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2:26:57

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

서울대 공대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학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의 단과대학
인문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미술대학
사범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음악대학 의과대학 첨단융합학부
치의학대학원

파일:설대윗공대.jpg
서울대학교 신공학관[1]
<colbgcolor=#fff><colcolor=#00338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파일: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로고.svg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 연혁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가 있던 서울 공릉동에서 개교하였다. 1980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떠난 공릉동 캠퍼스에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들어와 있다.

3. 학과

3.1. 건설환경공학부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16 경성공업전문학교 토목과
1922 경성고등공업학교 토목학과
1938 경성고등공업학교 토목공학과
1944 경성공업전문학교 토목과
1946 서울공업대학 토목공학과
경성제국대학
1941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토목공학과
1945 경성대학 이공학부 토목공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197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토목공학전공/도시공학전공
199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2]
200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건설환경공학부의 전신 중 하나인 도시공학전공은 원래‘도시공학과’라는 별개의 학부 전공과로 개설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환경대학원의 도시계획학과와 영역이 중복된다는 이유로 본부가 독자 학과 개편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고, 이 때문에 사실상 독립된 학과이지만 형식상 토목공학과 내에 도시공학전공을 두는 형태로 개설된 것이라고 한다. 1997년 토목공학과와 자원공학과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07년 에너지자원공학과가 분리되고 건설환경공학부로 개편되었다.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당시 A, B, C 세 개의 반이 있었고 해체 후 공식적인 반은 존재하지 않으나 새터 시의 편의를 위하여 조직되었다.

과반 슬로건: 진담반, 농담반[3]

3.2. 기계공학부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38 경성고등공업학교 기계공학과
1944 경성공업전문학교 기계과
1946 서울공업대학 기계공학과
구제전문학교 - 서울광공대학
1939 경성광산전문학교 광산기계학과
1944 경성광산전문학교 광산기계과
1946 서울광공대학 학부 기계공학과
서울광공대학 전문부 기계공학과
경성제국대학
1941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기계공학과
1945 경성대학 이공학부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기계전공/자동차전공
196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생산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기계전공/자동차전공
197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기계전공/자동차전공
197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기계전공/자동차전공
197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학과
199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기계설계·항공우주공학과군
199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2014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기계공학전공
202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1995년도에는 기계·기계설계·항공우주공학과군[학과군]으로 통합되어 1998년도에는 기계항공공학부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2014년도에는 기계공학전공과 우주항공공학전공으로 분리되어 2017년도부터 물리·천문학부처럼 두 전공은 모집단위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결국 2021년도 입시부터 기계항공공학부가 기계공학부와 항공우주공학과로 행정적으로도 완전히 분리된다.

과반 슬로건: A반, B반, C반. 해방을 향한 비상! 인간을 위한 기계! 기계항공공학부

3.3. 재료공학부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16 경성공업전문학교 염직과
1922 경성고등공업학교 응용화학과 색염부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1944 경성공업전문학교 방직과
1946 서울공업대학 섬유공학과
구제전문학교 - 서울광공대학
1917 경성공업전문학교 광산과
1922 경성고등공업학교 광산학과
1938 경성고등공업학교 광산학부 야금학과
1939 경성광산전문학교 야금학과
1944 경성광산전문학교 야금과
1946 서울광공대학 학부 금속공학과
서울광공대학 전문부 금속공학과
경성제국대학
1941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광산야금학과
1945 경성대학 이공학부 광산야금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야금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194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주조전공
196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주조전공
197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요업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주조전공
197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요업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198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199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고분자공학과
199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섬유고분자·화학공학과군[5]
199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고분자공학과
200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재료공학부가 설립되기 전 재료공학'과'가 있었다. 설립 당시엔 현재의 재료공학부와 같이, 재료공학 전반을 다루는 학과가 될 예정이었으나, 금속공학과, 섬유공학과 등이 이미 있었기 때문에 요업공학과로 개칭하였다. 다만 이 과정에서 불만을 품은 재학생이 있었고, 이들에 대한 배려로 1975년 이전 졸업생에 한해 재료공학과 요업전공, 금속전공, 고분자전공 등 세부전공 중 택일하여 졸업할 수 있었다.

과반 슬로건: Ela반, Pla반(Elastic, Plastic), 이 시대 최후의 승자는 오직 재료공학뿐!

3.4. 전기정보공학부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38 경성고등공업학교 전기과
1944 경성공업전문학교 전기과
경성공업전문학교 전자통신과
경성공업전문학교 전기화학과
1946 서울공업대학 전기공학과
서울공업대학 통신공학과
서울공업대학 전기화학과
경성제국대학
1941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전기공학과
1945 경성대학 이공학부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강전전공/약전전공
194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통신공학과
194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통신공학과
195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전기전공/전자전공
197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계측제어공학과
198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제어계측공학과
199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제어공학과군
199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부
201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현재 기준으로 서울대학교 내 모든 단일학부 중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6] 학부제 전단계로 1992~1994학년도까지 전기·전자·제어공학과군(줄여서 '전전제'라고 불렀다)으로 통합하여 모집[7]했으며 1995년부터 전기공학부로 개편되었다. 이름에 '전자(electron)'라는 용어는 들어가 있지 않고 '전기(electricity)'라는 용어만 포함되어 있어서 (전기공학은 배우지만) 전자공학은 배우지 않는 줄 오해하는 경우도 더러 있는데, 그렇지 않다. 전기공학만을 배우는 전기공학과와는 분명히 다르며, 외국에서도 대개 전기공학,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등을 통합해서 학부제로 운영하고, 학과명칭을 주로 Electrical engineering이라고 쓴다는 점을 고려하여 '전자'라는 용어를 빼고 간단히 '전기공학부(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라고 명명했던 것이다. 다만 2011년부터 현재까지 쓰고 있는 명칭은 '정보'가 추가되어 전기·정보공학부. 전기공학부 소속 연구실 연구분야 및 졸업생 진출 진로에 컴퓨터공학 관련 비중이 크게 늘어 예전부터 명칭 개편에 대한 현실적인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으나[8] 이미 컴퓨터공학부가 따로 존재하고 있기에 전기컴퓨터공학부 대신 전기·정보공학부로 개명을 하게 된 것이다. 다만 영문명에선 '정보'가 'information'이 아닌 'computer'로 번역되었다. 2003~2011학년도에 컴퓨터공학부와 함께 신입생을 모집하고 전기·컴퓨터공학부라는 명칭이 사용되긴 했지만 2학년 때 전공을 나눠 각각 졸업하는 별개의 학부였으며 대학원만 전기·컴퓨터공학부로 통합되어 있었다.[A] 2012학년도 이후로는 컴퓨터공학부와 따로 모집하고 대학원도 분리되었다. 상위학년에서 전공이 나뉘는 체제가 아니라 단일학부이기 때문에 별도의 전공배정은 없다. 그러나 여느 대형 학부와 마찬가지로 암묵적인 세부전공은 엄연히 존재한다.

또한 여느 전기·정보공학부와 마찬가지로, 테크가 굉장히 다양하다. 크게 컴퓨터, 디바이스, 시스템 테크로 나뉘고, 가장 선호되는 테크는 컴퓨터와 반도체(디바이스)로 양분되는 추세. 하지만 각각의 테크별 구분을 지나치게 제도화시켰다는 의견도 존재하는데, 가장 논란이 이는 부분은 바로 2021학년도부터 선이수 조건을 강화한 것. 특히 기초전자회로 및 실험의 경우 회로 테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과목이지만 선이수 조건이 너무 많이 붙어버리는 바람에 주전공 학생들은 선이수 조건이 꼬이지 않도록 1학년부터 주의 깊게 수강 신청을 해야 하고, 타과에서 복수전공할 때에는 거의 졸업 유예가 무조건 확정되는 수준이다보니, 이번 선이수 강화 조치가 개선이 아닌 개악이라고 평가하는 여론이 많다.

과반 슬로건: R반, '룰루반', '랄라반', C반[10]

3.5. 컴퓨터공학부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서울대학교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수학과
1975 폐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
197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계산학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
197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계산기공학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
198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
199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 전산과학전공
199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리과학부 전산과학전공
199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전산과학전공
200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과의 전신 중 하나인 응용수학과는 같은 시기 설립된 응용화학과, 응용물리학과와 함께 응용 3과로 불렸다. 이들 응용 3과는 학부과정만 독립적으로 운용되었을 뿐인데, 응용수학과 대학원 과정의 경우, 전자공학과 내 응용수학전공이란 이름을 갖게 된다. 1975년 응용수학과가 폐지되면서 재학생은 전자공학과, 수학과, 계산통계학과 중 한 곳을 택해 편입하였고, 학과의 실질은 자연대 계산통계학과로 승계된다. 이와 별도로 1978년 공과대학에서 전자계산학과가 설립되는데, 이는 후에 컴퓨터공학과로 개명된다. 2000년 자연과학부 전산과학전공과 컴퓨터공학과가 통합되면서 컴퓨터공학부로 승격되었다. 이 과정에서, 두 학과를 합쳐놓고 인원은 기존 컴퓨터공학과의 인원을 유지했기에 경쟁률이나 입결이나 모두 공과대학 상위권을 유지 중이다. 2003~2011학년도에 전기공학부와 함께 신입생을 모집하고 전기·컴퓨터공학부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지만 2학년 때 전공을 나눠 각각 졸업하는 별개의 학부였으며 대학원만 전기·컴퓨터공학부로 통합되어 있었다.[A] 2012학년도 이후로는 전기공학부와 따로 모집하고 대학원도 분리되었다.

과반 슬로건: i반, j반, k반[12]

3.6. 화학 생물공학부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16 경성공업전문학교 응용화학과
1922 경성고등공업학교 응용화학과 응용화학부
1944 경성공업전문학교 응용화학과
경성공업전문학교 전기화학과
1946 서울공업대학 공업화학과
서울공업대학 화학과
서울공업대학 전기화학과
경성제국대학
1941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응용화학과
1945 경성대학 이공학부 응용화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196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화학공학전공/공업화학전공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화학공학전공/공업화학전공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과
197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199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섬유고분자·화학공학과군[13]
199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부[14]
200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응용화학과, 응용화학부가 여러번 등장한다. 1963년 응용 3과로 설립된 응용화학과는 대학원 과정을 화학공학과에 위탁, 화학공학과 응용화학전공으로 개설하였다. 1975년 응용화학과가 폐지되는데, 재학생은 화학공학과, 화학과, 공업화학과 중 한 곳으로 편입할 수 있었고, 같은 해에 공업화학과가 신설되면서 사실상 계통이 공업화학과로 계승된다. 1995년 섬유고분자공학과를 포함시켜 공업화학·섬유고분자·화학공학과군[학과군]으로 통합되었다가 1998년 응용화학부와 섬유고분자공학과로 분리되었다.

과반 슬로건: A반, B반, C반

3.7. 건축학과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 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 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22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학과
1938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공학과
1944 경성공업전문학교 건축과
1946 서울공업대학 건축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건축전공
197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건축전공
197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건축공학전공
201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16]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건축학전공의 경우 5년제의 위엄에 걸맞게 2016학번 기준 졸업 전공학점이 110학점이다.(전공 필수 102학점) 보통 공과대학 다른 전공의 졸업학점이 70학점을 잘 넘어가지 않는 것에 비해 어마어마한 수준. 5학점을 차지하는 설계스튜디오 과목의 영향이 크다. 5년 도합 50학점. 그렇다보니 대체로 복수전공 등의 제2전공을 시도하는 학생이 적지만, 그 와중에도 할 사람은 한다. 대신 졸업시기는 99% 확률로 늦춰지게 된다. 대신 다른 공과대학과는 다르게 이수가 요구되는 수학 및 과학 교양 과목의 양이 적고 수준이 낮다. 1학년 이후로는 수학은 손도 안대게 되고, 공대생이라면 거의 무조건 듣게 되는 공업수학 또한 듣지 않는다. 하지만 16학번 신입생들부터는 공업수학1을 듣는다.

건축공학전공의 경우는 타 공대와 비슷한 62학점을 요구한다.

참고로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소설가 이상이 경성고등공업학교 시절 재학생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대학교가 아니었기에 직속선배는 아니다.

3.8. 산업공학과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서울대학교
196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생산기계공학과
197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과반 슬로건: 불패(不敗)산공, 가 족같은 산공(한 학년 인원이 적은 탓에 작은 사회가 구현된다. 굉장히 깊이 친해지며 가족같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산업공학반: 1학년 신입생을 공학계열 (에너지자원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건축공학과, 산업공학과, 원자핵공학과 통합 모집 단위)로 신입생을 모집하던 시절 이후 공학계열 내에서 '산업공학반'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요즘 입시에서 산업공학과는 통합 모집 대신 학과 단위 모집을 시행하게되어, 사실상 이제 '산업공학반'은 산업공학과와 동일하다.

한 학년 신입생 단위가 35~40명 수준으로 공과대학 내에서 소규모 학과에 속하는 편이다. 흔히 공대 내 경영학과라고 불리며 타 공대 학과에 비해 수학 및 과학 과목을 배우지 않는 학과라는 오해를 많이 받지만, 실제로 학부 과정에는 고수준의 확률 및 통계이론 과목, 선형계획 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확률 및 통계이론을 공과대학 전체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학과라고 할 수 있다.

3.9. 에너지자원공학과

Department of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광공대학
1917 경성공업전문학교 광산과
1922 경성고등공업학교 광산학과
1938 경성고등공업학교 광산학부 채광학과
1939 경성광산전문학교 채광학과
1944 경성광산전문학교 채광과
1946 서울광공대학 학부 광산학과
서울광공대학 전문부 광산학과
경성제국대학
1941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광산야금학과
1945 경성대학 이공학부 광산야금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채광학과
195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광산학과
196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199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17]
200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슬로건: "에너지 자원의 Pioneer ! 서울 공대 ERE 학우들 그대가 자랑스럽습니다"

1997년 자원공학과와 토목공학과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로 통합됐다가, 2007년 다시 분리되어 "에너지자원공학과"로 학과 명칭이 변경 되었다. 대학원 과정은 원자핵공학과와 함께 에너지시스템공학부로 통합되어 있다.

에너지자원(에자원)으로 명칭을 변경한후 지난 15년간 에자원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특히 전공부분에서 자원개발, 처리, 활용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신재생 에너지 부분을 보완하였다. 또한 2차 전지등 자원의 활용쪽과 자원경제등으로 공대 내에서 "경제학"을 가르치는 유일한 전공으로 성장해 왔다. 미국 시카고 대학 교수임용, 세계적 석유회사 임원등 외에도 최근 ESG 분야에도 선도적 역할을 하면서 공학+경제의 통합적 분야에도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3.10. 원자핵공학과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서울대학교
195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
197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슬로건: 분열에서 융합으로 분단에서 통일로

대학원 과정은 에너지자원공학과와 함께 에너지시스템공학부로 통합되어 있다.

3.11. 조선해양공학과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46 서울공업대학 항공조선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항공조선학과 조선전공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항공조선학과 조선전공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용접판금전공
196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조선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과 용접판금전공
197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조선공학과
199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슬로건: 대양을 뒤덮는 지성의 물결

3.12. 항공우주공학과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구제전문학교 - 서울공업대학
1944 경성공업전문학교 원동기과
1946 서울공업대학 항공조선학과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항공조선학과 항공전공
196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항공공학과
199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항공우주공학과
199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기계설계·항공우주공학과군
199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2014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2020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항공우주공학과

1995년도에는 기계·기계설계·항공우주공학과군[학과군]으로 통합되어 1998년도에는 기계항공공학부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2014년도에는 기계공학전공과 우주항공공학전공으로 분리되어 2017년도부터 물리·천문학부처럼 두 전공은 모집단위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결국 2021년도 입시부터 기계항공공학부가 기계공학부와 항공우주공학과로 행정적으로도 완전히 분리되었다.

과반 슬로건: A반, B반, C반. 해방을 향한 비상! 인간을 위한 기계! 기계항공공학부


[1] 관악캠퍼스 가장 꼭대기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보통 윗공대라고 부른다. 해발 고도가 258m로 여기에 신공학관의 높이를 합치면 63빌딩(264m)보다 높으며, 날씨가 좋으면 실제로 63빌딩이 내려다보인다. 5개 학과(기계공학부·항공우주공학과(301동), 전기·정보공학부(301동), 컴퓨터공학부(301,302동), 화학생물공학부(302동))가 있다. 외관만 보면 사람들이 별로 없을 것 같지만, 안에 들어가 보면 암울한 표정의 공대생들이 복도서, 로비서 우글우글 거린다. (이 다섯 학부의 한 학년 학생수가 400명이 넘으며, 이는 아랫공대는 물론, 어느 타 단과대학보다도 많은 학생 수이다.) 가장 꼭대기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겨울만 되면 매우 춥다. [2] 자원공학과와 통합 [3] 공식적인 반은 아니고, 새터때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반이다. 일년에 딱 한번만 볼 수 있다. 근데 반깃발이 있다. [학과군] 통합 전 개별 학과로 입학한 학생이 학과군 시절에 졸업한 경우 입학시의 학과로 졸업했으나 학부 개편 후 졸업한 경우는 모두 학부 졸업으로 통합되었다. 학과군 입학생이 졸업할 때는 모두 학부로 개편 후라서 학과군 졸업생은 없다. [5] 1995~1997학년도에 섬유고분자공학과는 공업화학과, 화학공학과와 함께 공업화학·섬유고분자·화학공학과군에 통합되었다가 1998년부터 다시 독립해 나왔다. [6] 2023년 기준, 신설된 공대 광역 모집에 정원을 내 주면서 사회과학대학의 경제학부가 154명으로 서울대학교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정원을 갖게 되었다. [7] 이때까지 법적 근거가 미비했으나 1995년에 교육법 시행령 개정으로 학부제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명칭에 혼선이 있다. '서울대학교60년사'나 전기정보공학부 홈페이지에는 '전기·전자·제어공학군'으로, 공과대학 홈페이지에는 '전기·전자·제어계측공학과군'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 당시 '서울대학교 학칙'에는 '전기·전자·제어공학과군'으로 규정되어 있다. [8] 2010년대 이후로 신설 연구실은 과반이 컴퓨터공학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는 분야이다. [A] 학사 학위는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로 개별 수여, 석사 및 박사 학위는 전기·컴퓨터공학부로 수여. 무엇보다 이 시기 '서울대학교 학칙'에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는 통합된 적이 없다. [10] 원래는 RLC 회로에서 유래한 R, L, C 세 반이었다.(다만 더 거슬러 올라가면 A, B, C, D였던 적도 있다) 그러다 L반 학생회가 반 인원을 줄여 서로 간 친밀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룰루(Lullu), 랄라(Lalla)로 분반을 결정하여, 98학번부터 지금의 체제가 되었다. [A] [12] 22학번부터 23학번까지만 적용되었다. [13] 1995~1997학년도까지 섬유고분자공학과를 포함해 통합되었다. [14] 섬유고분자공학과는 별도로 분리 [학과군] [16] 2016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건축학전공과 건축공학전공을 통합하여 선발한다. 기존 건축학/건축공학전공은 3학년에 올라가면서 선택한다. [17] 토목공학과와 통합 [학과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