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3:55:07

수입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F449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양구읍
동면 방산면 해안면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미수복지역*
수입면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능이 없다. }}}}}}}}}
양구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수입면
水入面
Suip-myeon
}}}
<colbgcolor=#00974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강원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 양구군
행정표준코드 미부여
하위 행정구역 18리(명목상)
면적
인구 12,586명( 1930년 조선총독부 통계)
인구밀도 명/㎢
면 소재지 점방리

1. 개요2. 역사 및 현황3. 하위 법정리
3.1. 문등리(文登里)3.2. 송거리(松巨里)3.3. 내리(內里)3.4. 백현리(栢峴里)3.5. 근리(芹里)3.6. 수청리(水靑里)3.7. 청송리(靑松里)3.8. 두포리(杜浦里)3.9. 석사리(石寺里)3.10. 지혜리(智惠里)3.11. 분지수리(分池水里)3.12. 인패리(印佩里)3.13. 암리(岩里)3.14. 오천리(烏川里)3.15. 점방리(占方里)3.16. 지경리(地境里)3.17. 대정리(大井里)3.18. 천리(泉里)
4. 여담
[clearfix]

1. 개요

강원도 양구군 최북쪽에 위치한 으로, 미수복지역이다. 인구는 12,586명이다. ( 1930년 조선총독부 통계) 1950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수복지구임시조치법에서 방산면에 편입한 이후 잊혀 실질적으론 없는 지역으로 취급되어 인구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 역사 및 현황

원래는 김화군 통구면 일대인 통구현에 속했지만, 고려 후기에 회양부에 편입된 채로 내려오다가 1906년, 월경지 정리에 의해 양구군에 편입되었다. 6.25 전쟁 휴전 이후에는 남쪽의 문등리·내리·수청리·암리 각 일부(해당 지역은 방산면 건솔리에 편입되었다.)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북한 치하에 남았고 강원도 창도군 금강군에 편입되었다가 현재는 금강군에 편입된 상태이다. 그런데 김화군 쪽과 통하는 금강천 유역 지역(점방리 포함)이 금강산댐으로 수몰되었다.

해방 전만 해도 문등리의 형석광산 개발로 인해 상당한 인구를 자랑했으나 이제는 사라져가는 흔적에 파묻혀버렸다. 1943년 당시 교육기관으로는 문등국민학교와 점방국민학교가 있었다.

미등기 상태이기 때문에 어떤 인터넷 지도에서도 검색되지 않는 지역 중 하나이다. 구글 지도는 물론이고 네이버 지도에서도조차 나오질 않는다. 옆의 임남면은 검색은 된다.

상기하였듯 원래는 회양군의 일부였다. 그런데 수입면 최남단의 일부가 수복된 상태이므로 조선시대의 영역을 기준으로 하면 회양군의 극히 일부는 수복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만약 통일 시 회양군이 광복 당시와 같이 복구된다면 양구군과 도로가 연결될 때까지 임시로 수입면을 회양군이 관할하거나 완전히 회양군에 이관할 가능성이 있다.

3. 하위 법정리

3.1. 문등리(文登里)

마을 이름의 유래가 문둥이촌이라는 말에서 나왔다는 말이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제는 형석을 채굴하여 폭약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광산을 개발했다. 이후 문등리 형석 광산으로 유명해지게 되었다.

문등리는 아직도 마을의 흔적이 조금 남아있다.

이곳에 있던 일제 패망 후 방치된 형석더미는 소련군이 실어가고 북한군이 실어갔음에도 1970년대까지 남아있었다. 정부 허가하에 누군가가 남은 형석더미를 반출하자 북한이 항의하기도 했다.

일부 수복되어 방산면 건솔리에 편입됨에 따라 아직까지도 법정 코드를 받지 못했다.

3.2. 송거리(松巨里)

3.3. 내리(內里)

일부 수복되어 방산면 건솔리에 편입되었다.

3.4. 백현리(栢峴里)

3.5. 근리(芹里)

3.6. 수청리(水靑里)

3.7. 청송리(靑松里)

3.8. 두포리(杜浦里)

3.9. 석사리(石寺里)

일부 수복되어 방산면 건솔리에 편입되었다.

3.10. 지혜리(智惠里)

3.11. 분지수리(分池水里)

3.12. 인패리(印佩里)

3.13. 암리(岩里)

일부 수복되었다.

수복 후 방산면에 편입됐다.

3.14. 오천리(烏川里)

3.15. 점방리(占方里)

과거 면소재지였다. 임남댐 공사로 수몰된 수입면 대부분 지역에 해당된다. 김화군 임남면과 통구면, 창도면도 피해를 입었다. 임남면과 통구면은 아예 면소재지까지 없어져버렸고 창도면(현 창도군)은 시가지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끝났지만 이쪽도 상당히 수몰됐다.

3.16. 지경리(地境里)

3.17. 대정리(大井里)

3.18. 천리(泉里)

4.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