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08:59:24

자동화설비기능사

생산자동화기능사에서 넘어옴
자동화설비기능사의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2 {{{#FFFFFF 기계장비설비ㆍ설치 분야 자격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기계기술사
건설기계정비기능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
건설기계정비기능장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술사
궤도장비정비기능사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궤도장비정비기사 -
설비보전기능사 설비보전산업기사 설비보전기사 -
- -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승강기기능사 승강기산업기사 승강기기사 -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전자부품장착산업기사
(2026년 폐지)
- -
- 농업기계산업기사 농업기계기사 -
농기계정비기능사 - - -
자동화설비기능사 자동화설비산업기사 - -
반도체설비보전기능사 - - -
타워크레인설치·해체기능사 - - -
}}} ||


{{{+2 {{{#FFFFFF 캐드 관련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082. 디자인 기능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141. 건축 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142.토목 기능사 지도제작기능사
지적기능사
161. 기계제작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산업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사 일반기계기사
기능장 기계가공기능장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기능사 자동화설비기능사
산업기사 자동화설비산업기사
164. 조선 기능사 선체설계기능사
167. 금형ㆍ공작기계 기능사 금형기능사
기능장 금형기능장

{{{+2 {{{#FFFFFF PLC 제어 관련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기능사 자동화설비기능사
반도체설비보전기능사
산업기사 자동화설비산업기사
201. 전기 기능장 전기기능장

자동화설비기능사
自動化設備技能士
Craftman Automatic Equipment
중분류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관련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필기3. 실기
3.1. 기계요소설계작업 3.2. PLC제어작업
3.2.1. PLC제어작업 시스템 구성도
4. 우대현황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며 가장 기초적인 자동화 관련 국가기술 자격증이다. 기존의 메카트로닉스기능사와 생산자동화기능사를 통합하여 2008년, 생산자동화기능사로 개정하고, 2024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컴퓨터나 전기장치, 로봇이나 자동화 라인 등을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이다. 상세 정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자기계과(메카트로닉스과), 자동화설비과, 전기·전자과 학생들이 주로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전신이 메카트로닉스기능사인 만큼 자격증 중에서는 메카트로닉스 기술에 가장 부합하는 편이다.

현재 1, 2, 3, 4회차와 의무검정이 실시되고 있다.

상위 자격증으로 자동화설비산업기사가 있으며, 메카트로닉스기사는 수요 저조로 폐지되었다.

2. 필기

1.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2. 기계제도 3. 메카트로닉스 일반 총 3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60점 이상을 받으면 합격이다. 여타 기능사 필기와 마찬가지로 과락은 없다.

기계분야 기능사 필기 시험 중에서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평이한 수준이다. 1과목과 2과목의 경우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와 과목이 중복되기 때문에 위 기능사 중 하나를 취득했거나 동시에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부담이 적은 편이다.

3과목이 복병이 될 수 있는데 순수 기계 전공자이거나 그외 전공자가 아니면 초반에는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그러나 이론 자체의 독학은 어렵지 않은 편이며, 개념만 알고 가면 기계과목과 마찬가지로 과년도 기출로 커버가 가능한 수준이다.

2024년 1회차 기준 신출문제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교재나 기출에 흔히 나오는 그림과 다른 느낌의 그림들이 나와 동일한 부품의 그림이더라도 특징을 알지 못한다면 맞추지 못할 확률이 있으며 교재 및 기출의 단어와 약간 다르거나 변형된 단어로 출제되는 경우가 있어 이론학습을 부실히 하고 기출만 많이 풀었을 경우 합격확률이 상당히 낮아질 수 있다.

메카트로닉스(전자)와 기계의 비율은 40% : 35% 정도이며 나머지 25%는 공유압 관련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다.[1]

기계 전공자라면 기계랑 공유압 파트에서 고득점을 맞고 메카트로닉스 파트는 쉬운 문제만 맞추는 전략이 좋으며 이와 반대로 전기, 전자 전공자의 경우 메카트로닉스랑 공유압 파트에서 고득점을 맞고 기계파트에서 쉬운 문제만 맞추는 전략이 중요하다.

3. 실기

작업형 총 3시간 30분이며 기계요소설계작업(1시간 30분)과 PLC제어작업(2시간)으로 나뉜다. 두 과목 중 하나라도 응시하지 않거나 0점인 경우 실격되어 채점 대상에서 제외된다. PLC제어작업 채점이 세분화되어 테스트 동작, 단속동작, 연속동작과 부가조건 3개가 동작 사항으로 나가며 공정순서도를 활용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3.1. 기계요소설계작업 [2]

지급된 도면을 보고 3차원 모델링 및 2D 도면 작업하여 출력하면 된다.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쉬운 난이도로 말이 CAD작업이지 사실상 따라그리기 수준에 가깝다.

프로그램의 경우 Solidworks 또는 inventer로 진행 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만약 시험장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이 본인이 그동안 사용했던 프로그램이 아닐 경우 대기 시간이 남아 있을 시 따로 설치 할 시간을 주거나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로 자리를 이동시켜준다[3]

한 번씩 투상이 까다롭거나 처음 보는 유형의 도면이 나와 당황할 수 있다. 심지어 수험자 본인의 상식선에서 최대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작업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문제 도면이 잘못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결과물이 시원찮을 때가 종종 있다. [4] 이런 상황에서는 당황하지 말고 문제 도면과 최대한 유사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2. PLC제어작업

주어진 조건대로 동작이 되도록 컴퓨터로 PLC 프로그래밍을 하는 작업이다. 테스트동작, 단속동작, 연속동작, 부가조건1 2 3, 총 4가지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며, 작업순서는 테스트동작→단속동작→연속동작→부가조건1 2 3 순으로 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경우 미쯔비시의 GX-Works2를 사용하거나 LS산전의 XG5000을 사용하며 시험장마다 다를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기계요소설계작업과는 다르게 PLC 프로그램은 바꿀 수 없다. 이를 바꾸려면 시험장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화설비 실습 장비의 PLC를 교체 및 재배선 해야하며 이는 불가능한 작업 이기에 시험장 PLC 프로그램 여부를 사전에 꼭 확인해봐야 한다.[5]

부가조건1 2 3은 기존의 응용동작②처럼 모두 정상 작동되어야 점수가 부여되는 것이 아닌 각 조건마다 점수가 부여된다.[6] (부분점수가 존재한다.)
<colbgcolor=#191919><colcolor=#fff> 기존 22년 4회부터
기본동작(변위단계선도) 테스트동작(변위단계선도)
응용동작①(서술방식) 단속동작, 연속동작
(공정순서도)
응용동작② 부가조건1 2 3

작업의 검사 방식은 각 동작이 프로그래밍될 때마다 감독관에게 검사를 받는다. 감독관이 보는 앞에서 프로그램을 운전하고 통과하면 다음 프로그래밍으로 넘어가는 방식이며 프로그램의 작성 방법은 한 파일에 모든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3.2.1. PLC제어작업 시스템 구성도

파일:PLC제어작업 시스템 구성도.jpg

* 서비스 유닛
* CYL1 (공급실린더) - LS1 LS2 - SOL1 SOL2
* CYL2 (가공실린더) - LS3 LS4 - SOL3
* CYL3 (송출실린더) - LS5 LS6 - SOL4
* CYL4 (배출실린더) - LS7 LS8 - SOL5
* M1 (가공모터)
* M2 (컨베이어모터)
* S1 (센서1) - 공작물 감지 센서
* S2 (센서2) - 모트 센서
* S3 (센서3) - 유도형 센서
* S4 (센서4) - 용량형 센서
* 배출상자
* 저장상자
* 타워램프(적색, 황색, 녹색)[기능사]

"S1을 제외한 나머지 센서는 메이커 장비별로 다르다."

4. 우대현황

주로 각종 공기업 고졸공채에서 기계분야 필수 또는 가산 자격증으로 자주 쓰이나, 목록에 올라가는 빈도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용접기능사 등의 자격증에 비해 밀리는 편. 그러나 기계직 공무원, 한국조폐공사[8],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수력원자력[9] 등 많은 기계직 공•특채에 널리 쓰인다.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대기업 특채에 지원할 때 인정받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5. 관련 문서



[1] 기계제도와 메카트로닉스 파트에서 공유압이 출제된다. [2] 22년 4회 기준 큰 변경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3] 직업계 고등학교에서 진행하는 경우 솔리드웍스, 인벤터가 전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가 간혹 있다. [4] 사실 이런 경우는 실제로 꽤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주서에는 모따기가 명시돼 있는 반면, 도면상에는 육안상으로 누가 봐도 라운드 처리된 형상인 경우가 있다. [5] 출력변수만 예시로 보면 GX Works2는 Y20~, XG5000은 P20~, P40~ 등등 PLC 종류에 따라 다름) 으로 본인이 배운 프로그램과 다른 프로그램일 경우 절대 합격이 불가능하다. [6] 반도체설비보전기능사의 반도체장비제어작업에서 부가조건과 동일하며 공유압기능사의 시스템 유지보수를 생각하면 된다. [기능사] [8] 특히 한국조폐공사의 기계•전자기술 지원 시에 가장 유용한 자격증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이 자격증을 포함한 기계정비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등 대략 6개 정도의 자격증만 인정되었는데, 차후 전기, 설비보전 등 다양한 자격증이 인정되고 있어 굳이 생산자동화를 꼭 취득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취득 난이도로는 가장 무난한 편이다. [9] 보통 마이스터고 2학년 대상 채용 시에만 사용된다. 고졸공채 전형이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는 전기와 기계에서 둘 다 인정한다.

분류