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02:44:53

성훈(인터넷 방송인)

<colbgcolor=#6495ed><colcolor=#000000> 성훈
파일:성훈.png
본명 정성훈
활동명 성훈-
출생 1997년 12월 31일 ([age(1997-12-31)]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동인천고등학교(졸업)
대학교(제철과)
거주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가족 부모님, 누나, 두부(반려견)[1]
신체 170cm[2], 50kg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7보병사단 포병연대
롤 닉네임 성훈 계정 모음 #
Chu성훈 #KR1 #[3]
성 훈 #1231 #
qwexzzxcsd #KR1 #
눈이 보고 싶다 #KR1 #
포지션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서포터
별명 추성훈, 성생님[4], 하두리[5], 토감대[6]
성신[7], 성교수[8], 미스터 추, 하마[9]
그랩 원툴[10]
애청자 수 1.1만명[기준]
관련 링크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경력3. 활동4. 방송5. 리그 오브 레전드
5.1. 챔피언
6. 자주 사용하는 말7. 인물 관계8. 여담

[clearfix]

1. 개요

2. 경력

3. 활동

4. 방송

5. 리그 오브 레전드

포지션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서폿
[ 솔로 랭크 티어 ]
||<tablewidth=400><tablebordercolor=#F4C15D><tablebgcolor=white><colcolor=#F4C15D><rowcolor=#F4C15D><colbgcolor=#1d3e4f><rowbgcolor=#1d3e4f><width=20%> 시즌 ||<width=40%> 최고 || 최종 ||
2019 파일:lol_grandmaster_1.png 그랜드마스터(343) 파일:lol_diamond_1.png 다이아몬드(85)
2020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020)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967)
2021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253)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853)
2022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212) 파일:lol_grandmaster_1.png 그랜드마스터(876)
2023_1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569)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316)
2023_2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616)[18] 파일:lol_grandmaster_1.png 그랜드마스터(896)
2024_1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182) 파일:lol_grandmaster_1.png 그랜드마스터(781)

5.1. 챔피언

명실상부 성훈의 대표 챔피언 올라운더였던 시즌 4를 제외하면 항상 모스트 3 안에 드는 챔피언이다. 솔랭과 멸망전에서도 좋은 폼을 보여주었고, 날카로운 각과 무빙 예측 등이 뛰어나다. 왜 매드라이프의 후계자로 제의가 왔는지 알만한 실력이다.
기동신을 이용한 로밍과 합류를 하며 상대 서폿과의 차이를 벌리고 게임을 이기는 식의 운영을 자주하고 안정적인 플레이를 선호한다.
본인이 말하기론 블리츠 자체의 성능보단 재미가 뛰어나 하고 있다고 한다.
블리츠와 함께 가장 많이 하는 챔피언이다. 본인 피셜 게임을 이기고 싶을 때 픽 하는 챔피언. 보통 블리츠가 밴 당하거나 조합을 보고 자주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포터의 기본 덕목인 챔피언 답게 매우 잘 다루는 편.
솔랭보단 멸망전에서 자주 보여주었던 챔피언이다. 파이크의 특성을 이용한 로밍과 처형 킬 각을 보며 팀에 딜이 부족하거나, 원딜이 잘 버틸 수 있는 픽일 때 꺼내 게임을 운영한다. 처형이 잘 맞는 날과 아닌 날의 차이가 큰 편. 처형이 안맞을 때마다 성음소리를 낸다.
성훈의 모스트 픽 중 하나로 매우 수준급이며 멸망전에서 만큼은 블리츠보다 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해설진과 시청자 모두 그의 블리츠보다 바드에 더 감탄하는 모습이 많이 보였다.[19] BARDKING[20]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계정이 있는만큼 블리츠를 잘 안할 때 솔랭에서 자주 꺼내던 픽이다.
궁을 활용한 잘라먹기, 로밍과 E를 매우 잘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그 외
4개 이외의 챔피언들도 잘 다룰 정도로 챔프폭이 넓지만 그렇게 잘 기용하지는 않는다.[21][22]

6. 자주 사용하는 말

네~??
다른 BJ들이나 팬들에게 팩트폭행 당할때 당황하면서 나오는 말
oo씨~?
전수찬과 멸망전이랑 듀오를 하면서 서로를 부르던 말투다. (성훈~?)
지금은 다른 BJ한테도 이 말투를 쓴다.
어라라?
당황했을때 나오는 찐따 같은 추임새다. 다른 BJ들도 쓰는 유행어가 되었다.
변순데?
본인이 실수하거나 당황했을때 주로 사용하는 말 요즈음 부쩍 사용 빈도가 늘었다.
뭐라고요? (뭐라고?)
또한 당황하였을 때 나오는 말으로 시청자들이나 팀원들이 성훈을 까거나 놀릴 때 사용하는 말이다.
깨달았다, 감 잡았다 등
자주 쓰는 말 중 하나로 성훈 본인이 게임을 유리하게 굴렸거나, 승리 했을 시에 사용한다.
슈 슈 슛~
여기저기 붙여 쓸 수 있는 만능 추임새. 주로 놀리거나 꼽줄때 많이 사용한다.
안녕 안녕 안녕하쎄요
추리츠야
멘트 드릴께요

7. 인물 관계

제일 친한 BJ 뽑으라하면 세 손가락안에 뽑힐것이다. 방송중 큐를 잡으면서도 전수찬의 방송을 본다. 친구가 전수찬하나뿐이고 전수찬을 되게 좋아한다. 어떻게 보면 이상호 전에 전수찬과 듀오, (복)수찬을 통해 방송판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성훈이 한 살 위인 형이지만[23] 전수찬의 성격 상[24]12월 31일은 동갑이라며 만나자마자 반말을 했다고 한다. 광대가 되기 전 성훈이 수찬을 케어 해주며 듀오, 멸망전을 하자 시청자들이 둘의 케미를 상당히 좋아했다. 지금은 듀오를 하면 그냥 광대 듀오다. 이상호가 챌린저 노방종 중 서폿 선생으로 불렀을 때 부터가 시작이다. 처음에는 하루 있다가 갈 줄 알았지만 '상징어 게임'[25] 을 계속 실패하며 하루가 이틀이 되고 이틀이 일주일이 되고 일주일이 10일을 넘겼다... 3일차부터는 아침에 일어나 둘이 밥먹는모습이 어색함없이 가족같은 분위기였고, 그때부터 성훈의 방송감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방송감을 얻고 점수를 떨구는 참 방송인 이때 '성교수'라는 별명을 얻었고 얼마지나지않아 이상호와 같은 '하마'라고도 불린다. 이상호가 여는 대회, ck, 해설 등 술먹방에서도 성훈을 부르는 걸 보면 이상호가 방송적이든 일상적이든 성훈을 많이 좋아하는것처럼 보인다. 여담으로 성훈은 학창 시절부터 이상호 방송을 봐 왔다고 한다. 성공한 덕후..?

8. 여담


[1] 성훈의 아프리카, 인스타그램 프로필에 있는 강아지이다. [2] 169.8~170 정도라고 한다. [3] 본캐 [4] 성훈+선생님 [5] 캠의 화질이 하두리 같아서 붙은 별명이다. 본인 피셜 캠을 잘못 만져 화질이 이상해졌다고 한다. [6] 이상호와의 합방 이후로 이상호의 별명인 치감대에서 따온 토이스토리 감자 대가리라는 별명이 생겼다. 실제로 많이 닮았다. [7] 성훈+ 리 신으로 부포지션인 정글이 걸렸을 때 리 신을 많이 한다. 포텐이 터지면 수준급의 실력이 나온다.물론 잘 안터진다. [8] 이상호의 선생으로 10일넘게 합숙하며 얻은 별명 [9] 멸망전과 대회에서 이상호와 같이 점수값을 못해줘서 생긴 별명 [10] 챌린저 서포터지만 솔랭과 대회에서 블리츠크랭크, 파이크, 쓰레쉬 등 그랩류 챔피언만 픽해서 생긴 별명. 그랩 원툴이지만 요즘은 그 그랩마저 잘 못한다. [기준] 2024년 5월 13일 [12] 탑 레이팅 D1 57p [13] 탑 레이팅 925점 [14] 그 뒤로도 간간히 오던 제의를 거절 했다고 한다. [15] 전수찬, 아뚱, 효딤, 진또삐, 성훈 [16] 조회수 약 640,000회 [17] 럼블이 죽는 소리라고 한다 ..? [18] 전 시즌을 통틀어 점수가 제일 높다. [19] 멸망전에서 밴도 많이 당했지만, 사실 블리츠라는 픽이 대회에선 리스크가 커서 잘 뽑지 못한 것도 있다. [20] KING에서 i가 아닌 l을 사용한다. [21] 가끔 연패할 때 안하던 픽을 해서 이기면 "깨달았다"를 연발한다. [22] 2024시즌 스플릿1에서는 노틸러스를 모스트3로 활용하였다. [23] 성: 97년 12월 31일, 수: 98년 8월 22일 [24] 5살 위와도 반말을 하며 쌍욕을 주고 받는다. [25] 성훈의 본캐에서 승리 시 어시당 n만원인 게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