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6:05:32

세르게이 보이체호프스키

<colbgcolor=#11457e><colcolor=#fff> 프라하 군관구 사령관
세르게이 니콜라예비치 보이체호프스키[1]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Войцехо́вский
Sergej Nikolajevič Vojcechovský
파일:Sergey Voytsekhovsky.jpg
출생 1883년 10월 16일
러시아 제국 비텝스크현 비텝스크
사망 1951년 4월 7일 (향년 67세)
소련 러시아 SFSR 이르쿠츠크주 이르쿠츠크
국적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 체코슬로바키아
학력 콘스탄티노프 포병학교
모스크바 군사항공학교
니콜라예프 총참모부 학교
직업 군인
최종 계급 대장
경력 프라하 군관구 사령관
1935년 ~ 1938년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1. 개요2. 생애
2.1. 러시아 내전2.2. 제2차 세계 대전2.3. 사망
3. 참고 문헌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으로 러시아 내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을 지휘했다.

2. 생애

1883년 비텝스크의 벨라루스인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니콜라이 보이체홉스키[2]는 군인으로 발칸 전쟁에서 활약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콘스탄티노프 포병학교 졸업 후 소위로 임관해 캅카스에 파견되었다. 러일전쟁 당시 참전을 희망해 극동으로 갔으나 전장에 도착하기 전 전쟁이 끝났다.

1908년 니콜라예프 총참모부 학교에 입교, 1912년 졸업한뒤 모스크바 군관구에 배치되어 모스크바 군사항공학교를 졸업했고, 조종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전선에서 용감하게 싸워 성 블라디미르 훈장 4등급을 수훈했다. 다리와 견갑골에 부상을 입어 치료한뒤 제2캅카스척탄병사단 참모장에 부임했고, 1917년 8월 러시아 제국군 내 제1체코슬로바키아사단의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2.1. 러시아 내전

러시아 내전기에는 볼셰비키 정부를 지지하지 않고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주요 지휘관으로 예카테린부르크, 튜멘, 니즈니타길 등을 점령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의회에 의해 소장으로 진급, 사마라집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장병들은 훌륭한 군사적 재능과 정직한 성격의 보이체홉스키를 지지했다.

1919년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서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의 러시아국군으로 옮겨 제2우파군단의 군단장으로 1919년 백군 춘계 공세, 우파 방어전, 첼랴빈스크 작전, 토볼스크 작전을 지휘했다. 1920년 1월 25일 블라디미르 카펠 장군이 대시베리아 얼음 전역에서 사망한 후 동부전선 총사령관이 되었고 1월 30일 이르쿠츠크 공세로 노농적군에 콜차크 제독을 석방하고 백군에 방호복과 식량, 금을 넘길 것을 요구했다. 콜차크가 처형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후에는 바이칼호 너머로 철수했다.

이후 그리고리 세묘노프 장군에 의해 러시아 동부외곽 사령관에 이어 크림반도 남러시아 정부에 연락담당으로 파견되었다. 1920년 11월 코스탄티니예를 거쳐 체코슬로바키아로 망명한 뒤 대장 계급과 시민권을 수령받았다.

2.2. 제2차 세계 대전

체코슬로바키아군에 입대한 보이체호프스키는 대장 계급으로 브르노 군관구 육군 사령관, 프라하 군관구 사령관을 지냈다.

보이체호프스키는 1938년 체결된 뮌헨 협정에 반발했다.

1939년 나치 독일이 체코 지역에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을 세운 후 지하저항군 인민방위 창설을 준비하고 전쟁장관으로 나치 독일에 대항했다. 그해 9월 독일군에 체포되었으나 2주뒤 게슈타포의 감시 하에 풀려났다.

1944년 나치 독일 측은 안드레이 블라소프를 대신해 러시아 해방군 지도자를 제안했으나 보이체호프스키는 거절했다.

2.3. 사망

1945년 5월 12일 소련군이 프라하 공세로 프라하를 탈환한 이후 스메르시에 의해 체포되어 소련으로 이송되었다. 재판에서 반볼셰비키 조직 및 러시아 전군연합 가담 혐의로 10년형을 선고받아 1951년 이르쿠츠크의 감옥에서 사망했다.

사후 1996년 러시아 검찰청에 의해 복권되었다.

3. 참고 문헌

4. 대중매체



[1] 성씨를 러시아어 표기법대로 표기하면 '보이체홉스키'가 된다. [2] 벨라루스어 표기는 미칼라이 바이차호우스키(Мікалай Вайцяхоўск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