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9:55:25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세종영재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wiki style="margin: +15px 0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학교 전경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white>
파일:세과영.jpg
사진의 건물은 S동이다. 뒤로 A동급식실체육관이 중앙로비와 통로로 연결되며, 두 개의 하늘다리로 D동이 이어진다.
건물 밖에는 학교 외곽을 두르는 자동차 두 대 너비의 산책로, 온실등이 있으며, 뒷산이 오가낭 뜰과 연결된다.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시설 참고
}}}}}}
[ 운영 사이트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white><tablebgcolor=white><width=25%>
(추가 예정)
||<width=25%>
파일:SASARIRO.jpg
||<width=25%>
(추가 예정)
||<width=25%>
파일:SASADOMI.jpg
||
공식 누리집
교내 운영
학교 홈페이지
리로스쿨
외부 서버
학사 지원 시스템
달빛 매니저
교내 운영
수강 관리 시스템
SASA DOMI
교내 운영
기숙사 관리 시스템
파일:SASACODE.jpg
파일:SASAMATH.jpg
파일:SYM.jpg
파일:SASAGO.jpg
CODE SASA
교내 운영
온라인 저지
SASA MATH
교내 운영
심화 수학 블로그
SHARE YOUR MATH
교내 운영
온라인 수학 토론
달빛학사
교내 운영 후 폐쇄
학사 관리 시스템
본 문서 11문단 참고
[ 관련 틀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white><tablebgcolor=#013b84><width=100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영재학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과학영재학교
파일:KSA_Logo.png 한국과학영재학교 파일:sshs.png 서울과학고등학교 파일:gshs.png 경기과학고등학교
파일:Gsalogo.gif 광주과학고등학교 파일:13HUxiG.jpg 대구과학고등학교 파일:Djs.png 대전과학고등학교
과학예술영재학교
파일:external/sasa.sjeduhs.kr/SITE_201504060846063460.png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파일:IASA교표.png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 ||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고등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자사고, ⊙ : 자공고, ▣ : 특목고, ◈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운고등학교 다정고등학교 도담고등학교 두루고등학교 반곡고등학교
보람고등학교 새롬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세종국제고등학교
세종대성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 세종예술고등학교 세종장영실고등학교 세종미래고등학교
소담고등학교 아름고등학교 양지고등학교 종촌고등학교 한솔고등학교
해밀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
||
<colbgcolor=#013b84><colcolor=white>
파일:SASA White2.png

SEJONG ACADEMY OF SCIENCE AND ARTS
교훈 드높은 이상, 드넓은 창발
인재상 바른인성과 개척정신을 갖춘
창의융합 인재 양성
상징
<colbgcolor=#013B84><colcolor=#fff>
교화
붓꽃
교목 느티나무
교색
SASA Dark Blue (#013B84)

SASA Sky Blue (#23BAEF)
개교 2015년 4월 17일
유형 <colcolor=#2d2f34,white> 공립 영재학교 / 남녀공학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달빛1로 265
재학생 263명[기준]
교원 68명[2][기준]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학사지원시스템 달빛 매니저
사사도미 사사메일 사사드라이브
코드사사 사사매쓰 ShareYourMath
사사신문고 동아리 연합회 대나무숲
소셜 미디어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세부 정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13b84><colcolor=white> 교장 <colcolor=#2d2f34,white> 김승환
교감 김수미
학생회장 최도휘
관할 교육청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지도
}}}}}}}}}

1. 개요2. 역사
2.1. 학교 연혁2.2. 학생 선발 및 지역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3.2. 교훈3.3. 교가3.4. 교목, 교화3.5. 교복
4. 시설5. 교육과정6. 학교 생활7. 교내 행사
7.1. 인문예술창작주간7.2. 인문자연탐사7.3.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8. 학교 관련 사이트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10. 기타

[clearfix]

1. 개요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SASA: Sejong Academy of Science and Arts[4])는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위치한 영재교육 진흥법을 근거로 설립된 국내 최초 과학예술영재학교이자, 처음으로 '영재학교'로 개교한 영재학교이다[5].
외부인에게는 세과영[6], 세과예영, 세종영재 등으로 불리우며, 재학생이나 졸업생은 학교 영문명의 약자인 사사(SASA)로 부른다.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는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달빛1로 265에 위치하고 있다. 바로 옆에 세종국제고등학교가 붙어있어 국제고 기숙사 건물이 바로 보인다. 운동장에서 공을 세게 차면 넘어갈 정도로 가깝지만, 공 주우러 갈 때 빼고는 옆 학교 학생을 볼 일이 없다. 학교는 근처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근처엔 황량한 전원주택 부지, 중식당, 카페 등이 자리잡고 있다. 아직 다양한 편의시설들이 주변에 없어 학교를 탈출해도 갈 곳은 그다지 없다. 교통도 좋지만은 않아 시내로 갈 때는 콜택시를 부르거나 10분에서 20분 정도 걸어가야 한다. 그래도 가까운 곳에 버스 정류장이 있어 크게 불편하지는 않다.

학교에 있는 사람에게 우편물이나 택배를 보내고 싶은 경우, 학교 주소로 수령인 이름과 함께 보내면 된다. 교직원이나 학생 등 수령인은 1층에 있는 무인택배보관함과 선반에서 우편물과 택배를 전달받는다. 다만 누군가가 가져가거나 어딘가로 사라져서 오랫동안 못 찾는 경우도 빈번하다(..)

2. 역사

2.1. 학교 연혁

<colbgcolor=#013B84><colcolor=white> 날짜 내용
2012. 11. 27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설립 승인, 6학급(90명) 인가
2015. 3. 1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개교, 초대 박두희 교장 부임
2015. 3. 5 1기 입학식(90명)
2015. 4. 17 개교식
2016. 2. 1. 제 2대 김헌수 교장 부임
2016. 3. 2. 2기 입학식(92명)
2017. 3. 2. 3기 입학식(94명)
2018. 3. 2. 4기 입학식(96명)
2019. 3. 4. 5기 입학식(96명)
2020. 3. 1. 제 3대 김태일 교장 부임
2020. 4. 6. 6기 입학식(96명)
2021. 3. 2. 7기 입학식(88명)
2022. 3. 2. 8기 입학식(88명)
2023. 3. 2. 9기 입학식(89명)
2024. 3. 1. 제 4대 김승환 교장 부임
2024. 3. 4. 10기 입학식(88명)

2.2. 학생 선발 및 지역

<colbgcolor=#013B84><colcolor=white> 기수(입학년도) 정원 일반전형(우선선발) 사회통합전형 지역우수자
1기(2015) 90명 84명(7명) 2명 4명
2기(2016) 92명 84명(7명) 2명 6명
3기(2017) 94명 84명(2명) 2명 8명
4기(2018) 96명 84명(2명) 2명 10명
5기(2019) 96명 84명(5명) -명 -명
6기(2020) 96명 84명(-명) -명 -명
7기(2021) 88명 84명(4명) 0명 4명
8기(2022) 88명 84명(24명)[7] 4명 0명
9기(2023) 89명 00명(0명) 0명 0명
10기(2024) 88명 00명(0명) 0명 0명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파일:SASA.png

SASA Skyblue (#23BAEF) SASA Darkblue (#013B84)
학교의 영문 이름인 SASA를 목표와 정상을 향해 가는 계단의 형태로 표현하였으며,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학교를 상징한다. 가장 오른쪽 위의 알파벳 A는 Arts의 A, 세종시의 ㅅ,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인재(人), 꿈과 목표를 나타내는 정상, 그리고 과학과 예술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배움의 전당을 나타낸다. 본교 미술교사가 제작에 참여했다고 한다. 우스갯소리로, 정상을 향해 가면 낭떠러지에 도달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용된 색은 SASA Skyblue (#23BAEF), SASA Darkblue (#013B84)이다. SASA Skyblue는 꿈과 희망이 가득한 무한의 창조적 공간인 하늘을 나타내며 예술적 창의성이 가득한 과학영재들의 꿈과 희망, 미래비젼을 나타낸다. SASA Darkblue는 글로벌 리더의 창의성, 전문성을 갖춘 미래 인재의 무한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색깔이다. 이용된 글씨체는 다음체이다.

3.2. 교훈

드높은 이상, 드넓은 창발.

3.3. 교가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교가
[ 펼치기 · 접기 ]
파일:SASAMUSIC.jpg

1. 세종의 언덕 우뚝 솟은 터전에 / 힘차게 넘치는 기상을 보라
2. 드높은 이상 큰 뜻 키워가며 / 성실과 예지로 길을 찾는다


(후렴)
드넓은 세상으로 / 창의 발현하며 / 헌신과 영광의 / 길을 찾는다[8] /
우리는 미래 밝힐 이 땅의 영재 / 세상을 품는 사랑 이루리 /
아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작사: 강양희 / 작곡: 장솔아


1학년 1학기 음악시간에 교가를 외워 부르는 가창 시험을 본다.

3.4. 교목, 교화

교목 느티나무 교화 붓꽃
파일:큰 느티나무.jpg 파일:붓꽃사진_SASA.png
교목 느티나무
- 수명이 길고 그늘이 넓어 사람들에게 쉼터가 되어준 친근한 나무로 세상에 도움이 되는 인재를 상징한다.
- 뿌리 깊은 나무로서 가지가 사방으로 뻗어 큰 거목으로 성장하므로 세계로 뻗어나가는 글로벌 리더십을 상징한다.

교화 붓꽃
- 꽃말 : 기쁜소식, 신비로운 사람, 믿는 자의 행복
- 세상에 맑은 기운을 전파하고 기쁘고 신비로운 소식들을 전할 수 있는 인재를 상징한다.
- 붓 모양으로 다양하고 창발적 지식을 함유하고 있는 인재를 상징한다.

3.5. 교복

교복은 존재하지 않지만 단체복이 존재한다. 학교 공식 단체복이 아닌 각 기수별로 로고를 박아 제작한 단체복이기에 체육복을 제외하면 의무가 아니다.[9] 후드집업, 체육복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단체복 후드티가 대부분의 날씨를 소화할 수 있어 그 옷만 입고 다니는 사람들도 많다. 졸업사진을 찍을 때에는 단체로 옷을 대여하여 입는다.

4.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시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교육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교육과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학교 생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생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교내 행사

진로 및 연구
  • GRP(Global Research Program):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겨울방학에 외국 대학 및 연구소 소속의 교수 및 연구원을 초청하여 학생들이 심도 있는 과학 교육과 전문적 연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색프로그램이다.
  • SASA SA발표회
  • 진로 체험의 날: 3학년의 대학수능일에 1, 2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선배들과 전문가의 강의를 듣고 진로 관련 조언을 얻는다.
  • 수학교류전: 2022년부터 진행된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와 진행하는 수학동아리들 간의 교류전이다.[10]
문화
  • 달빛 한마당: 연말 축제이다. 오전에는 학급별로 부스를 운영하며, 저녁때는 공연이 펼쳐진다.
  • OPEN SASA: 외부의 중학생들을 초대하여 동아리별로 부스를 체험하게 해주는 행사이다. 토요일에 진행된다.
  • 달빛바자회: 기숙사자치위원회가 주관하는 학기말 바자회이다.
* 소축제(돌잔치) : 유일하게 3학년이 메인이 되는 행사로 실제로는 돌잔치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홍보포스터도 돌잔치로 되어있다. 돌잔치라는 이름이 부튼 이유는 돌(화석)들의 축제여서 그렇다고 한다. [11]
인문
체육
  • Tour de SASA
  • DO RUN DO LEARN
  • 세대전: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와 대전과학고등학교의 체육 교류전.[12]
  • 체육대회 : 2019년까지는 2학기 기말고사 직후 '체육대회'로 개최했으나, 코로나로 3년간 열지 못하다가 2022년부터 5월에 기숙사자치위원회 주최 행사로 바뀌었다.[13] 2023년에는 옆 학교인 세종국제고등학교와 연합하여 제 1회 세과영/세국고 연합 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
  • 전국 과고 영재고 축구 대항전 : 2021년 우승, 2022년 8강 진출, 2023년 리그2 우승

7.1. 인문예술창작주간

7.2. 인문자연탐사

7.3.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최종 합격자들을 불러 9월 쯤에 오리엔테이션을 한다. 합격예정자들은 여기서 최종합격 요건과 교과 별 과제를 받게 된다.
가장 최근에 진행된 신입생 OT를 기준으로, 필수 과제는 정보(C언어 기초 100제 풀기)와 나의 꿈 UCC 만들기[19]였으며, 이전에는 국어, 수학, 물리, 화학, 생명과학 관련 과제도 있었다.
본래는 진단평가가 존재하여 오리엔테이션 때 같이 일정을 고지하였으나, 역시 2018년 입학자 이후 폐지되었다. 진단평가와 과제평가를 통해 PT 응시 자격을 부여했으나 폐지로 인해 모든 학생들에게 자격이 부여되어 신청만 하면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매우 높은 난이도 때문에 통과한 사람은 있기는 하지만 매우 적다. 지금은 실험 과목이 모두 PT에서 제외되어 수학, 영어, 정보만 가능한데, 정보는 2학기만 가능하다.
7기의 경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오리엔테이션이 1월로 미루어졌으며, 대신 학교 홈페이지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수학 및 물화생지 개념을 모두 정리하고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문제의 풀이를 모두 적어오라고 하는 등 엄청난 양 의 숙제를 배부하였다.

8. 학교 관련 사이트

외부인 열람이 가능한 교내 사이트
외부인 사용 불가한 교내 사이트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학교가 언덕 위에 있고 버스 정류장과 멀리 위치해 셔클이나 어울링, 쏘카일레클, 혹은 지쿠터 등이 버스보다 이용하기 편리하다.

9.1. 버스

범지기마을10단지 북측 (53014) - 범지기마을3,9단지 방면
201 고운동 - 종촌동 - 정부세종청사 방면 배차 간격 10~15분
801 조치원 - 조치원역 - 전동면 - 전의면 방면 배차 간격 20분
1004 고운복컴 북측 - 두루고 - 고운복컴 남측 - 봉안리 - 장군면 방면 배차 간격 15~20분
B5 외선순환(반시계방향) - 고운동 방면 배차 간격 15~20분
범지기마을10단지 북측 (53013) - 세종충남대병원, 범지기마을10단지 방면
201 세종충남대병원 - 도담동 - 정부세종청사 방면 배차 간격 10~15분
801 세종충남대병원 - 도담동 - 정부세종청사 - 나성동 - 터미널 배차 간격 20분
1004 아름동 - 종촌동 - 다정동 - 새롬동 - 한솔동 - 터미널 - 반석역 배차 간격 15~20분
B5 내선순환(시계방향) - 도담동 방면 배차 간격 15~20분

10. 기타


[기준] 2023년 7월 7일 [2] 보통 교과 및 겸임 교원(60명), 원어민(1명), 시간강사(7명) [기준] [4] Art가 아닌 Arts를 사용한다. [5] 이전의 6개의 영재학교는 기존의 과학고등학교가 영재학교로 전환된 것이다. [6] 보통 이 명칭으로 가장 많이 부른다. [7] 2022학년도 입학전형부터 지역인재 우선선발 제도가 시행되며 2차 우선선발 인원이 많아졌다. [8] 초기에는 '삶을 가꾼다'였다 [9] 대학교의 과잠을 생각하면 된다. [10] 1회,2회 모두 세종이 우승했다. [11] 2023년 현재 사라졌다. [12] 2023년 진행된 제 1회 세대전은 축구, 농구, 피구 3개의 종목 모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가 승리했다. [13] 체육대회에서는 3학년이 참가하지 않았으나, 달빛체육한마당부터 참여하게 되었다. [14] 약칭 인예주 [15] 오리지널 명칭. 그 후 SA운드 오브 뮤직 등으로 이름이 바뀐다. [16] 2023년 버스킹이라는 명칭으로 진행되었다. [17] 듀가의 무대 장치들은 매년 갈수록 더 크고 아름다워진다... 장난이 아니라 거대한 장난감 상자나 성을 무대 위에 만들고는 한다. [18] 2020년도에는 6기의 한 학생이 랜덤뽑기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그것을 사용하였다. [19] 입학식 때 한명 한명 입학 축하를 받으며 단상에 올라가는데, 이때 각자의 영상을 재생시켜준다 [20] 대학교 과정을 의미함 [21] 다른 학교 학생의 비중은 매우 적다 [22] 연애글이 자주 올라온다... 나만 연애 못하지 흑흑 [23] 시험기간이 되면 시험 점수를 보내는 교사들도 있는데 혹시 메시지 창에 1이 생겼다면 이것일 확률이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