의 선구적인 작업 2016년 클레이 연구상,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시 첸[7] 1981 복잡한 가중치를 갖는 CSP 계산의 복잡성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윈즈웨이[8] 1982 대역(global)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에 대한 심층 연구 및 함수체 사례에서 L- 함수의 더 높은 도함수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의 발견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아론 나베르 1982 기하적 해석학 및 리만 기하학 작업을 위해 특히 Ricci 곡률 경계가 있는 다양체의 미해결 문제를 해결 하기위한 강력한 새 기술을 도입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페르마상
주신원[9] 1982 시무라 대수 다양체 이론 및 p-진 대수 다양체에 대한 리만-힐베르트 문제에 관한 응용을 포함하는 산술 대수 기하학의 연구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앨런 머리 슬라이 1982 블록 모델 임계값 추측(block model threshold conjecture) 증명[10], 신뢰전파, 강력한 재구성 및 블록 모델의 최적 복구[11], 큰 k에 대한 만족도 추측 증명[12], 무작위 정규 그래프에서 최대 독립 집합[13], 다항식 시간의 정사각형 격자 혼합에 대한 이징모형의 임계값[14], 격자에서 이징 모델에 대한 컷오프[15] 2019년 루에브상
빈센트 필로니[16] 1982 더 높은 히다 이론(higher Hida theory)의 도입 및 개발을 통해 p-adic 모듈러 형식의 산술 기하학에 대해서 공헌함 2021년 페르마상
바르가브 바트 1983 프리즘 코호몰로지, 가환 대수학 및 산술 대수 기하학, 특히 p-진 코호몰로지 이론의 개발에 대한 탁월한 연구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클레이 연구상
박진영 1982 칸-칼라이 추측 증명
제이슨 피터 밀러 1983 가우스 자유장(Gaussian free field) 분야에서 슈람-뢰브너 진화를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imaginary geometry를 도입, 측도가 부여된 무작위 곡면의 두 가지 모델인 리우빌 양자 중력과 Brownian map이 동등하다는 것을 증명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23년 페르마상
벤저민 일라이어스 1983 Soergel bimodules에 대한 호지 이론의 개발과 일반 콕서터 군에 대한 카즈단-루스티그 추측의 증명을 포함한 기하학적 표현론의 선구적인 작업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허준이 1983 호지 이론을 조합론에 끌어옴, 기하적 격자에서 다우링-윌슨 추측의 증명, 매트로이드에서 헤론-로타-웰시 추측의 증명, Lorentzian 다항식의 개발, 강한 메이슨 추측의 증명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2년 필즈상
알레시오 피갈리[17] 1984 연속성이 없어도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해가 소볼레프 형태의 두 번 미분가능성을 가짐을 보였고 이를 통해 세미지오스트로픽 방정식[18]이 의미있는 해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 최적운송사상을 통해 일반적인 크리스탈의 모양의 정량적인 안정성을 보임, 5 이하의 차원의 경계 반응 항(boundary reaction terms)에 대한 데 조르지의 추측을 증명 2018년 필즈상
이반 재커리 코윈[19] 1984 KPZ 방정식과 universality class[20], 두 개의 상호 작용하는 입자 시스템 q-TASEP와 ASEP에 대한 쌍대 관계를 증명[21], 프로호퍼-스폰(Prähofer-Spohn) 추측 증명[22], 에어리 라인 앙상블에 대한 브라운 기브스 성질[23] 2021년 루에브상
마리나 세르지브나 비아조프스카 1984 8차원과 24차원에서 케플러의 추측 해결 2016년 살렘상,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9년 페르마상, 2022년 필즈상
마크 브레이버먼 1984 대화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정보이론을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인 정보 복잡성 이론을 개발함 2022년 IMU 주판 메달
카이사 마토마키[24] 1985 곱셈 함수 값의 국소 상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근본적인 돌파구를 제공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위고 뒤미닐코팽 1985 육각 격자의 연결 상수(Connective constant) [math(\mu=\sqrt{2 + \sqrt{2}})]임을 증명, 2차원 포투인-케스텔라인(Fortuin-Kesteleyn) 침투 모형에 대해 예측되어 온 대로 q>4 일 때 이 상전이가 불연속임을 그리고 q≤4 일 때 상전이가 연속임을 증명했다, 포투인-케스텔라인 침투 모형의 장론적 회전대칭성, 즉 두 격자점이 열린 군집으로 연결될 확률이 격자가 촘촘해질수록 두 점 사이 거리에 의해서만 정해진다는 결과를 발표함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7년 루에브상, 2022년 필즈상
트리스탄 벅마스터[25] 1985 3차원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한 해(weak solution)가 유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는 약한 해 클래스에서 유일하지 않음을 증명[26] 2019년 클레이 연구상
아나 카라아니 1985 랭글랜즈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변혁적 기여, 특히 시무라 대수 다양체 및 그 응용에 대한 호지-테이트 주기 사상의 기하학에 대한 기본적 결과를 페터 숄체와 함께 설립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애미 머피 1986 사교 기하학과 접촉 기하학에 대한 기여, 특히 loose 르장드르 부분 다양체(Legendrian submanifold) 개념과 매튜 스트롬 보먼 및 야코프 옐리아시베르크와 함께 더 높은 차원에서 overtwisted contact structures 도입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필립 이셋 1986 오일러 방정식의 소산(dissipation)에 대한 온사가의 추측 해결 2019년 클레이 연구상
제임스 메이너드 1987 소수 간극의 하극한이 유한한 수인 600보다 작다는 것을 증명, 에르되시-랭킨 추측 해결[27], 더핀-쉐퍼 추측 증명, 주어진 십진수에 대해 십진수 확장에 해당 자릿수가 없는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 2020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2년 필즈상,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잭 손[28] 1987 대수적 수 이론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변환적 기여, 특히 제임스 뉴턴과 협력하여 holomorphic modular newform의 모든 대칭 거듭제곱의 자기동형을 증명[29]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4년 클레이 연구상
페터 숄체 1987 퍼펙토이드 개념 고안, 퍼펙토이드 공간, 표수가 0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math(GL_{n}(k))]에서 국소 랭글렌즈 추측 증명[30], 웨이트-모노드로미(weight monodromy) 추측을 부분적으로 해결, 콘덴스드 수학(Condensed Mathematics) 창시 2014년 클레이 연구상, 201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6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31], 2017년 페르마상, 2018년 필즈상
쑨쑹[32] 1987 야우-톈-도널드슨(Yau- Tian- Donaldson) 추측 증명 2019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앙카나 뤼란드[33] 1987 응용 해석학, 특히 고체-고체 상전이의 미세 구조 분석 및 역 문제 이론에 대한 기여 2024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미구엘 니콜라스 월시[34] 1987 비전통적인 에르고딕 평균에 대한 수렴 정리, 곱셈 함수의 국소 푸리에 균일성에 대한 경계, 다양체의 유리점에 대한 경계를 포함한 다항식 방법의 개발 2024년 살렘상
막심 라지윌 1988 곱셈 함수 값의 국소 상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근본적인 돌파구를 제공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제이콥 시머맨[35] 1988 지겔 모듈러 대수 다양체 및 모듈러 곡선의 임의에 곱의 경우에 대해서 앙드레-오르트(André–Oort) 추측을 증명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줄리안 사하스라부데[36] 1988 평면 다항식 구성, 무작위 대칭 행렬의 특이점 확률 경계 개선, 대각 램지 수의 새로운 상한값 획득 등 조화 해석학, 확률론 및 조합론에 기여 2023년 살렘상
카림 아디프라시토 1988 헤론-로타-웨일스 추측 증명, g-추측 증명, 모든 연결된 flag 호몰로지 다양체에서 허쉬 추측 증명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위페이 자오[37] 1988 고정된 각도를 가진 등각선(Equiangular lines with a fixed angle)[38] 2024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존 빈센트 파든 1989 3차원에서 힐베르트-스미스 추측을 증명, 매듭의 왜곡(distortion)에 대한 그로모프의 문제 해결 2022년 클레이 연구상
알렉산더 안드레예비치 로그노프[39] 1989 타원 고유치 문제에 대한 해의 두 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기하학적 조합 방법의 도입,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에 정의된 라플라스 고유 함수의 zero sets에 대한 하우스도르프 측도의 상한 추정치를 증명, 나디라슈빌리(nadirashvil) 추측의 증명 및 야우 추측의 하한 증명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18년 살렘상,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강동엽 1990 충분히 큰 모든 k에 대하여 에르되시-파버-로바스(Erdős–Faber–Lovász) 추측을 증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6
, 6.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2] https://en.wikipedia.org/wiki/PostBQP [3] https://en.wikipedia.org/wiki/PP_(complexity) [4] 정확히는 판별식의 값이 무한대의 경향을 가질 때 실수 삼차 수체의 아이디얼 류(ideal classes)에 첨부된 SL(3, Z)\\SL(3, R) [5] 张伟 [6] 许晨阳, Xu Chenyang [7] Xi Chen [8] 恽 之 玮, 한어 병음: ùn Zhīwěi [9] 朱歆文, Xinwen Zhu [10] A proof of the block model threshold conjecture [11] Belief propagation, robust reconstruction and optimal recovery of block models [12] Proof of the satisfiability conjecture for large k [13] Maximum independent sets on random regular graphs [14] Critical Ising on the square lattice mixes in polynomial time [15] Cutoff for the Ising model on the lattice [16] Vincent Pilloni [17] 2010년 필즈 메달리스트 세드리크 빌라니의 제자이다, 세드리크 빌라니는 1994년 필즈 메달리스트 피에르 루이 리옹의 제자이다. [18] 1980년대에 영국의 기상학자이자 수학자인 마이크 큘렌이 커다란 지역에서의 태풍의 이동과 같은 대기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유도한 방정식. [19] Ivan Zachary Corwin [20] The Kardar–Parisi–Zhang equation and universality class, Random Matrices, vol 1, 2012, tome 1 [21] From duality to determinants for q-TASEP and ASEP, Annals of Probability, vol 42, 2014, p. 2314–2382 [22] Current fluctuations for TASEP: A proof of the Prähofer--Spohn conjecture, Annals of Probability [23] Brownian Gibbs property for Airy line ensembles, I Corwin, A Hammond - Inventiones mathematicae, 2014 [24] Kaisa Matomäki [25] Tristan Buckmaster [26] Tristan Buckmaster, Vlad Vicol: Nonuniqueness of weak solutions to the Navier-Stokes equation. Annals of Mathematics, Band 189, 2019, S. 101–144 [27] 케빈 포드, 테렌스 타오, 벤 그린, 세르게이 코냐긴의 연구와 독립적으로 증명 [28] Jack A. Thorne [29] For transformative contributions to diverse areas of algebraic number theory, and in particular for the proof, in collaboration with James Newton, of the automorphy of all symmetric powers of a holomorphic modular newform. [30] 기존의 마이클 해리스, 리처드 테일러가 증명한 것을 더욱 간결하게 해결하였다, 이때 당시 숄체는 만 22세 대학원생이었고 석사논문에서 증명하였으며 마이클 해리스, 리처드 테일러가 증명한 논문이 288페이지이고 10년후 숄체가 새로운 방법으로 증명한 논문은 53페이지이다. [31] 수상을 거절함 [32] 孙 崧, 한어 병음: Sūn Sōng [33] Angkana Rüland [34] Miguel Nicolás Walsh [35] Jacob Tsimerman [36] Julian Sahasrabudhe [37] Yufei Zhao [38] https://annals.math.princeton.edu/2021/194-3/p03 [39] Alexander Andreyevich Logunov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