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3 16:57:53

소드 아트 온라인/설정


[[소드 아트 온라인|
파일:SAO 로고01.png
]]

{{{#57ade6,#57ade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2d2f34><colbgcolor=#d7f6ff,#d7f6ff> 등장인물 1부 & 프로그레시브 · 2부 & 마더스 로자리오 · 3부 · 오디널 스케일 · 4부 · 5부 · 기타 등장인물
설정 연표 | 길드 목록 | 스킬 목록 | 장비 목록
TVA 1기 Extra Edition · · 앨리시제이션 1st SEASON · 2nd SEASON | 엔드 카드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 프로그레시브 ( 별 없는 밤의 아리아 · 짙은 어둠의 스케르초) · 4 (가제)
스핀오프 건 게일 온라인 ( TVA 1기 · 2기)
기타 시리즈 | 코믹스 | 게임 | 웹 연재판과의 차이점 | 비판 }}}}}}}}}}}}


1. 개요2. 연표3. VR 시스템
3.1. 종류
4. VRMMO 게임
4.1. 종류
5. 스킬6. 장비7. 길드8. 회사9. 기타

[clearfix]

1. 개요

소드 아트 온라인의 설정을 정리한 문서.

소드 아트 온라인은 2002년 무렵부터 게재했던 웹 연재를 정식으로 출판한 과정에서 많은 설정들이 변했다. 자세한 건 웹연재판과의 차이점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작가는 "편집자가 없어서인가, 세계관이 폭주했어요."라고 말했다.

웹 연재판은 본래 배경이 2010년대다.[1] 그래서 현대 기술 발전과 맞지 않는 묘사들이 제법 있다. 일례로 7권에서 아스나가 사용하는 모니터의 해상도는 UXGA[2]다.

2. 연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드 아트 온라인/연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VR 시스템

너브기어 속 하드 내부에 있는 무수의 신호소자에서 발생한 다중전계로 사용자의 뇌로 직접적으로 접속해, 감각기관을 거치지 않고 뇌에 직접 가상적인 오감 정보를 부여해서 가상공간을 생성한다. 동시에 뇌에서 몸으로 출력되는 전기신호도 회수하므로, 가상 공간에서는 아무리 돌아다녀도 현실 세상에서의 몸은 꿈쩍도 하지 않는다. 또한, 통각도 과하게 느껴진다면 '페인 업소버'라는 기능에 의해서 차단된다.

모든 사람들에게 너브기어 시스템이 적합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통신 중에 렉이 발생하거나, 신체 감각의 일부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도 아주 극소수이지만 존재하며, 그런 현상을 '풀다이브 부적합(논 컴포밍)', 통칭 'FNC'라고 불리며, 최악의 경우에는 다이브 그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존재한다.

3.1. 종류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12분 공개.mp4_20170305_230150.839.jpg }}} ||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12분 공개.mp4_20170305_230438.804.jpg
||
어그마 설명 장면 어그마를 착용한 리즈벳 키리토 아스나를 보는 시점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12분 공개.mp4_20170305_230313.651.jpg }}} ||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12분 공개.mp4_20170305_225936.359.jpg
||
어뮤스피어와 어그마의 비교 장면 어그마로 가상 콘서트장을 띄우는 장면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12분 공개.mp4_20170305_225824.670.jpg }}} ||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12분 공개.mp4_20170305_230543.125.jpg
||
아스나 리즈벳에게 톡을 보낼 때 시점 어그마로 SAO 생환자를 색출하는 장면
'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에서 등장하는 AR기기. 시게무라 교수가 2026년 개발한 것으로 AR을 구현하는 방식은 너브기어, 어뮤스피어와 크게 다르지 않은 BCI(brain-computer interface,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이다. 이는 뇌에 현실에서의 오감 정보에 추가로 정보를 보내어 AR을 구연하는 방식이다. 사용례로 가상의 화면을 생성한다거나, 3D 모델을 현실에 투영한다든가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어그마에는 어뮤스피어처럼 출력 제한 기능이 내장되지 않아, 외부에서 일정 이상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풀다이브도 가능하며 너브기어처럼 뇌의 직접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출력의 전자파를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파의 출력을 조절하여 기억을 읽거나 지우는 것도 가능하다. 작중 유나의 대사로 "어그마는 너브기어의 기능 한정판에 불과하다"고 설명되는 걸 보면 처음부터 너브기어에는 AR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으며 너브기어의 설계도를 재활용해서 풀다이브 기능에 락을 걸고 AR기기로 용도를 바꾼 것이 어그마.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에서의 사건 이후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오디널 스케일에서는 언론에는 별다른 위험성에 대한 보도가 없었다는 언급이 있다는 내용이 서술되고 있고, SAO MD에서는 위험 요소를 제거한 기기를 무료 대여하고 있어서 레인, 세븐, 필리아도 착용한다. 시기상으로 이후인 4부(언더월드 편)에서는 어그마에 대한 별다른 언급이 없지만, 웹 연재시절에 쓰여진 앨리시제이션과 달리 오디널 스케일은 극장판 제작에 들어가면서 만들어진 극장판 오리지널 스토리이기 때문이다. 어그마 설정은 2017년에 나왔고, 언더월드는 베이징 올림픽(2008) 때 이미 설정이 있었다. 그후 작가가 5부 관련 얘기와 함께 오디널 스케일 스토리가 공식 설정이 되어 정사에 들어가게 되었다.[3]

오디널 스케일과 소드 아트 온라인의 차이점은, 소드 아트 온라인의 중추 카디널은 기수(ℵ0)에 의해 제어, 성립되지만, 오디널 스케일은 서수에 의해 제어, 성립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4]

4. VRMMO 게임

가상현실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Virtual Reality Massive Multiplayer Online Game). NERDLES를 이용한 가상 공간을 활용한 MMO 게임을 말한다. 게이머들에게는 궁극의 게임이었지만 최악최흉의 사건인 SAO에 이어 ALO 사건 같은 재앙이 터지자 대략 이뭐병스러운 평가를 받고 사장될 위험에 처했으나 더 시드(The Seed)가 공개되면서 다시 한 번 전성기를 맞는다.

여담으로 VRMMO라는 용어는 이후 일본 라이트 노벨에서 게임 판타지 장르를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다.

4.1. 종류

5.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드 아트 온라인/스킬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드 아트 온라인/장비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길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드 아트 온라인/길드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회사

9. 기타


[1] 라노벨의 시간대에 비해 10년 전이다. 즉 너브기어의 발매 년도는 웹 연재판에서는 2012년. 또한 키리토는 1998년생, 아스나는 1997년생이다. [2] 1600×1200. 2000년대 중반까지는 고급형에 쓰였고 Full HD보다 가로는 좁고 세로는 WUXGA에서 안잘린 정도. 다만 2011년에 QHD가 나오기 시작하고 16이상:9 비율 패널만 나오면서 2020년 기준으로는 보기 어렵다. [3] 앨리시제이션 애니판에서도 앨리스의 기자회견에서 한 기자가 착용하고 있었다. [4] 카디널(Cardinal)이라는 이름 자체가 기수(Cardinality)를, 오디널(Ordinal)이라는 이름은 서수를 의미한다. [5] 2012년 12월 25일 트위터에 뉴로링커가 STL의 휴대용 버전이라는 언급이 있다. 뉴로링커가 5세대 VR 기기라면, STL은 4세대가 거의 확실하다. 소드 아트 온라인 9권인 앨리시제이션 비기닝에서 잠깐 언급되고, 액셀 월드에서는 아예 한 에피소드가 연관된 브레인 임플랜트 칩(BIC)은 심각한 부작용, 악용 사례로 인해 허가를 받지 않으면 착용할 수 없도록 하는 전문가용이 되었다. [6] 카와하라 레키가 트위터에서 언급했다. [7] 대표적으로 키리토는 게임 개발자인 카야바와 두 번 싸웠는데, 두 번 다 소드 스킬을 썼다가 틈이 노려진 새에 카야바에게 공격 당해 대결에서 졌다.[22] [8] SAO 스탯은 그대로고 SAO 머니도 ALO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ALO에 없는 SAO 스킬은 사용할 수 없고 SAO 시절에 가지고 있던 아이템들은 데이터가 없어 전부 깨져 있다. 키리토의 경우 유일하게 안 깨진 하나를 빼고는 게임 시스템이 실시하는 버그 검색에 걸릴 수 있다는 이유로 전부 파괴했다. [9] 오픈 소스는 아닌듯 하다. 하지만 무료 배포 게임 엔진인 것은 사실. [10] 캐릭터의 스타일은 비슷하게 옮겨진다. 예를 들어 키리토의 경우는 건게일로 컨버터 했을 때 알브헤임과 마찬가지로 근력과 민첩 중심의 캐릭터였다. [11] 만약 이 기능을 이용해서 한마리만 잡아도 능력치가 엄청나게 오르는 밸런스 붕괴 게임을 만든 뒤 컨버트하면...? [12] 시논이 ALO를 시작할 때 GGO의 계정을 컨버트하지 않은 것이 이 때문. 참고로 작가가 말하길, 키리토는 GGO로 컨버트하기 전에 아이템 등을 다 에길에게 맡겼다고 한다. [13] 이에 대해서 '어차피 아스나랑 결혼해서 인벤토리 통합됐으니까 굳이 안 맡겨도 아스나한테 남을텐데...'라는 이유로 의문을 표하는 시청자가 있긴 하지만 애니판 2기 2쿨 방영중에 작가가 올린 트위터에 의하면 ALO에는 결혼 시스템이 없다고 한다. 즉 인벤토리 통합 같은 것도 없다. 그래서 에길에게 맡긴 것. [14] 다만 ALO의 카디널은 2부 당시 유이에 따르면 상용화 당시의 SAO보다 구버전이라고 한다. 또한 운영자도 카디널의 성능을 어떻게 커버할 수 없기에 대부분의 기능은 꺼져있고 맵이나 퀘스트의 밸런싱만 하고 있다. [15] 본래 이 이론의 이름은 ' 조화 객관 환원 이론'이다. 영국의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가 1989년 제창한 것으로, 뇌세포 속 미세소관의 양자역학적 요동이 의식의 밑바닥에 깔려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비판하고 있지만, 생물의 세포가 양자역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직은 완전히 배제되지는 않고 있다. [16] 세포의 골격을 이루는 섬유를 뜻한다. [17] 다만 액셀 월드 쪽의 설정과 연계시켜서 본다면 인간이 지닌 플럭트라이트의 수명에 관해서도 실은 무언가 페이크가 있을 수 있다는 떡밥이 존재한다. 액셀 월드 쪽에서는 인간이 지닌 플럭트라이트의 수명과 관련해서 소아온 쪽의 설정과는 차이가 있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 자세한 것은 밑에서 후술한다. [18] 작중 설정에 따르자면 이것이 곧 인간의 수명이기도 한 듯하다. 플럭트라이트를 영혼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설정임을 감안해 보자면 흔히 생각하는 육체의 수명을 말하는 게 아니라 영혼의 수명을 말하는 모양인 듯 하지만. [19] 이를테면 기억저장용량을 늘린다던가, 자신의 용량을 초과한 기억을 정리하기 위해 백업용의 복사체를 만든다던가, 수면상태로 들어가 새로운 기억을 늘리지 않는다던가, 아니면 자신의 기억 중 쓸모없는 것들을 지워서 용량의 여유를 확보한다던가. 다만 이 중 기억을 지워 용량의 여유를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20] 어드미니스트레이터는 자신의 용량을 초과한 기억을 정리하기 위해 백업용의 복사체를 만든 뒤 자신은 수면상태로 들어가 새로운 기억을 늘리지 않는 방법을 택했고(그 이후 자신의 일을 대신할 대행자로서 정합기사를 만들었다.), 카디널은 위험을 무릅쓰고 쓸모없는 기억을 지워 용량의 여유를 확보하는 방법을 택했다. [21] 액셀 월드 쪽에서는 인간이 지닌 플럭트라이트의 수명과 관련해서 작중에서는 그리 비중 있게 다뤄지지 않으며 소아온 쪽의 설정과는 묘사가 꽤 다르다는 부분인데... 브레인 버스트 내에서는 신체의 뇌 대신 서버 내의 전용 사고회로를 사용하고 접속 해제 시 기억을 동기화하는 식으로 사용 시간을 최소화하고 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이건 인간이 지닌 플럭트라이트의 수명에 관해서도 실은 무언가 페이크가 있을 수 있다는 떡밥일 수도 있다. 후에 밝혀진 사실은 브레인 버스트에서 따로 마련한 논리회로에 들어가 놔와 연동시키는 구조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